신상옥

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 (1926–2006)

신상옥(申相玉, 본명신태서, 본명 한자: 申泰瑞, 1926년 10월 18일[8]~2006년 4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영화감독이다. 아직 일제 시대였던 일제 강점기 조선 함경북도 부령군 청진읍 출생으로,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 월남한 실향민 출신이다.

신상옥
申相玉
Simon Sheen
1966년 5월 29일 당시의 신상옥 감독
본명신태서(申泰瑞) → 신태익(申泰益) → 신상옥(申相玉)
출생1925년 9월 12일(1925-09-12)[1]
일제 강점기 조선 함경북도 부령군 청진읍
사망2006년 4월 11일(2006-04-11)(80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직업영화감독, 영화 미술감독, 영화 편집감독, 영화 기획가, 영화제작자, 영화연출가, 영화 각본가, 영화 각색가, 대학 교수
활동 기간1946년~2005년
종교천주교(세례명: 시몬)
소속사신필름
학력함경북도 경성고등보통학교 졸업
일본 도쿄 미술전문학교 중퇴
친척최경옥(손아랫처남)
신태진(사촌 남동생)[2]
신태원(6촌 남동생)[3]
형제자매신태민(첫째 형), 신태선(둘째 형)
배우자최은희(재결합, 생몰: 1926~2018)
오수미(이혼, 생몰: 1950~1992)
자녀장녀: 신진환(1946년 11월 30일(1946-11-30)(78세)생)[4]
장남: 신정균(1963년 5월 12일(1963-05-12)(62세)생)[5]
차녀: 신명희(1968년 4월 26일(1968-04-26)(57세)생)[6]
차남: 신상균(1973년 10월 5일(1973-10-05)(51세)생)[7]
삼녀: 신승리(1977년 4월 4일(1977-04-04)(48세)생)[7]
수상부일영화상 감독상
대종상영화제 최우수작품상
대종상영화제 감독상
백상예술대상 영화감독상
금관문화훈장(2006년 4월 21일 추서)
웹사이트신상옥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본관평산(平山)이고 아명신태서(申泰瑞)·신태익(申泰益)이며 영문명(英文名)은 Simon Sheen이다.

생애

편집

함경북도 부령군 청진읍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함북 회령군을 거쳐 함북 경성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943년에 함북 경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 이후 도일하여 1945년 5월, 2년제 대학교인 일본 도쿄 미술전문학교를 2학년 때에 중퇴하였다. 을유 광복(8.15 해방)이 도래한 직후에 귀국했으며, 이후 평산 신씨 직계 일가족들과 모두 함께 미군정 시대의 수도 서울로 월남해 20대의 청년 신상옥은 영화감독 최인규 문하에서 일했다.

1946년 서양화로 화단에 첫 등단한 적이 있었고, 1948년 영화 《희망의 마을》로 영화 미술감독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1949년 영화 《여성일기》를 미술감독하였고, 이어 같은 해 1949년 영화 《파시》로 영화 조감독 데뷔하였으며, 1952년에 16mm 영화인 《악야》라는 작품으로써 본격적인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였다.

영화배우인 두번째 부인 최은희(본명 최경순)와는 1956년에 두번째 결혼하였고 2남 3녀(5남매, ; 장녀 신진환, 장남 신정균, 차녀 신명희, 차남 신상균, 3녀 신승리)를 두었으며, 장남인 신정균 역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영화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두번째 아내인 최은희1978년 1월 14일영국령 홍콩에서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작원에 의해 납북된 이후, 그녀의 행방을 찾다가 그 역시 같은 해 7월 19일홍콩에서 납북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신필름영화촬영소 총장을 맡으면서 《소금》, 《불가사리》 등의 영화를 제작했다.

1986년 3월 13일최은희와 함께 오스트리아의 수도 에 있던 도중에, 오스트리아 주재 미국 대사관으로 탈출하면서부터, 탈북에 성공했다. 1987년 김현희가 일으켰던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이 일어난 후에는 이 사건을 다룬 반공 영화인 《마유미》를 1990년 6월 9일에 제작하기도 했다. 1994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을 지냈다. 2000년미국에서 대한민국으로 돌아왔다. 이후 간 이식 수술을 받았지만 건강이 악화되어 2006년 4월 11일 지병으로 사망했다. 참고로 신상옥 감독의 사망일은 생전에 그가 상당히 아낀 영화배우 엄앵란(본명 엄인기)의 만70세 생일이기도 했다. 묘소는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북가현리 소재 천주교 공원묘지에 안장되었다. 향년 80세[9]

사후

편집

이외 전력

편집

작품

편집

감독

편집

각본

편집

연출

편집

기획

편집

제작

편집

편집

편집
  • 1952년 《악야》(16mm 영화)

신상옥을 연기한 배우

편집

TV 드라마

편집

영화

편집

수상

편집
  • 1962년 제5회 부일영화상 작품상·감독상(사랑방손님과 어머니)
  • 1962년 제1회 대종상 작품상(연산군), 감독상(사랑방손님과 어머니)
  • 1962년 제9회 아시아영화제 최우수극영화작품상(사랑방손님과 어머니)
  • 1963년 제2회 대종상 작품상(열녀문)
  • 1964년 제11회 아시아영화제 감독상(빨간마후라)
  • 1965년 제4회 대종상영화제 최우수작품상·감독상(벙어리 삼룡이)
  • 1965년 제12회 아시아영화제 감독상(쌀)
  • 1968년 제7회 대종상 작품상·감독상(대원군)
  • 1969년 제15회 아시아영화제 감독상(이조여인 잔혹사)
  • 1971년 제17회 아시아영화제 감독상(전쟁과 인간)
  • 1972년 대종상 감독상(평양폭격대)
  • 1973년 제10회 청룡영화상 작품상(삼일천하)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호적상의 출생년월일은 1925년 9월 12일이며 일설에는 1920년 9월 12일생이라는 설도 있고 한국영화감독사전에는 1926년 9월 12일생으로 기록되어 있음.
  2. 장남 신정균의 생부.
  3. 차녀 신명희의 생부.
  4. 1956년 최은희와 재혼하기 이전의 첫번째 전처와 사이에 1946년에 얻은 딸.
  5. 사촌 아우 신태진의 친아들.
  6. 6촌 아우 신태원의 친딸.
  7. 오수미의 소생.
  8. 호적상의 출생년월일은 1925년 9월 12일이며 일설에는 1920년 9월 12일생이라는 설도 있고 한국영화감독사전에는 1925년 9월 12일생으로 기록되어 있음.
  9. 권혁재 기자 (2009년 6월 4일). “[week&커버스토리] 추모여행, 세상에서 가장 경건한 ‘소풍’”. 중앙일보사. 2015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17일에 확인함. 
  10. 양세민 (2007년 2월 16일). “신상옥 영화제 개최 축하의 장 - 고인의 뜻 동참하는 전,현직 영화인들 참여”. 뉴스컬쳐. 2009년 2월 1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1. 신상옥 감독 기리는 ‘제1회 신필름 예술영화제’ 열려 KBS. 2017년 11월 20일
  12. 극 중에서는 신감독으로 등장.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