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시마시 (나가사키현)
쓰시마시(일본어: 対馬市)는 일본 나가사키현 쓰시마섬 및 부속 도서로 구성된 시이다.
対馬市 つしまし 쓰시마시 | |||||
---|---|---|---|---|---|
| |||||
나라 | ![]() | ||||
지방 | 규슈 지방 | ||||
도도부현 | 나가사키현 | ||||
시정촌코드 | 42209-6 | ||||
면적 | 707.42km2 | ||||
총인구 | 26,656명[편집] (추계인구, 2023년 4월 1일) | ||||
인구밀도 | 37.7명/km2 | ||||
인접 자치체 | 이키시, 대한민국:부산광역시 | ||||
시목 | 이팝나무 | ||||
시화 | 진달래속 | ||||
시조 | 꿩 | ||||
쓰시마시 (나가사키현)청 | |||||
시장 | 히타카츠 나오키(比田勝 尚喜) | ||||
소재지 | (〒817-0022)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나가사키현) 厳原町国分1441번지 북위 34° 12′ 10″ 동경 129° 17′ 15.1″ / 북위 34.20278° 동경 129.287528° | ||||
웹사이트 | 쓰시마시 ![]() | ||||
지리편집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와 일본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해협의 중간과 동해의 남쪽에 놓여 있다. 가장 가까운 육지인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는 남동쪽으로 49.5km 떨어져 있으며, 일본에서 가장 가까운 타 지역인 나가사키현 이키섬에서 북서쪽으로 47.5km, 후쿠오카시에서 북서쪽으로 138km 떨어진 곳에 있다.
쓰시마섬 외에도 미쓰시마섬, 우니섬 등의 작은 섬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시역 전체가 산이 많아 평지는 거의 없다. 해안선이 복잡하여 총 길이는 915km이나 된다. 6정이 통합한 도시라 시가지가 분산되어 있으며, 시의 가장 번화한 곳은 남동부의 이즈하라 지구(구 이즈하라정)이며, 대표적인 산인 아리아케산(해발 558.09m 높이)이 이 섬의 최고봉으로 우뚝 솟아오르고 있다.
역사편집
율령제에서는 쓰시마국에 속했다.
1899년 7월 이즈하라항, 시시미항, 사수나항이 미국과 대영제국의 개항장이 되었다.[1]
1975년 4월 1일 도요타마 마을이 도요타마정이 되었다. 1976년에는 미네 마을도 미네정으로 승격됐다.
2004년 3월 1일 쓰시마섬 내의 6개 정(이즈하라정, 미쓰시마정, 도요타마정, 미네정, 가미아가타정, 가미쓰시마정)이 합병되어 쓰시마시가 되었다. 시청은 옛 이즈하라정에 위치해있다.
연혁편집
- 1908년 4월 1일 - 도서정촌제 시행에 의해 현재의 쓰시마시의 영역에 시모아가타군 이즈하라촌·구타촌·쓰쓰촌·사스촌·게치촌·다케시키촌·후나코시촌·니촌·누가다케촌, 가미아가타군 미네촌·니타촌·사스나촌·도요사키촌·긴촌이 성립하였다.
- 1919년 4월 1일 - 이즈하라촌이 정으로 승격해 이즈하라정이 되었다.
- 1932년 4월 1일 - 게치촌이 다케시키촌을 편입하였다.
- 1940년 10월 17일 - 게치촌이 정으로 승격해 게치정이 되었다.
- 1948년 12월 1일 - 도요사키촌이 정으로 승격해 도요사키정이 되었다.
- 1955년 1월 1일 - 도요사키정·긴촌이 합병(신설 합병)해 가미쓰시마정이 성립하였다.
- 1955년 3월 1일 - 게치정·후나코시촌이 합병(신설 합병)해 미쓰시마정이 성립하였다.
- 1955년 3월 20일 - 니이촌·누가다케촌이 합병(신설 합병)해 도요타마촌이 성립하였다.
- 1955년 4월 15일 - 니타촌·사스나촌이 합병(신설 합병)해 가미아가타정이 성립하였다.
- 1956년 9월 30일 - 이즈하라정·구타촌·쓰쓰촌·사스촌이 합병(신설 합병)해 이즈하라정이 성립하였다.
- 1975년 3월 4일 - 쓰시마 공항이 완성되었다.
- 1975년 4월 1일 - 도요타마촌이 정으로 승격해 도요타마정이 되었다.
- 1976년 4월 1일 - 미네촌이 정으로 승격해 미네정이 되었다.
- 2004년 3월 1일 - 이즈하라정·미쓰시마정·도요타마정·미네정·가미아가타정·가미쓰시마정이 합병(신설 합병)해 쓰시마시가 되었다. 시청은 옛 이즈하라정에 놓였다.
경제편집
쓰시마시는 행정구역상 나가사키현에 속해 있지만, 나가사키시보다 거리상 후쿠오카현이 더 가까우므로 경제·문화적으로는 후쿠오카 현과 더 밀접한 관계에 있다.
또한 아름다운 자연 환경 및 한국, 일본 양국 사이에 위치한 지리적 조건 때문에 관광업 또한 활발하다. 섬 면적의 80% 이상이 산림이기 때문에 임업도 이루어지고 있고 표고버섯이 많이 생산된다.
어업편집
어업은 쓰시마시의 기간 산업 중 하나로 인근 연안에서 오징어가 많이 잡힌다. 그 외에도 도미와 방어등이 많이 잡힌다. 2003년 기준 어획량은 아래와 같다.
- 오징어 : 7,165 톤
- 기타 오징어 : 3,230 톤
- 방어 류 : 2,482 톤
- 전갱이 : 1,120 톤
- 소라 : 1,094 톤
- 참치 류 : 1,075 톤
관광편집
쓰시마시는 부산항여객터미널에서 약 1시간 10분(히타카쓰항)에서 2시간(이즈하라항)이면 도착하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가까운 일본 영토이다.[2] 한국인 관광객은 주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울산광역시에서 방문한다.
쓰시마시에는 아유도모시 자연공원, 아오시오노사토, 미우다해수욕장 등에 캠핑장이 있다.[2]
엔화 환율이 약세를 보일 때는 일본의 식음료 및 생활용품을 사기 위해서 쓰시마시를 찾는 관광객도 많다.[2]
숙박시설의 경우 토요코인 이즈하라점을 필두로, 츠타야호텔, 쓰시마호텔, 벨포레호텔 등 여러 호텔들도 많이 있다.
교육편집
쓰시마시의 대표적인 교육 기관은 나가사키현립 쓰시마 고등학교를 필두로, 나가사키현립 도요타마 고등학교 그리고 나가사키현립 가미쓰시마 고등학교 등 3개의 고등학교가 세워져 있고 그 외에도 여러 중학교, 소학교 등도 존재한다.
교통편집
공항편집
쓰시마 공항을 이용할 수 있다. 쓰시마 공항은 1975년, 구 미쓰시마정(美津島町)의 백련강산(白蓮江山)의 산정상을 깎아 내어 건설되었다. 전일본공수는 후쿠오카 공항으로, 오리엔탈 에어 브릿지는 나가사키 공항으로 이어진다.
도로편집
해운편집
남쪽의 이즈하라항(厳原), 북쪽의 히타카쓰항(比田勝) 등 2곳에서 여객선이 운항한다. 국제 노선으로는, 대아고속해운이 고속선 오션플라워호로 이즈하라항-부산항, 히타카쓰항-부산항 노선을 운항한다. 쓰시마 국제라인(対馬国際ライン)은 아오시오(あおしお)로 히타카쓰항-부산항 노선을 부정기 운항한다. JR규슈고속선(JR九州高速船)은 제트포일인 비틀로 하카타항(博多港, 후쿠오카시) 베이사이트하카타 후토(ベイサイドプレイス博多埠頭) - 히타카쓰항-부산항을 운항한다. 히타카쓰항에는 이용객 수에 따라 임시 기항하고 있다. 국내노선으로는, 규슈유센(九州郵船)이 제트포일(보잉929)인 위너스, 위너스2호(「ヴィーナス」「ヴィーナス2」)로 히타카쓰항-이즈하라항- 이키시 (일부는 직행) - 하카타항 베이사이트하카타 후토까지 운항하고, 훼리인 치쿠시, 뉴쓰시마호(「ちくし」「ニューつしま」)로는 이즈하라항- 이키시 (일부는 직행) - 하카타항 베이사이트하카타 후토까지 운항하며, 훼리 반카이(「げんかい」)호로 히타카쓰항-하카타항 베이사이트하카타 후토까지 운항한다.
버스편집
쓰시마 교통(対馬交通)이 이즈하라와 히타카쓰를 잇는 버스를 운행한다. 히타카쓰에서는 순환버스도 운행중이다. 외국인을 위한 버스티켓인 대마도 1일 프리패스권(1日フリーパス券)을 이용하면 하루 동안 무제한으로 저렴한 값에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즈하라에서 히타카쓰까지 소요시간은 약 2시간 30분이며 요금은 3,330엔이다. 일부는 히타카쓰에서 니시사토, 시타루, 슈시, 오시카 지선도 운행하고 있다. 또 히타카쓰 지역은 시영버스가 운행되며 12월 31일부터 다음해 1월 3일까지는 운행하지 않는다.
- 쓰시마교통 (일반버스) : 이즈하라 ↔ 다카하마바시 ↔ 다루가하마입구 ↔ 공항 ↔ 오후나코시 ↔ 만제키바시 ↔ 니이 ↔ 미네 ↔ 사스나 ↔ 히타카쓰
- 쓰시마시영버스 : 히타카쓰 (가미쓰시마병원) ↔ 오우라(벨류마트) ↔ 와니우라(한국전망소) ↔ 도요 ↔ 이즈미 ↔ 나기사노유(미우다) ↔ 니시도마리 ↔ 히타카쓰항 ↔ 큐유마에 ↔ 히타카쓰 (가미쓰시마병원)
자연편집
동물편집
야마네코편집
쓰시마섬에는 쓰시마삵(야마네코, 山猫)이라는 야생 삵이 산다.
유역편집
이 지역에는 니타천을 비롯하여 사고천, 게치천 그리고 미네천 등 4개의 지류를 가진 하천이 흘러든다. 또한 만제키세토와 미우라만, 아소만 같은 유역도 역시 흘러들고 있다.
기후편집
이즈하라/쓰시마, 나가사키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 최고 기온 °C (°F) | 8.7 (47.7) |
9.4 (48.9) |
12.8 (55.0) |
17.3 (63.1) |
21.4 (70.5) |
23.9 (75.0) |
27.7 (81.9) |
29.3 (84.7) |
25.9 (78.6) |
21.7 (71.1) |
16.5 (61.7) |
11.5 (52.7) |
18.8 (65.9) |
일 평균 기온 °C (°F) | 4.7 (40.5) |
5.5 (41.9) |
8.7 (47.7) |
13.3 (55.9) |
17.3 (63.1) |
20.5 (68.9) |
24.8 (76.6) |
26.2 (79.2) |
22.5 (72.5) |
17.6 (63.7) |
12.2 (54.0) |
7.2 (45.0) |
15.0 (59.1) |
평균 최저 기온 °C (°F) | 1.0 (33.8) |
1.8 (35.2) |
4.7 (40.5) |
9.4 (48.9) |
13.3 (55.9) |
17.4 (63.3) |
22.3 (72.1) |
23.5 (74.3) |
19.6 (67.3) |
13.9 (57.0) |
8.3 (46.9) |
3.2 (37.8) |
11.5 (52.8)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75.5 (2.97) |
92.7 (3.65) |
131.2 (5.17) |
209.9 (8.26) |
199.3 (7.85) |
317.7 (12.51) |
342.7 (13.49) |
242.5 (9.55) |
251.0 (9.88) |
115.5 (4.55) |
106.4 (4.19) |
54.7 (2.15) |
2,139.1 (84.22) |
평균 상대 습도 (%) | 62 | 64 | 66 | 72 | 74 | 82 | 85 | 82 | 78 | 71 | 68 | 65 | 72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35.6 | 125.8 | 164.6 | 160.1 | 186.2 | 134.9 | 134.3 | 175.8 | 127.0 | 159.6 | 142.9 | 141.7 | 1,788.5 |
출처: NOAA (1961-1990)[3] |
자매 도시편집
일본편집
일본 이외 국가편집
각주편집
- ↑ US Department of State. (1906). A digest of international law as embodied in diplomatic discussions, treaties and other international agreements (John Bassett Moore, ed.), Vol. 5, p. 759.
- ↑ 가 나 다 대마도에서 꼭 해봐야 하는 다섯 가지 조선비즈 2015년 7월 18일 작성
- ↑ “Izuhara Climate Normals 1961-1990”. 미국 해양대기청. 2013년 1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 쓰시마시 공식 홈페이지
- (한국어) 쓰시마 부산 사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