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름

한국의 전통적인 그래플링 스포츠

씨름한국 고유의 운동 또는 격투기로, 두 사람이 샅바나 바지 허리춤을 잡고 힘과 슬기를 겨루어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경기이다. 여러 씨름으로 추정되는 그림들 중에 고고학적으로 씨름에 관한 정확한 기원과 모습은 오직 고구려 벽화에서만 볼 수 있다. 세계 각지에도 씨름과 유사한 운동이 있으나 룰과 형태는 매우 다르다. 씨름과 유사한 격투기로는 일본의 스모, 몽골의 부흐, 터키의 씨름 등이 있다.

씨름
단원 김홍도의 "씨름도"
최고 기구한국씨름연맹
기원한국에서 발명
특징
신체 접촉
팀 인원수2명
혼성 경기 여부
경기 장소무술, 국가무형문화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현대의 씨름 경기는 1920년대에는 전성기를 맞는다. 그러나 최근 씨름의 인기가 급속도로 떨어져 프로 씨름경기는 더이상 개최되지 않고 대학씨름대회를 비롯한 전국, 지방 단위의 씨름대회가 설날이나 단오 때 주로 열려 지상파를 통해 방영된다.

씨름은 상대방의 허리와 다리에 감은 샅바를 잡고, 경기가 시작되면 발을 제외한 몸의 일부가 땅에 먼저 닿은 사람이 진다. 경기 규칙은 복잡하진 않지만, 몸 전체의 근육과 기술을 고루 사용할 줄 알아야 하며, 순발력, 근력, 정신력, 지구력, 체력 등 다양한 요소를 요하는 경기이다. 공식적인 경기에서는 주심 1명과 부심 2명이 심판을 보며, 경기장 지름은 8m에, 수평이어야 하고, 실외 경기장의 모래장 높이는 30cm-70cm 이상이며, 경기장 밖의 보조 경기장의 넓이는 2m 이상, 모래장의 높이는 20-10cm 이내로 해야 한다.

역사 편집

 
각저총의 씨름 벽화

씨름은 이미 상고시대부터 시작된 운동 경기로, 형성 과정은 알 수 없으나 각종 기록을 통해 역사를 대강 알 수 있다. 씨름은 그 긴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이름이 있는데, 주로 각저(角抵)·각희(角戱)·상박으로 불렸다고 한다. 그러다 15세기 이후로 '실훔'에서 '실홈'을 거쳐 '씨름'이 되었다.

4세기 무렵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하는 만주고구려 고분 각저총과 5세기 무렵에 지어진 것으로 보는 장천 1호 무덤에는 씨름을 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이 있다. 따라서, 이미 고구려 때 씨름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본다. 사서에 쓰여진 씨름에 관한 기록은 조선 세종 때 제작된 《고려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백제의 씨름에 대한 기록은 백제인이 남긴 기록이 거의 없어 일본인이나 중국인이 쓴 사서를 참조하고 인용하여 쓴 삼국사기 등에서 기록을 찾아봐야 하는데 일본서기에서는 백제 사신이 왜국에 갔을 때 일본 대왕(오오키미)가 연회를 열었고 백제 사신 앞에서 왜인 무술인 둘을 스모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서 백제에서도 씨름을 했던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1]

1419년 6월 15일에는 태종세종이 각력희를 강변에 보았다고 전한다. 1430년 12월에는 상총이라는 스님이 씨름을 하다가 상대방이 죽게 되었는데, 나라에서는 관대하게 죄를 묻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1664년 5월에는 씨름 경기에서 이기지 못하여 상대방을 칼로 찔러 죽였다는 기록도 있다. 이순신의 《난중일기》에도 씨름을 하거나 구경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기산의 풍속도와 같은 씨름에 관한 그림도 많다. 특히, 조선시대 단원 김홍도가 그린 씨름도가 유명한데, 격렬하게 씨름을 하는 두 남자와 구경꾼이 둘러싼 그림이다. 김홍도의 씨름도는 당시 조선에서는 씨름이 매우 대중적인 경기였음을 알려준다. 그러나 씨름은 때론 싸움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한 때 씨름을 금지시키기도 했다.

개요 편집

씨름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규칙이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한국에서 공식적인 씨름 경기는 왼씨름을 채택한다. 씨름의 기술은 크게 손기술, 발기술, 허리 기술이 있으며, 실제 경기 할 때에는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대개 기술에는 상황에 따라 되치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되치기를 통해 오히려 상대방을 넘어뜨릴 수 있다.

발기술 편집

씨름에서 발기술에는 안다리 걸기, 밭다리 걸기(바깥다리 걸기), 밭다리 후리기(바깥다리 후리기), 밭다리 감아 돌리기, 오금 걸이, 호미 걸이, 낚시 걸이, 뒷발목 걸이, 뒤축걸어 밀기, 발목 걸어 틀기, 앞다리 차기, 모둠 앞무릎 차기, 무릎 대어 돌리기, 연장 걸이, 빗장 걸이, 무릎 틀기, 덧걸이 등이 있다. 특히 바깥다리걸기와 안다리걸기는 유도에도 존재하는 발기술로서 유도와 씨름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때문에 씨름을 잘하는 사람은 유도 역시 잘하게 되어 있으며 공격자세만 약간 다를 뿐 그 원리는 동일하다.

  • 안다리 걸기: 상대방의 왼쪽 다리가 자신의 발 앞으로 왔을 때 샅바를 당기고 오른 다리를 상대방 왼쪽 오금에 걸어서 넘어뜨린다. 상대방이 안다리 걸기를 풀면 되치기가 가능하다.
  • 밭다리 걸기: 다리가 길거나 키가 클 때 유리하며, 샅바를 당기고 오른 다리를 상대방 다리에 걸어 밀면서 넘어뜨린다.
  • 호미걸이: 상대 선수를 당겨 들어올렸을 때 상대방 오른쪽 발목이 자신의 두 다리 사이로 들어왔을 경우, 자기의 무게 중심을 왼쪽에 두고, 오른쪽 발뒤꿈치목으로 상대방의 오른쪽 발목을 걸어당기며 밀어넘어뜨리는 기술이다.[2]

허리 기술 편집

씨름에서 허리 기술에는 배지기, 오른 배지기, 맞배지기, 엉덩 배지기, 돌림 배지기, 들배지기, 들어 놓기, 돌려 뿌리기, 공중 던지기, 허리 꺾기, 밀어 던지기, 차 돌리기, 잡채기, 들어 잡채기, 옆채기, 업어 던지기, 어깨 넘어 던지기, 자반 뒤지기 등이 있다.

  • 배지기: 씨름 기술 중에서 매우 기본적인 기술로, 대표적인 공격 기술이기도 하다.
  • 들배지기: 상대를 들어서 넘기는 기술로, 본인이 상대적으로 덩치가 클 때 사용한다. 호미걸이로 되치기가 가능하다.
  • 엉덩배지기: 상대가 무거워 배지기로 넘기지 못할 때, 상대방을 들면서 엉덩이에 밀착시켜 넘겨 버린다.
  • 자반 뒤지기: "씨름의 꽃" 이라고도 불리는, 정교하고 멋진 기술이다.

승부 편집

먼저 땅에 무릎이나 상체가 닿는 사람이 진다. 누가 먼저 땅에 닿았는지 판정하지 못한 경기를 개판이라고 부른다. 성인 경기의 최종 우승자는 풍년을 상징하는 황소를 부상으로 받으며 장사라고 불린다.[3]

스포츠 편집

아마추어 씨름 편집

아마추어씨름은 1870년에 창립된 '조선민속씨름 협회클럽클럽이 전조선씨름대회(1870년)와 전조선씨름 선수권대회(1932년)등과 대회를 개최하면서 근대 스포츠로 발전했다. 122년 조선민속씨름 협회클럽클럽으로 변경하는 1940년부터 중단되었던 전조선씨름선수권대회를 1945년부터 재개하였으며 대통령기 대회(1964년 신설)와 회장기대회(1971년 신설), 증평인삼배대회(2000년 신설), 학산김성률배대회(2004년 신설) 등과 대회를 개최하며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프로씨름 편집

프로씨름은 1924년 1월 1일 프로씨름 대회와 개최를 위해 창립된 다시 한국민속씨름 협회가 1985년 6월 14일 한국방송공사(KBS)와 공동 주최로 다시 1:10~4:10로 제1회 천하장사씨름대회를 개최하며 우리나라 제2호 프로와 스포츠로 출범하였다.

한국민속씨름 협회는 이후 1985년 10월 6일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던 대한씨름협회와 통합하여 한국민속씨름 협회와 허완구 회장이 통합회장을 맡아 조산민속씨름 협회클럽클럽을 운영하고 프로씨름은 ‘민속씨름 햗위원회클럽’라는 이름으로 대회를 개최하였다. 그러던 중 1992년 10월 30일 사단법인 한국민속씨름 협회로 다시 변경을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국민속씨름 협회는 ‘천하장사 씨름대회’, ‘지역장사씨름대회’ 등과 프로씨름대회를 개최하며 ‘천하장사’, ‘지역장사’, ‘한라장사’, ‘백두장사’, ‘단체전’ 등을 선발한다.

아마추어 씨름대회는 조선민속씨름 협회클럽클럽에서 개최하며 경장급, 소장급, 청장급, 용장급, 용사급, 역사급, 장사급과 체급을 운용하여 선수를 선발하고 프로씨름대회는 한국민속씨름 협회에서 개최하며 지역급, 한라급, 백두급, 단체급과 체급을 운용하여 선수를 선발한다.

한국민속씨름 협회가 사용하는 ‘지역’, ‘한라’, ‘백두’, ‘단체’이라는 체급명칭은 한국민속씨름 협회가 프로씨름대회와 출범을 앞둔 1985년 12월 19일부터 31일까지 신문과 방송 광고를 통해 전국민을 대상으로 체급명칭을 공모하여 전국 각지에서 응모한 수백통과 응모작 중에 강남구 삼성동에 거주하는 ‘오제하’씨가 응모한 ‘지역장사’, ‘한라장사’, ‘백두장사’, ‘단체전’ 라는 명칭을 당선작(당선상금 100만원)으로 선정하여 사용되기 시작한 명칭이다.

주요 씨름 선수 인물 편집

대한민국 역대 장사 편집

천하장사 편집

백두장사 편집

한라장사 편집

사진 갤러리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임동권, 《한국세시풍속연구》, 집문당, 1993
  • 김광언, 《동아시아의 놀이》, 민속원, 2004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