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로봇

《아이, 로봇》(영어: I, Robot)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SF 단편 소설 모음집 《나는 로봇》를 원작으로 한 영화이다.
![]() I, Robot | |
---|---|
![]() | |
감독 | 알렉스 프로야스 |
각본 | 아키바 골즈먼 제프 빈타 |
원안 | 제프 빈타 |
제작 | 존 데이비스 로런스 마크 토퍼 다우 윅 고드프리 |
원작 | |
출연 | 윌 스미스 브리짓 모이너핸 브루스 그린우드 제임스 크롬웰 치 맥브라이드 샤이아 러버프 앨런 튜딕 |
촬영 | 사이먼 더건 |
편집 | 리처드 리어로이드 아먼 미내지언 윌리엄 호이 |
음악 | 마르코 벨트라미 |
제작사 | 20세기 폭스 오버브룩 엔터테인먼트 |
배급사 | 20세기 폭스 |
개봉일 |
|
시간 | 110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억 2천만달러 |
흥행수익 | 3억 4천 7백만달러 |
영화의 배경은 가까운 미래인 2035년의 시카고이다. 로봇회사 USR의 신형 로봇 모델인 'NS-5'의 출시를 앞두고, 개발자인 래닝 박사(제임스 크롬웰)가 숨지는 사건이 발생한다. 형사인 델 스프너(윌 스미스)가 수사를 개시하고, 캘빈 박사(브리짓 모이너핸)가 이를 도우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1]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이 영화 전체를 꿰뚫는 주제이다. USR사의 슈퍼컴퓨터 비키(VIKI)와 NS-5 로봇 중 하나인 써니(Sonny)[A]는 이에 대한 해석을 달리한다. 비키는 3원칙을 해석하여 인간 사회를 통제하고 인간에 대한 폭력 행사까지 가능하다고 해석한다. 이에 무조건 인간을 보호하는 구형 로봇들을 폐기하고, NS-5 모델 로봇들을 동원한 인간 통제를 실행으로 옮긴다. 반대로 써니는 인간 편에 서서, 스푸너 형사가 비키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2]
줄거리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배역 편집
한국판 성우진(KBS) 편집
- 김일 - 델 스푸너 형사(윌 스미스)
- 이선 - 수전 캘빈 박사(브리짓 모이너핸)
- 김정호 - 래닝 박사(제임스 크롬웰)
- 이호인 - 로런스(브루스 그린우드)
- 유해무 - 벌건 경사(치 맥브라이드)
- 안용욱 - 로봇 소니(앨런 터딕)
- 박찬희 - 파르베(샤이아 러버프)
- 나수란 - 델의 할머니(아드리안 리카드)
- 정미경 - 비키(피오나 호건)
- 최정호 - 수사관(제리 웨저먼) / 광고 방송
- 김대중 - 수사관(피터 신코다) / NS5 로봇(스콧 헤인들) / 방송 앵커(머레트 그린) / 철거 로봇
- 유지원 - 방송 앵커(니콜라 크로스비) / 시스템 음성(린낸 제거)
각주 편집
- 내용
- ↑ 스푸너가 캘빈과 함께 숨진 래닝 박사의 사무실을 조사하던 중 NS5 로봇 하나가 부속더미에서 튀어나온다. 캘빈 박사는 로봇을 정지시키려 하지만, 로봇은 명령을 듣지 않고 도망친다. 이후 도망치다가 붙잡힌 로봇은 스푸너와 심문실에서 마주하게 된다. 스푸너의 의심에 로봇은 자신은 래닝 박사를 죽이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이름은 써니(Sonny)라고 밝힌다.
- 출처
- ↑ 서한기 (2004년 7월 22일). “<새영화> '아이, 로봇'”. 《연합뉴스》 (서울). 2020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전승민 (2018년 1월 26일).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②] 로봇 3원칙에 대한 고민… ‘아이로봇’”. 《동아사이언스》. 2020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아이, 로봇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아이, 로봇 - 다음 영화
- (영어) 아이, 로봇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 (영어) 아이, 로봇 – 올무비
- (영어) 아이, 로봇 – 로튼 토마토
- (영어) 아이, 로봇 - 박스 오피스 모조
- (영어) 아이, 로봇 – 메타크리틱
이 글은 SF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