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의 국회의원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행정구역 변천
편집- 1945년 8월 15일 경기도 안성군
- 1963년 1월 1일 용인군 고삼면이 안성군에 편입
- 1992년 9월 30일 안성군 이죽면을 죽산면으로 개칭
- 1998년 4월 1일 안성군이 안성시로 승격, 안성읍 폐지
대수 | 이름 | 소속정당 | 임기 | 선거구역 |
---|---|---|---|---|
제1대 | 김영기(金英基)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 | 안성군 일원 |
제2대 | 이교선(李敎善) | 무소속 |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 안성군 일원 |
제3대 | 오재영(吳在泳)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 안성군 일원 | |
제4대 | 자유당 |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 안성군 일원 | |
제5대 민의원 |
김갑수(金甲洙) | 무소속 |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 안성군 일원 |
제6대 | 서상린(徐相潾) | 민주공화당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용인군·안성군 일원 |
제7대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용인군·안성군 일원(제8선거구) | ||
제8대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용인군·안성군 일원(제9선거구) | ||
제9대 | 유치송(柳致松) | 신민당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평택군·용인군·안성군 일원(제5선거구) |
서상린(徐相潾) | 민주공화당 | |||
제10대 | 유치송(柳致松) | 신민당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평택군·용인군·안성군 일원(제5선거구) |
서상린(徐相潾) | 민주공화당 | |||
제11대 | 이자헌(李慈憲) | 민주정의당 |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평택군·안성군 일원(제10선거구) |
유치송(柳致松) | 민주한국당 | |||
제12대 | 이자헌(李慈憲) | 민주정의당 |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 송탄시·평택군·안성군 일원(제8선거구) |
유치송(柳致松) | 민주한국당 | |||
제13대 | 이해구(李海龜) | 무소속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안성군 일원 |
제14대 |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안성군 일원 | |
제15대 | 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안성군 일원 | |
제16대 | 심규섭(沈奎燮)[1] |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2년 1월 27일 | 안성시 일원 |
이해구(李海龜)[2] | 한나라당 | 2002년 8월 9일 - 2004년 5월 29일 | ||
제17대 | 김선미(金善美) |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안성시 일원 |
제18대 | 김학용(金學容) | 한나라당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안성시 일원 |
제19대 | 새누리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안성시 일원 | |
제20대 | 새누리당[3]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안성시 일원 | |
제21대 | 이규민(李圭閔)[4] | 더불어민주당 | 2020년 5월 30일 - 2021년 9월 30일 | 안성시 일원 |
김학용(金學容)[5] | 국민의힘 | 2022년 3월 10일 - 2024년 5월 29일 | ||
제22대 | 윤종군(尹鍾君) | 더불어민주당 | 2024년 5월 30일 ~ | 안성시 일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