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리아 학파
알렉산드리아 학파(Alexandrian school) 이집트의 수도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문학, 철학, 의학, 그리고 헬레니즘과 로마제국 시대에 학문의 통합적인 학파이다. 보통 기독교 신학 전통과 관련하여 자주 사용된다.[1] 이와 반대되는 역사적 문법적 방법을 강조한 안티오키아 학파가 있다. 알렉산드리아는 그리스와 오리엔트의 영향이 흡수되어 학문으로 유명한 중심지가 되었다.
이 학파는 주로 181-451년에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왕성한 활동을 보여준 학파이다. 알렉산드리아에는 필론이 살았는데 기독교 신학의 방법과 해석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필론은 특별히 플라톤의 철학을 창세기를 비롯한 그의 성경해석에 적용하였다. 이 학파는 그리스도론에 대한 주장에서 성부와 성자의 동일본질을 주장한 삼위일체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으며 성경해석에서는 알레고리적 해석에 강조점을 두었다. 대표적인 학자가 바로 오리겐이었다.[2] 이 학파가 세운 학교가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