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군
양성군(陽城郡)은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원곡면·공도읍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이다.
《대동여지도》
연혁편집
- 1413년 양성현(陽城縣),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
- 1895년 양성군으로 개편, 공주부 관할
- 1896년 도제 개편으로 경기도 소속
-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양성군 폐지, 안성군에 병합
1914년 이후편집
안성시의 행정 구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1914년의 행정구역[1]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안성군) | |||
---|---|---|---|---|
양성군 읍내면(邑內面) | 양성면 | 구장리, 동항리, 석화리, 추곡리 | ||
양성군 금곡면(金谷面) | 난실리, 노곡리, 미산리, 장서리 | |||
양성군 덕산면(德山面) | 덕봉리, 명목리, 방신리, 삼암리 | |||
양성군 지동면(紙洞面) | 도곡리, 이현리, 산정리, 조일리 | |||
양성군 송오리면(松五里面) | 방축리, 필산리 | |||
양성군 공제면(孔梯面) | 공도면 | 불당리, 신두리, 웅교리 | ||
양성군 영통면(令通面) | 건천리, 중보리 | |||
양성군 구천리면(九千里面) | 마정리, 만정리, 양기리 | |||
양성군 도일면 (道一面) |
양성군 구룡동면 (九龍洞面) |
승두리, 용두리 | 소사리, 진사리 | |
원곡면 | 반제리 | 용이리 | ||
양성군 반곡면(盤谷面) | 월곡리, 죽백리, 청룡리 | |||
양성군 원당면(元堂面) | 내가천리, 지문리, 칠곡리, 외가천리 | |||
양성군 승량원면(升良院面) | 산하리, 성은리, 성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