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원 (명나라)
생애편집
1592년 임진왜란 시기에 직위는 명군 부총병이었다. 총병 이여송의 부하로서 2000명의 응원군을 이끌고 좌협대장으로 약 11,000명을 지휘하고 평양성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1593년 벽제관 전투에서도 이여송을 구하는 등의 활약을 보였다.
정유재란이 시작되자 1597년 음력 5월 8일 요동기병 3,000을 이끌고 조선에 다시 응원군으로 참전. 총병 마귀의 휘하에 들어가 음력 6월 18일부터 전라도 남원성에 부임해 성의 방비 강화에 힘썼다. 음력 8월 13일부터 남원 전투가 시작되자 일본 좌군의 공격으로 고립무원(孤立無援) 속에서 농성전을 버텼으나 음력 8월 15일 남원성은 함락되었다. 다음날 양원은 남원성을 겨우 탈출하였으나 패전의 죄를 추궁당해 명군에 의해 처형당했다.
사후편집
1598년 음력 11월 8일에 그 수급이 한성의 남대문에 걸렸다. 조선에서는 평양 탈환의 공로로 평양성 서문 밖 무열묘에 화상을 봉안해 3대장 한명으로 모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