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바르 뭉크

노르웨이의 화가

에드바르 뭉크(노르웨이어: Edvard Munch, 1863년 12월 12일 ~ 1944년 1월 23일)는 노르웨이 출신의 표현주의 화가이자 판화 작가이다. 노르웨이에서는 국민적인 화가이다. 그의 초상이 1,000 크로네 지폐에도 그려져 있다.

에드바르 뭉크
1921. 뭉크
1921. 뭉크
신상정보
출생 1863년 12월 12일(1863-12-12)
스웨덴-노르웨이 스웨덴-노르웨이
사망 1944년 1월 23일(1944-01-23)(80세)
노르웨이 노르웨이 오슬로
국적 노르웨이 노르웨이
분야 미술
사조 표현주의
주요 작품
절규
영향

처음에는 신(新)인상파의 영향을 받아 점묘의 수법을 사용하여 삶과 죽음에의 극적이고 내면적인 그림을 그렸다. 1892년 베를린으로 이주, 그곳의 미술 협회에 출품했다.

작품으로 <절규>, <병든 소녀> 등이 있다.

생과 죽음의 문제 그리고 인간 존재의 근원에 존재하는 고독, 질투, 불안 등을 응시하는 인물을, 인물화를 통해 표현했다. 표현주의적인 화풍의 화가로 알려져 있다.

스웨덴-노르웨이 로이텐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빈민가에 사는 의사였다. 그 빈민가의 절실한 생활은 그의 마음에 새겨졌으며, 어릴 때에 어머니는 결핵으로 사별하고, 이어 누나까지 사망하였다. 죽음과 병에 대한 환각(망상)은 그에게 마음의 벽을 쌓게 했다. 그는 파리에서 인상파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색채를 강하게 바꾸어 그리는 화법을 구사하였다. 또 1892년에는 베를린 미술협회에 초청되어 대량의 작품을 출품했으나 그 이질적인 표현으로 공격을 받고, 다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1]

검열 편집

그는 나면서부터 몸이 약해 작품에도 그 영향이 드러나 있는데, 나치스퇴폐예술이라는 이유로 그의 그림을 몰수하기도 했다. 그래서 고 김수영 시인은 조선일보에서 고 이어령과 한 토론에서 문학사상을 혼동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권력이 검열로써 사상을 강요하는 것이 문제라고 비판하면서, 뭉크의 그림이 퇴폐 그림이라면서 나치 독일의 핍박을 받은 사건을 검열의 예로 들어 자신의 생각을 이어령에게 설명했다.(1968년) 군사독재 시기에 문화계 인사들은 사회의 어두운 면을 비판하면 현실을 부정적으로 그린다고, 가수 이미자 씨는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과 더불어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민주화운동인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써 정치적으로 민주화되면서 해금되었지만, 동백아가씨를 발표하자 왜색 노래를 부른다고, 심지어는 "아빠를 몰라요"라는 기러기 아빠 가사를 퇴폐, 음란이라면서 검열을 하는 등, 국가권력에게 핍박을 받았는데, 김수영 시인은 뭉크가 검열을 당한 사건을 예로 들어 비판함으로써 군사독재 정권의 사상과 양심의 자유, 표현의 자유 탄압을 비판하고 저항한 것이다.

절규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