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신내역
서울지하철 3, 6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연신내역(Yeonsinnae station, 연신내驛)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갈현동에 걸쳐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환승역이다.
3호선 스크린도어 | ||
6호선 스크린도어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지하849 | |
개업일 | 3호선 : 1985년 7월 12일 6호선 : 2000년 12월 15일 | |
역 번호 | 3호선 : 321 6호선 : 614 | |
승강장 구조 | 3호선 : 1면 2선(섬식) 6호선 : 1면 1선(단선) | |
노선 | ||
서울 지하철 3호선 | ||
대화 기점 22.8 km | ||
● 수도권 전철 3호선 | ||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응암 기점 4.2 km | ||
● 서울 지하철 6호선
613 독바위
(1.4 km) | ||
|
역사편집
역 구조편집
3호선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6호선 승강장은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다. 두 노선 역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7개가 있다.
3호선 승강장편집
구파발 ↑ |
| 하 상 | |
↓ 불광 |
상행 | ● 수도권 전철 3호선 | 구파발 · 지축 · 백석 · 정발산 · 대화 방면 |
---|---|---|
하행 | 불광 · 충무로 · 약수 · 수서 · 오금 방면 |
6호선 승강장편집
6호선은 곡선승강장으로 특정지역으로 분류되며, 승강장과 열차사이의 단차가 매우 넓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한다,
독바위 |
순환 | |
구산 ↓ |
순환 | ● 서울 지하철 6호선 | 응암·월드컵경기장·고려대·신내 방면 |
---|
환승편집
환승은 3호선 → 6호선 또는 6호선 → 3호선(독바위역에서 출발하는 승객만) 환승 때 연신내역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역 주변편집
사진편집
3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이용객 변동편집
서울교통공사가 역 전체 운영 및 게이트 운영을 담당하기 때문에 모든 이용객이 3호선 이용객으로 집계된다. 2010년 2월부터 집계된 6호선의 이용객 수는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승차량 파악을 위하여 자체적으로 집계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3호선 | 승차 | 31,169 | 33,700 | 35,119 | 35,719 | 36,864 | 37,006 | 36,763 | 36,761 | 37,022 | 38,887 | [3] |
하차 | 28,348 | 29,391 | 31,144 | 31,814 | 33,302 | 33,673 | 33,248 | 33,053 | 33,302 | 34,355 | ||
승하차 | 59,518 | 63,091 | 66,263 | 67,533 | 70,166 | 70,679 | 70,011 | 69,814 | 70,324 | 73,242 | ||
6호선 | 승차 | 미집계 | [4] | |||||||||
하차 | ||||||||||||
승하차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3호선 | 승차 | 39,079 | 40,042 | 40,998 | 41,496 | 42,224 | 42,215 | 42,637 | 42,870 | 42,642 | ||
하차 | 35,454 | 36,970 | 38,280 | 38,902 | 39,540 | 39,682 | 40,218 | 40,446 | 40,352 | |||
승하차 | 74,533 | 77,012 | 79,278 | 80,398 | 81,764 | 81,898 | 82,855 | 83,316 | 82,994 | |||
6호선 | 승차 | 11,803 | 12,029 | 12,367 | 12,499 | 12,713 | 12,329 | |||||
하차 | 10,741 | 11,145 | 11,608 | 11,764 | 11,946 | 11,633 | ||||||
승하차 | 22,543 | 23,173 | 23,975 | 24,263 | 24,659 | 23,962 |
인접한 역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서울 지하철 3호선 | ||
---|---|---|
320 구파발 대화 방면 |
● 수도권 전철 3호선 | 322 불광 오금 방면 |
서울 지하철 6호선 | ||
613 독바위 응암 순환 |
● 서울 지하철 6호선 | 615 구산 신내 방면 |
각주편집
-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1983년 9월 13일.
- ↑ 내의 의미는 개울[川]이나, 의미와 전혀 상관없는 內자가 사용된 것이므로 이를 바로잡기 위한 것이다.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