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
대한민국 전라남도ㆍ광주광역시의 강

영산강(榮山江)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담양군의 가마골 용소에서 발원하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젖줄로서 담양군을 지나 광주광역시, 나주시, 함평군, 영암군, 무안군, 목포시를 지나 서해로 흐르는 강이다. 황룡강과 광주천이 광주광역시에서 합류하고 지석천이 나주에서 함평천, 고막원천등이 함평에서 합류한다. 길이는 115.5Km이며 유역면적은 3,371km2이다.
영산강 | |
榮山江 Yeongsan River | |
(지리 유형: 강) | |
영산강의 하구
| |
나라 | 대한민국 |
---|---|
지방 | 전라남도 |
도시 | 광주광역시 · 나주시 · 목포시 |
섬 | 가래섬 · 조도 |
발원지 | 호남정맥의 용추산 |
- 위치 | 대한민국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의 용소 |
- 고도 | 584m (1916ft) |
- 좌표 | 북위 35° 26′ 45″ 동경 127° 01′ 18″ / 북위 35.445852° 동경 127.021777° |
하구 | 전라남도의 목포만 |
- 위치 |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영암군 |
- 좌표 | 북위 34° 47′ 31″ 동경 126° 26′ 52″ / 북위 34.791814° 동경 126.44783° |
길이 | 115.5 km (72 mi) |
면적 | 3,371 km2 (1,302 sq mi) |
지명의 유래편집
'영산'이라는 영산강 지명의 유래는 나주의 영산창(지금의 영산포)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유력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도 영산창이 언급되고 고려 시대부터 이 곳에서 조창이 생겨 인근 전라도 등의 전세를 여기에 모았다가 해상으로 서울로 운반했다고 한다. 또한 흑산도 사람들이 육지로 나와서 영산포에 살아서 영산현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지금의 흑산면 영산도와 그 해역을 영산포라고 부른다. 이렇게 볼때 '영산'이라는 지명은 흑산도에서 옮겨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다른 설들로는 영산포 영산동에 효부였던 영산 신씨를 기리는 영산사 때문에 바뀌었다는 설, 영산서원에 관련되어서 유래됐다는 것이 있다. 참고로 광주광역시에서는 극락강이라고 불린다.
발원지편집
영산강의 발원지는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용연리에 있는 가마골의 용소이다. (강의 길이로만 보면 황룡강의 상류인 병풍산 용흥사 계곡에서 발원하는 북하천이 더 길다.) 이후 담양호를 지나 담양댐부터 담양읍 경계까지 지방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다.
영산강의 지류편집
영산강의 지류는 다음과 같다. 아래 명기된 목록 이외에 소하천이 몇 곳 더 있다.
섬편집
광주광역시편집
- 제1하중도: 광주광역시 북구 용전동 566
- 제2하중도: 광주광역시 북구 지야동 610, 691-6
- 제3하중도: 광주광역시 북구 월출동 567-1
- 제4하중도: 광주광역시 북구 대촌동 46
- 제5하중도: 광주광역시 북구 연제동 730
- 제6하중도: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 824
- 제7하중도: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 762-3
- 제8하중도: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1132-1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