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부
예부(禮部)는 육부의 한 부서로 예의 및 음악과 제사 및 연회와 외교, 교육과 과거에 대한 사항을 담당하던 부서이다. 부서 장관은 예부상서이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시기부터 신해혁명 시기까지 존재하였으며, 한반도에서는 고려시대에 설치되어 조선시대 무렵에 예조로 교체되었다.
고려
편집- 사의서(司儀署) : 고려시대 의례의 진행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1]
- 국자감 : 국립 고등 교육 기관
- 통문관 : 역어교육(譯語敎育)과 통역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던 관청[9]
- 관현방 : 궁중 음악을 관장하던 국가 기관이다.
- 순천관 : 《고려도경》에서 송나라 사신들이 머물던 사신들의 객관. (현재 개성시 성균관 전각들)[10]
고려는 주요 섬들에 외교관 신분인 사신이나 상업을 위한 편의 시설을 갖추어 놓고 해로의 거점으로 활용하였다.[1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사의서 (司儀署)”.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 “봉선고 (奉先庫)”.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년 1월 3일에 확인함.
- ↑ “제 16권, 관부(官府) 부고(府庫)”. 《한국고전종합DB》. 선화봉사고려도경. 한국고전번역원.
- ↑ “혜민국 (惠民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 “왕건”. 《대구역사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년 8월 4일에 확인함.
- ↑ “고려 국조신화 (高麗 國祖神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천흥리 천흥 산신제”. 《디지털천안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소도독사”. 《디지털예산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년 8월 4일에 확인함.
- ↑ “통문관 (通文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1월 7일에 확인함.
- ↑ “만월대 이야기 > 만월대 사전 - 만월대의 옛 기록 > 1123년 송나라 사신들이 머물던 순천관”. 《개성만월대 남북공동발굴 디지털기록관》. 남북역사학자협의회. 2023년 12월 16일.
- ↑ 가 나 다 라 강봉룡 (2016년 12월). “바다로 보는 한국사”. 《역사학보》 (역사학회) 232: 147–200. doi:10.16912/tkhr.2016.12.232.147. 2023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강화교동도자신당”.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24년 8월 10일에 확인함.
이 글은 중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한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