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론 에서 수반 함자 (隨伴函子, 영어 : adjoint functor ) 또는 딸림 함자 (-函子)는 두 개의 함자 가 서로 간에 가질 수 있는 일종의 밀접한 관계이다. 이는 수학의 많은 분야에서 널리 나타나는 관계이며, 범주론 의 연구 대상이다.
두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
D
{\displaystyle {\mathcal {D}}}
사이의 두 함자
F
:
C
→
D
{\displaystyle F\colon {\mathcal {C}}\to {\mathcal {D}}}
G
:
D
→
C
{\displaystyle G\colon {\mathcal {D}}\to {\mathcal {C}}}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F
{\displaystyle F}
와
G
{\displaystyle G}
사이의 수반 (영어 : adjunction )
(
ϵ
,
η
)
{\displaystyle (\epsilon ,\eta )}
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자연 변환 의 순서쌍이다.
ϵ
:
F
G
⇒
id
D
{\displaystyle \epsilon \colon FG\Rightarrow \operatorname {id} _{\mathcal {D}}}
η
:
id
C
⇒
G
F
{\displaystyle \eta \colon \operatorname {id} _{\mathcal {C}}\Rightarrow GF}
여기서
id
C
:
C
→
C
{\displaystyle \operatorname {id} _{\mathcal {C}}\colon {\mathcal {C}}\to {\mathcal {C}}}
및
id
D
:
D
→
D
{\displaystyle \operatorname {id} _{\mathcal {D}}\colon {\mathcal {D}}\to {\mathcal {D}}}
는 항등 함자이다.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id
F
=
ϵ
F
∘
F
η
{\displaystyle \operatorname {id} _{F}=\epsilon F\circ F\eta }
id
G
=
G
ϵ
∘
η
G
{\displaystyle \operatorname {id} _{G}=G\epsilon \circ \eta G}
여기서
id
F
:
F
⇒
F
{\displaystyle \operatorname {id} _{F}\colon F\Rightarrow F}
및
id
G
:
G
⇒
G
{\displaystyle \operatorname {id} _{G}\colon G\Rightarrow G}
는 항등 자연 변환 이다. 즉, 다음 두 그림이 가환하여야 한다.
F
→
F
η
F
G
F
id
F
↘
↓
ϵ
F
F
G
→
η
G
G
F
G
id
G
↘
↓
G
ϵ
G
{\displaystyle {\begin{matrix}F&{\xrightarrow {F\eta }}&FGF\\&{\scriptstyle \operatorname {id} _{F}}\searrow &\downarrow \scriptstyle \epsilon F\\&&F\end{matrix}}\qquad {\begin{matrix}G&{\xrightarrow {\eta G}}&GFG\\&{\scriptstyle \operatorname {id} _{G}}\searrow &\downarrow \scriptstyle G\epsilon \\&&G\end{matrix}}}
이 경우,
F
{\displaystyle F}
를
G
{\displaystyle G}
의 왼쪽 수반 함자 (-隨伴函子, 영어 : left-adjoint functor )라고 하고,
G
{\displaystyle G}
를
F
{\displaystyle F}
의 오른쪽 수반 함자 (-隨伴函子, 영어 : right-adjoint functor )라고 하며,
ϵ
{\displaystyle \epsilon }
은 쌍대단위원 (雙對單位元, 영어 : counit ),
η
{\displaystyle \eta }
는 단위원 (單位元, 영어 : unit )이라고 한다. 이는 기호로
F
⊣
G
{\displaystyle F\dashv G}
또는
F
:
C
⇆
D
:
G
{\displaystyle F\colon {\mathcal {C}}\leftrightarrows {\mathcal {D}}\colon G}
와 같이 쓴다.
두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
D
{\displaystyle {\mathcal {D}}}
사이의 두 함자
F
:
C
→
D
{\displaystyle F\colon {\mathcal {C}}\to {\mathcal {D}}}
G
:
D
→
C
{\displaystyle G\colon {\mathcal {D}}\to {\mathcal {C}}}
사이의 수반 은 다음과 같은 보편 성질 을 만족시키는 사상들로 이루어진 자연 변환
ϵ
:
F
G
⇒
id
D
{\displaystyle \epsilon \colon FG\Rightarrow \operatorname {id} _{\mathcal {D}}}
이다.
임의의 대상
Y
∈
ob
(
D
)
{\displaystyle Y\in \operatorname {ob} ({\mathcal {D}})}
및
X
∈
ob
(
C
)
{\displaystyle X\in \operatorname {ob} ({\mathcal {C}})}
및 사상
f
:
F
(
X
)
→
Y
{\displaystyle f\colon F(X)\to Y}
에 대하여,
f
=
ϵ
Y
F
(
g
)
{\displaystyle f=\epsilon _{Y}F(g)}
인 유일한 사상
g
:
X
→
G
(
Y
)
{\displaystyle g\colon X\to G(Y)}
가 존재한다.
F
G
(
Y
)
→
ϵ
Y
Y
G
(
∃
!
g
)
↑
↗
f
F
(
X
)
{\displaystyle {\begin{matrix}FG(Y)&\xrightarrow {\epsilon _{Y}} &Y\\{\scriptstyle G(\exists !g)}\uparrow &\nearrow {\scriptstyle f}\\F(X)\end{matrix}}}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
{\displaystyle F}
와
G
{\displaystyle G}
사이의 수반 은 다음과 같은 보편 성질 을 만족시키는 사상들로 이루어진 자연 변환
η
:
id
C
⇒
G
F
{\displaystyle \eta \colon \operatorname {id} _{\mathcal {C}}\Rightarrow GF}
이다.
임의의 대상
X
∈
ob
(
C
)
{\displaystyle X\in \operatorname {ob} ({\mathcal {C}})}
및
Y
∈
ob
(
D
)
{\displaystyle Y\in \operatorname {ob} ({\mathcal {D}})}
및 사상
f
:
X
→
G
(
Y
)
{\displaystyle f\colon X\to G(Y)}
에 대하여,
f
=
G
(
g
)
∘
η
X
{\displaystyle f=G(g)\circ \eta _{X}}
인 유일한 사상
g
:
F
(
X
)
→
Y
{\displaystyle g\colon F(X)\to Y}
이 존재한다.
X
→
η
X
G
F
(
X
)
∀
f
↘
↓
G
(
∃
!
g
)
G
(
Y
)
{\displaystyle {\begin{matrix}X&\xrightarrow {\eta _{X}} &GF(X)\\&{\scriptstyle \forall f}\searrow &\downarrow {\scriptstyle G(\exists !g)}\\&&G(Y)\end{matrix}}}
이 두 정의는 쌍대단위원과 단위원을 통한 정의와 동치 이다. 구체적으로,
(
ϵ
,
η
)
{\displaystyle (\epsilon ,\eta )}
가 쌍대단위원과 단위원의 순서쌍을 이룬다면,
ϵ
{\displaystyle \epsilon }
과
η
{\displaystyle \eta }
를 이루는 사상들은 두 정의에서의 보편 성질 을 각각 만족시킨다. 반대로, 자연 변환
ϵ
:
F
G
⇒
id
D
{\displaystyle \epsilon \colon FG\Rightarrow \operatorname {id} _{\mathcal {D}}}
을 이루는 사상들이 보편 성질 을 만족시킨다면, 이를 쌍대단위원으로 삼는 단위원
η
:
id
C
⇒
G
F
{\displaystyle \eta \colon \operatorname {id} _{\mathcal {C}}\Rightarrow GF}
을 찾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보편 성질 을 만족시키는 자연 변환
η
:
id
C
⇒
G
F
{\displaystyle \eta \colon \operatorname {id} _{\mathcal {C}}\Rightarrow GF}
에 대하여, 이를 단위원으로 하는 쌍대단위원
ϵ
:
F
G
⇒
id
D
{\displaystyle \epsilon \colon FG\Rightarrow \operatorname {id} _{\mathcal {D}}}
을 찾을 수 있다.
C
{\displaystyle {\mathcal {C}}}
와
D
{\displaystyle {\mathcal {D}}}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라면, 이 두 범주 사이의 수반 함자
F
:
C
⇆
D
:
G
{\displaystyle F\colon {\mathcal {C}}\leftrightarrows {\mathcal {D}}\colon G}
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
{\displaystyle F}
와
G
{\displaystyle G}
사이의 수반 은 함자
hom
D
(
F
(
−
)
,
−
)
:
C
op
×
D
→
Set
{\displaystyle \hom _{\mathcal {D}}(F(-),-)\colon {\mathcal {\mathcal {C}}}^{\operatorname {op} }\times {\mathcal {D}}\to \operatorname {Set} }
hom
C
(
−
,
G
(
−
)
)
:
C
op
×
D
→
Set
{\displaystyle \hom _{\mathcal {C}}(-,G(-))\colon {\mathcal {\mathcal {C}}}^{\operatorname {op} }\times {\mathcal {D}}\to \operatorname {Set} }
사이의 자연 동형
Φ
:
hom
D
(
F
(
−
)
,
−
)
⇒
hom
C
(
−
,
G
(
−
)
)
{\displaystyle \Phi \colon \hom _{\mathcal {D}}(F(-),-)\Rightarrow \hom _{\mathcal {C}}(-,G(-))}
이다.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의 경우, 쌍대단위원 및 단위원을 통한 정의와 사상 집합을 통한 정의는 서로 동치 이다. 구체적으로, 쌍대단위원
ϵ
:
F
G
⇒
id
D
{\displaystyle \epsilon \colon FG\Rightarrow \operatorname {id} _{\mathcal {D}}}
과 단위원
η
:
id
C
⇒
G
F
{\displaystyle \eta \colon \operatorname {id} _{\mathcal {C}}\Rightarrow GF}
의 순서쌍이 주어졌을 때,
Φ
X
,
Y
:
(
F
(
X
)
→
f
Y
)
⟼
(
X
→
η
X
G
F
(
X
)
→
G
(
f
)
G
(
Y
)
)
(
X
∈
ob
(
C
)
,
Y
∈
ob
(
D
)
)
{\displaystyle \Phi _{X,Y}\colon (F(X)\xrightarrow {f} Y)\longmapsto (X\xrightarrow {\eta _{X}} GF(X)\xrightarrow {G(f)} G(Y))\qquad (X\in \operatorname {ob} ({\mathcal {C}}),\;Y\in \operatorname {ob} ({\mathcal {D}}))}
는 자연 동형 을 이룬다. 반대로, 자연 동형
Φ
:
hom
D
(
F
(
−
)
,
−
)
⇒
hom
C
(
−
,
G
(
−
)
)
{\displaystyle \Phi \colon \hom _{\mathcal {D}}(F(-),-)\Rightarrow \hom _{\mathcal {C}}(-,G(-))}
이 주어졌을 때, 항등 사상에 대응하는 사상
ϵ
Y
=
Φ
G
(
Y
)
,
Y
−
1
(
id
G
(
Y
)
)
(
Y
∈
ob
(
D
)
)
{\displaystyle \epsilon _{Y}=\Phi _{G(Y),Y}^{-1}(\operatorname {id} _{G(Y)})\qquad (Y\in \operatorname {ob} ({\mathcal {D}}))}
η
X
=
Φ
X
,
F
(
X
)
(
id
F
(
X
)
)
(
X
∈
ob
(
C
)
)
{\displaystyle \eta _{X}=\Phi _{X,F(X)}(\operatorname {id} _{F(X)})\qquad (X\in \operatorname {ob} ({\mathcal {C}}))}
들은
F
,
G
{\displaystyle F,G}
의 쌍대단위원과 단위원을 이룬다.
다음과 같은 범주가 주어졌다고 하자.
D
{\displaystyle {\mathcal {D}}}
는
C
{\displaystyle {\mathcal {C}}}
는 범주이다.
프레이드 수반 함자 정리 (영어 : Freyd adjoint functor theorem )에 따르면, 함자
G
:
D
→
C
{\displaystyle G\colon {\mathcal {D}}\to {\mathcal {C}}}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1] :121, Theorem V.6.2
G
{\displaystyle G}
는 왼쪽 수반 함자를 갖는다.
G
{\displaystyle G}
는 모든 작은 극한 을 보존하며, 해집합 조건 을 만족시킨다.
여기서 해집합 조건 (解集合條件, 영어 : solution set condition )이란 다음과 같다. 임의의 대상
X
∈
C
{\displaystyle X\in {\mathcal {C}}}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대상들의 집합
{
X
~
i
}
i
∈
I
⊆
D
{\displaystyle \{{\tilde {X}}_{i}\}_{i\in I}\subseteq {\mathcal {D}}}
및 사상들의 집합
{
f
i
:
X
→
G
(
X
~
i
)
}
i
∈
I
{\displaystyle \{f_{i}\colon X\to G({\tilde {X}}_{i})\}_{i\in I}}
이 존재한다.
임의의
Y
~
∈
D
{\displaystyle {\tilde {Y}}\in {\mathcal {D}}}
및 사상
g
:
X
→
G
(
Y
~
)
{\displaystyle g\colon X\to G({\tilde {Y}})}
에 대하여,
g
=
G
(
g
~
)
∘
f
i
{\displaystyle g=G({\tilde {g}})\circ f_{i}}
를 만족시키는
i
∈
I
{\displaystyle i\in I}
및
g
~
:
X
~
i
→
Y
~
{\displaystyle {\tilde {g}}\colon {\tilde {X}}_{i}\to {\tilde {Y}}}
가 존재한다.
X
→
g
G
(
Y
~
)
f
i
↓
‖
G
(
X
~
i
)
→
G
(
g
~
)
G
(
Y
~
)
{\displaystyle {\begin{matrix}X&{\overset {g}{\to }}&G({\tilde {Y}})\\{\scriptstyle f_{i}}\downarrow &&\|\\G({\tilde {X}}_{i})&{\underset {G({\tilde {g}})}{\to }}&G({\tilde {Y}})\end{matrix}}}
만약 실제로 어떤 수반 함자쌍
F
:
C
⇆
D
:
G
{\displaystyle F\colon {\mathcal {C}}\leftrightarrows {\mathcal {D}}\colon G}
이 존재한다면, 대상
X
∈
C
{\displaystyle X\in {\mathcal {C}}}
에 대하여
I
=
{
0
}
{\displaystyle I=\{0\}}
X
~
0
=
F
(
X
)
{\displaystyle {\tilde {X}}_{0}=F(X)}
f
:
X
→
G
(
F
(
X
)
)
=
G
(
X
~
0
)
{\displaystyle f\colon X\to G(F(X))=G({\tilde {X}}_{0})}
로 놓으면 해집합 조건이 자명하게 성립한다. 즉, 프레이드 수반 함자 정리에서 자명하지 않은 경우는 해집합 조건으로부터 왼쪽 수반 함자를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범주가 주어졌다고 하자.
D
{\displaystyle {\mathcal {D}}}
는
C
{\displaystyle {\mathcal {C}}}
는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이다.
특수 수반 함자 정리 (영어 : special adjoint functor theorem )에 따르면, 함자
G
:
D
→
C
{\displaystyle G\colon {\mathcal {D}}\to {\mathcal {C}}}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1] :129, Theorem V.8.2
G
{\displaystyle G}
는 왼쪽 수반 함자를 갖는다.
G
{\displaystyle G}
는 모든 작은 극한 을 보존하며, 단사 사상 들의 (집합 이 아닐 수 있는) 모임 의 당김 을 보존한다.
대수 구조 다양체 의 범주
V
{\displaystyle {\mathcal {V}}}
에서, 자유 대수 함자
⟨
−
⟩
:
Set
→
V
{\displaystyle \langle -\rangle \colon \operatorname {Set} \to {\mathcal {V}}}
는 망각 함자
|
−
|
:
V
→
Set
{\displaystyle |-|\colon {\mathcal {V}}\to \operatorname {Set} }
의 왼쪽 수반 함자를 이룬다.
⟨
−
⟩
⊣
|
−
|
{\displaystyle \langle -\rangle \dashv |-|}
데카르트 닫힌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임의의 대상
X
∈
C
{\displaystyle X\in {\mathcal {C}}}
에 대하여, 곱 함자
−
×
X
:
C
→
C
{\displaystyle -\times X\colon {\mathcal {C}}\to {\mathcal {C}}}
−
×
X
:
Y
↦
Y
×
X
{\displaystyle -\times X\colon Y\mapsto Y\times X}
는 지수 대상 함자
(
−
)
X
:
C
→
C
{\displaystyle (-)^{X}\colon {\mathcal {C}}\to {\mathcal {C}}}
(
−
)
X
:
Y
↦
Y
X
{\displaystyle (-)^{X}\colon Y\mapsto Y^{X}}
의 왼쪽 수반 함자를 이룬다.
−
×
X
⊣
(
−
)
X
{\displaystyle -\times X\dashv (-)^{X}}
집합 과 함수 의 범주에서의 곱-지수 수반은 커링 이라고 한다.
다른 범주의 경우, 지수 대상 함자가 왼쪽 수반을 가지지만, 이 함자가 범주론적 곱 이 아닌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왼쪽 수반은 보통 텐서곱 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의 범주의 경우 텐서곱은 통상적인 벡터 공간의 텐서곱
⊗
{\displaystyle \otimes }
이다.)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및 범주
J
{\displaystyle {\mathcal {J}}}
가 주어졌고, 모든 함자
D
:
J
→
C
{\displaystyle D\colon {\mathcal {J}}\to {\mathcal {C}}}
의 극한 이 존재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극한 함자
lim
←
:
C
J
→
C
{\displaystyle \varprojlim \colon {\mathcal {C}}^{\mathcal {J}}\to {\mathcal {C}}}
는 왼쪽 수반 함자
Δ
⊣
lim
←
{\displaystyle \Delta \dashv \varprojlim }
를 가진다. 이는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대상을 상수 함자에 대응시킨다.
Δ
:
C
→
C
J
{\displaystyle \Delta \colon {\mathcal {C}}\to {\mathcal {C}}^{\mathcal {J}}}
Δ
:
X
↦
(
J
↦
X
)
{\displaystyle \Delta \colon X\mapsto (J\mapsto X)}
예를 들어,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곱 을 갖는 범주라고 하자. 그렇다면
(
−
)
2
:
C
2
→
C
{\displaystyle (-)^{2}\colon {\mathcal {C}}^{2}\to {\mathcal {C}}}
(
−
)
2
:
X
↦
X
×
X
{\displaystyle (-)^{2}\colon X\mapsto X\times X}
Δ
:
C
→
C
2
{\displaystyle \Delta \colon {\mathcal {C}}\to {\mathcal {C}}^{2}}
Δ
:
X
↦
(
X
,
X
)
{\displaystyle \Delta \colon X\mapsto (X,X)}
는 서로 수반 함자를 이룬다.
Δ
⊣
(
−
)
2
{\displaystyle \Delta \dashv (-)^{2}}
마찬가지로,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및 범주
J
{\displaystyle {\mathcal {J}}}
가 주어졌고, 모든 함자
D
:
J
→
C
{\displaystyle D\colon {\mathcal {J}}\to {\mathcal {C}}}
의 쌍대극한 이 존재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쌍대극한 함자
lim
→
:
C
J
→
C
{\displaystyle \varinjlim \colon {\mathcal {C}}^{\mathcal {J}}\to {\mathcal {C}}}
는 오른쪽 수반 함자
lim
→
⊣
Δ
{\displaystyle \varinjlim \dashv \Delta }
를 가진다. 즉, 만약 해당 극한 및 쌍대극한이 동시에 존재한다면
lim
→
⊣
Δ
⊣
lim
←
{\displaystyle \varinjlim \dashv \Delta \dashv \varprojlim }
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