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
오스트레일리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는 6번 출전하여 1992년 대회에서 4위의 성적을 거두었고 AFC U-23 챔피언십 본선에는 4번 출전하여 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한 2020년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하며 3위를 기록했고 이 성적을 바탕으로 12년만에 통산 6번째 올림픽 본선 티켓을 획득했다.
![]() | |||
---|---|---|---|
별칭 | Olyroos | ||
연맹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 | ||
대륙 | AFC | ||
감독 | 그레이엄 아널드 | ||
주장 | 라일리 맥그리 | ||
최다 득점자 | 마크 비두카 (17) | ||
FIFA 코드 | AUS | ||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누벨칼레도니 누메아; 1967년 11월 6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1996년 1월 25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스페인 바르셀로나; 1992년 8월 5일) | |||
올림픽 | |||
출전 횟수 | 6회 (1992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4위 (1992년) | ||
AFC U-23 챔피언십 | |||
출전 횟수 | 3회 (2014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3위 (2020년) |
주요 대회 성적편집
올림픽편집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1] | |||||||||
1992년 | 4위 | 6 | 2 | 1 | 3 | 8 | 12 | ||
1996년 | 조별예선 | 3 | 1 | 0 | 2 | 4 | 6 | ||
2000년 | 조별예선 | 3 | 0 | 0 | 3 | 3 | 6 | ||
2004년 | 8강 | 4 | 1 | 1 | 2 | 6 | 4 | ||
2008년 | 조별예선 | 3 | 0 | 1 | 2 | 1 | 3 | ||
2012년 | 예선 탈락 | ||||||||
2016년 | |||||||||
2020년 | 본선 진출 | ||||||||
합계 | 6/8 | 19 | 4 | 3 | 12 | 22 | 31 |
AFC U-23 챔피언십편집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2014년 | 8강 | 4 | 2 | 0 | 2 | 3 | 6 | |
2016년 | 조별예선 | 3 | 1 | 1 | 1 | 2 | 1 | |
2018년 | 조별예선 | 3 | 1 | 0 | 2 | 5 | 5 | |
2020년 | 3위 | 6 | 3 | 2 | 1 | 6 | 5 | |
합계 | 4/4 | 16 | 7 | 3 | 6 | 16 | 17 | |
순위 | AFC U-23 챔피언십 통산 순위: 7위 |
- 참고: AFC U-23 챔피언십이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역할을 한다.
각주편집
- ↑ 이 문서에서는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부터의 내용만 다룬다. 이 이전의 기록은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참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