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수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1944년 출생)
오영수(吳永洙[1], 본명: 오세강, 1944년 10월 19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주로 연극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오영수 | |
---|---|
![]() 2009년 더팩트와 인터뷰한 사진 | |
본명 | 오세강 |
출생 | 1944년 10월 19일 일제강점기 경기도 개풍군 | (78세)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배우 |
자녀 | 슬하 1녀 |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이 역으로 골든 글로브상 TV부문 남우조연상을 수상하여 골든 글로브를 수상한 최초의 한국 배우가 되었다.[2]또한, 동료 배우인 박해수와 함께 프라임타임 에미상 극드라마 부문 남우조연상 후보로 올랐다.
경력편집
1963년 극단 광장을 통해 연극계에 입문한 오영수는 이후 극단 자유에서 활동한다.[3]
1981년 방영된 MBC 드라마 《제1공화국》<제12화>에서 간첩을 기소하는 군검사 역으로 드라마에 데뷔한다.[4]1982년에는 극단 자유에서 활동하던 중 영화 《삐에로와 국화》에 출연하면서 1980년대의 몇몇 영화에 등장하였다.[5] 이후로 2000년대에는 스님 연기를 선보이며 드라마와 영화 양쪽에 종종 출연하였다.[3]
출연 작품편집
연극편집
연도 | 제목 | 역할 | 공연위치 | 비고 |
---|---|---|---|---|
1971 | 그 여자 사람잡네[6] | 신부 | ||
1972 | 포로들[7] | 참모 | 국립극장(서울 명동) | |
1979 | 그 여자 사람잡네[6] | 다니엘 | ||
1987 | 꿈하늘 : 단재 신채호 Heaven in a Dream[7] | 장지연 | 국립극장 소극장 (서울) | 3월, 정기공연 제125회 |
꿈하늘 : 단재 신채호 Heaven in a Dream[7] | 국립극장 소극장 (서울) | 5월, 정기공연 제126회, 1987 청소년 공연 예술제 | ||
들오리 The Wild Duck[7] | 손님 및 고용인 | 국립극장 소극장 (서울) | 6월 | |
꿈하늘 : 단재 신채호 Heaven in a Dream[7] | 장지연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서울) | 8월, 정기공연 제128회, 제11회 서울연극제 축하공연 | |
침묵의 바다[7] | 강서방 | 국립극장 소극장 (서울) | 12월 | |
1988 | 말괄량이 길들이기The Taming of the Shrew[7] | 장지연 | 서울대학교 (관악) | 4월, 대학순회공연 |
팔곡병풍Palgokbyungpung (eight-section folding screen)[7] | 염라대왕 | 국립중앙극장 대극장 (서울) | 9월, 정기공연 제133회 서울올림픽 문화예술축전 서울국제연극제 참가작 | |
뇌우Thunderstorm[7] | 하인 | 국립중앙극장 대극장 (서울) | 10월, 정기공연 제134회 국립극장 개관(장충동) 15주년 기념 | |
2016 | 그 여자 사람잡네[6] | 형사부장 | ||
2016 | 두 영웅[6] | 사명대사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2월 |
텔레비전 프로그램 (드라마)편집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81 | 제1공화국 | 군법무관 | 제12화[4] |
1983 | 전우 | 종군기자 | |
1984 | 설중매 | 임원준 | |
1986 | 북으로 간 여배우 | 나웅 | |
회천문 | 윤선도 | ||
1988 | 따뜻한 남쪽나라 | 쿠노 쥬지 | |
전원일기 | |||
MBC 베스트셀러극장 - 샴푸의 요정 | 광고 감독 | ||
1989 | 조명하 | 조명하 1부작 | |
천사의 선택 | 양일수 | ||
1990 | 김형사 강형사 | 춘식 | |
1995 | 김구 | 허정 | |
2004 | MBC 베스트극장 - 소림사에는 형님이 산다 | 노스님 | |
2006 | 연개소문 | 난승 | |
HD TV문학관 - 달의 제단 | 상룡 조부 | ||
2009 | 돌아온 일지매 | 열공스님 | [5] |
선덕여왕 | 월천대사 | ||
2012 | 무신 | 수기대사 | |
KBS 드라마 스페셜 - 불이문(不二門) | 노승 | ||
2015 | 초대 | 강직 | |
2021 | 오징어 게임 | 오일남 | [5] |
영화편집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82 | 삐에로와 국화 | [8] | |
1983 | 여자가 밤을 두려워하랴 | [8] | |
1986 | 엘리베이터 올라타기 | 배한철 | [8] |
1987 | 바람 부는 날에도 꽃은 피고 | [8] | |
1998 | 퇴마록 | 노 신부 | [5] |
2003 | 동승 | 주지스님 | [5] |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 노 스님 | [5] |
CF편집
수상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오영수”.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공연정보 - 인물·단체. 국립극단. 2022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오징어게임' 오영수, 골든글로브 남우조연상…한국배우 최초”. 연합뉴스. 2022년 1월 10일. 2022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네이버 프로필”. 《네이버》. 2022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김채현 (2021년 10월 4일). ““우린 깐부야”···‘오징어게임’ 오일남(오영수), 상남자 과거”. 《서울신문》. 2022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오영수”. 《KMDb》. 한국영상자료원. 2022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2월의 만남 : 오영수” (PDF). 《월간 극장과 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6년 2월. 12-17쪽. 2022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오영수 - 공연·활동”.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공연정보 - 인물·단체. 국립극단. 2022년 1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오영수”. 《KMDb》. 한국영상자료원. 2022년 1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