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대 습윤 기후

온대 습윤 기후(溫帶濕潤氣候)는 쾨펜 기후 구분에서 온대에 속하는 기후로, 건기가 거의 없고, 온화한 것이 특징이다. 사람이 살기에 매우 적합한 환경이며, 벼농사나 낙농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기호로는 Cf 로 나타낸다.

Cfa, Cfb, Cfc 가 온대 습윤 기후이다.
온대 습윤 기후는 태풍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온대 습윤 기후에 속하는 지역으로는, 북아메리카 남동부, 서유럽, 창 강 유역, 대한민국 황해 연안의 대부분과 동해 연안, 일본 혼슈, 규슈, 시코쿠 지역 등이 있다. (지도참조) 대륙 서부는 해양성 기후의 특징을 가졌고, 대륙 동안[1]는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가졌다.

대륙의 동안은 계절풍(몬순)의 영향을 받고, 여름철에 강수가 다소 집중되고 추운 겨울과 열대성 저기압태풍에 피해를 많이 입는다. 대륙 서안[2] 지역은 편서풍과 해류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 겨울이 따뜻하고, 여름은 서늘하며, 연중 강수량이 고르다.

각주편집

  1. 보통 위도 25˚와 40˚ 사이의 지역을 말하며, 주로 벼농사를 한다.
  2. 위도 40˚ 와 60˚ 사이의 지역을 말하며, 주로 혼합·낙농업이 발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