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 눈물

이성계의 조선 개국에서 세종조까지의 개국사를 그린 드라마

용의 눈물》은 1996년 11월 24일부터 1998년 5월 31일까지 방송되었던 KBS 1TV 대하 드라마이며 이환경 작가의 사극 시리즈 3부작 중 제1부에 해당한다(제2부는 태조 왕건, 제3부는 야인시대).[3]

용의 눈물
龍의 눈물
장르 사극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1TV
방송 기간 1996년 11월 24일 ~ 1998년 5월 31일
방송 시간 매주 주말 밤 9시 45분
방송 횟수 159부작
원작
박종화
  • 소설
  • 세종대왕
책임프로듀서 윤흥식 (KBS 드라마운영팀)
프로듀서 이교욱
촬영 지한규
제작 KBS 드라마본부
연출 김재형
각본 이환경
출연자 김무생, 김영란, 유동근, 최명길
해설 김종성이강식[1][2]
여는 곡 임택수 - 용의 눈물 (Tears Of The Dragon)

등장 인물 편집

주요 인물 편집

왕실 인물 편집

태조 관련 편집

정종 관련 편집

태종 관련 편집

세종 관련 편집

기타 편집

조선의 문신 & 무신 편집

정도전 일파 편집

이방원 일파 편집

외척 편집

그 외 문신 & 무신 편집

궁궐 사람들 편집

조사의의 난 편집

고려 편집

명나라 편집

여진 편집

일본 편집

승려 편집

그 외 인물 편집

결방 편집

2회 연속 방영 편집

  • 1997년 2월 9일 : 22회, 23회 연속 방영
  • 1998년 1월 25일 : 122회, 123회 연속 방영

수상 편집

참고 사항 편집

작가 & 감독 관련 편집

  • 원래 정하연 작가가 집필자로 낙점됐으나 최종 고사하였다.[5] 이에 김재형 PD가 이환경 작가를[6] 정하연 작가의 대타 집필자로 간신히 추천했다.
  • 연출자 김재형은 해당 드라마 촬영 당시 조연급 탤런트들로부터 금품을 받았다는 이유로[7] 1999년 8월 19일 배임수재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었고[8] 결국 같은 해 11월 26일, 서울지검으로부터 징역 2년, 추징금 1612만원의 구형을 받았다.[9]
  • 연출자 김재형은 해당 드라마의 원작소설인 〈세종대왕〉 연재(조선일보)가 끝났을 무렵(1977년 2월) 이 작품을 극화하겠다고 당시 근무한 TBC에 제안을 했지만[10] 소설 도입부의 위화도 회군 내용이 쿠데타로 집권한 정부의 심기를 건드릴 소지가 있다는 의견이 많아 무산되기도 했다.
  • 작가 이환경과 담당 PD 김재형은 뒷날 <태조 왕건>에서 집필자-연출자로 재회할 예정이었지만[11] 김재형 PD가 불미스러운 일[12]로 하차하는 바람에 재회는 무산됐고 <용의 눈물>이 김재형의 KBS에서의 마지막 연출작이 됐다.

캐스팅 관련 편집

  • 유동근(태종 이방원 역)은 작가 이환경이 그 이후 차기작으로 선택한 KBS 1TV <태조 왕건>에서 왕건 역 물망에 한때 거론되었으나 사극에 많이 출연해 특정 이미지가 굳어진 배우는 배제한다는 이유로[13] 출연하지 않았다.
  • 이덕화가 이방원 역으로 한때 거론되었지만 본인이 최종 고사하였다.[14]
  • 전인화는 해당 작품에서 원경왕후 역에 한때 거론되기도 했다.
  • 덕실 역의 김혜리는 당초 비중이 없는 역할이었으나, 점차 비중이 늘어 제 2의 전성기를 맞았다.[15]
  • 송윤아는 해당 작품 시작 당시 경순공주 역을 제의받았으나 영화 출연 때문에 거절하였고, 뒤늦게 서원부부인 정씨 역으로 해당 작품에 합류하였다.[16]

그 외 편집

  • 최고 시청률 49%, 평균 20%대를 기록하였다.[17] 초반에는 반응이 저조했지만 당시 경쟁 상대인 SBS <임꺽정>이 끝난 뒤 시청률이 상승했다.[18]
  • 처음 기획 당시 100부작이었지만 첫 회가 일요일인 1996년 11월 24일 시작된 데다[19] 대선정국과 맞물려 시청자에게 좋은 반응을 얻어[20] 여러 차례의 연장 끝에 159부작으로 막을 내렸다.
  • 제2차 왕자의 난을 다루는 장면에서 이방원이 타고 다니는 백마에 DJ라는 영문 이니셜이 새겨져 당시 제15대 대통령 선거로 관련해 정치권에서 논란이 일었다. 김재형 감독은 말 목장 소유주의 표시일 뿐 정치에 관심없다고 해명했지만, 김대중 측 인물들은 촬영장에 방문하여 "고맙다"고 하면서 선거에 이용하였고, 김대중 본인도 해프닝에 대해 "하늘의 계시"라고 발언하며, 용의 눈물 촬영장에 방문했다.[21][22][23]
  • 칼로 배를 찔러 관통시키는 등 가족시청시간대에 지나친 충격을 줘 방송위원회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았다.[24]
  • 역사의 교훈을 주제로 내걸었음에도 외로움을 참지 못해 내시 이만과 통정한 세자빈 유씨, 이를 빌미삼아 세자 이방석을 폐하려 한 이방원의 부인 원경왕후 민씨, 세자빈 유씨와 이만을 죽임으로써 파문을 서둘러 마무리하려는 태조 이성계의 부인 신덕왕후 강씨 등 궁궐 여인들의 암투를 그려 시청자들의 시선을 자극하는 것이 모양새가 좋지 않다는 비판이 있었다.[25]
  • 1997년 5월 17일부터 4회에 걸쳐 전개된 '1차 왕자의 난' 등을 다룬 이후에는 선빈 안씨를 둘러싼 이방원과 원경왕후 민씨의 대립, 함흥차사로 표현되는 이방원과 아버지 이성계의 갈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내용을 다루었으나 선빈 안씨의 등장이 극중에서 세세하게 다뤄질 만큼 큰 사건이란 지적이 있었다.[26]
  • 원경왕후-선빈 안씨 뿐 아니라 이방원과의 사이에서 경녕군을 낳은 뒤 당당히 정 1품 빈의 자리에 올랐지만 출신 성분의 콤플렉스와 착한 성품 탓인지 민씨와 선빈 사이에서 기를 펴지 못한 효빈 김씨 등[27] 여인들의 궁중암투를 지나치게 그렸다는 혹평이 있었다.
  • 유희경 전통 복식에 자문을 맡았다.

각주 편집

  1. 초기 성우 김종성이 해설했으나 후에 성우 이강식이 해설하였다.
  2. '용의 눈물'얼굴없는 주인공 드라마'용의 눈물'해설자 성우 이강식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 1998년 5월 25일 작성
  3. KBS TV 대하사극'용의눈물'종방 자축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 1998년 5월 19일 작성
  4. “형제 (KBS 1TV 8일 밤 9시 35분)”. 한겨레신문. 1997년 2월 7일. 2018년 11월 28일에 확인함. 
  5. 진성호 (1998년 6월 9일). “[KBS 왕과비] `아류' 한계 극복할 수 있을까”. 조선일보. 2017년 1월 25일에 확인함. 
  6. “나의 젊음,나의 사랑 PD 김재형 (10) 열연·스케일로 이룬‘용의 신화’”. 경향신문. 1998년 11월 3일. 2020년 8월 20일에 확인함. 
  7. 옥철 (1999년 8월 4일). “`용의눈물' 연출가 김재형씨 소환.조사”. 연합뉴스. 2017년 1월 25일에 확인함. 
  8. 이충원 (1999년 8월 19일). “김재형PD 불구속기소”. 연합뉴스. 2017년 1월 25일에 확인함. 
  9. 이명진 (1999년 10월 26일). “[서울지검] 김재형PD 징역2년 구형”. 조선일보. 2017년 1월 25일에 확인함. 
  10. “나의 젊음,나의 사랑 PD 김재형 (10) 열연·스케일로 이룬‘용의 신화’”. 경향신문. 1998년 11월 3일. 2020년 8월 20일에 확인함. 
  11. 조연현 (1999년 2월 3일). '왕건' 천년만에 부활”. 한겨레신문. 201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12. 최우규 (1999년 8월 7일). “KBS, '태조 왕건' PD 교체키로”. 경향신문. 201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13. 김기철 (1999년 9월 30일). “[KBS] ‘왕건’역에 최수종… "차별성 높이 샀다". 조선일보. 2016년 10월 20일에 확인함. 
  14. 이정희 (1997년 7월 10일). “SBS「이웃집여자」호남역 이덕화, 막노동꾼 변신”. 부산일보. 2016년 11월 15일에 확인함. 
  15. 이무경 김문석 (1997년 5월 1일). '용의눈물'덕실역 김혜리 씨종서 봉황된 '조선판 신데렐라'. 경향신문. 2016년 9월 23일에 확인함. 
  16. 이재민 (1997년 7월 26일). “인터뷰/'용의 눈물'이숙번 처 탤런트 송윤아 "사극연기 어렵다지만 전 편해요". 한겨레신문. 2018년 9월 29일에 확인함. 
  17. KBS‘용의 눈물’ 대단원 총감독 인터뷰 김재형 "권력무정·권력무상이 주제" 1998년 5월 28일 경향신문
  18. 연합 (1997년 4월 22일). “<방송> `용틀임' 시작한 「용의 눈물」”. 연합뉴스. 201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9. “이성계 위화도회군 명령 대하드라마〈용의 눈물〉(K1 밤9시45분)”. 한겨레신문. 1996년 11월 23일.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20. 이준희 (1998년 2월 11일). “KBS 드라마 “고무줄 편성””. 국민일보. 2020년 8월 12일에 확인함. 
  21. 이방원 愛馬(애마)에 난데없는「DJ」낙인 사극「龍(용)의 눈물」해프닝 동아일보 29면 1997.08.05
  22. 金大中총재 `용의 눈물' 녹화현장 방문 연합뉴스1997-10-13
  23. 노장 김 PD를 떨게 만든 '용의 눈물' DJ 사건 이데일리 연예2007.11.26
  24. 김관명 (1997년 9월 26일). “저질프로 양산 ‘공영’ 전락(표류하는 공영방송:1)”. 한국일보. 2020년 8월 12일에 확인함. 
  25. 김경애 (1997년 1월 31일). “사극 인기몰이 안방극장 달군다”. 한겨레신문. 2020년 8월 12일에 확인함. 
  26. 김갑식 (1997년 10월 7일). “용의 눈물”. 동아일보. 2020년 8월 12일에 확인함. 
  27. 이무경 (1997년 10월 16일). '구중궁궐 암투'흥미진진 '용의 여인들' KBS 1TV'용의 눈물'중전·후궁 다툼 재미고조”. 경향신문. 2020년 8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KBS 대하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찬란한 여명
(1995년 10월 28일 ~ 1996년 11월 23일)
용의 눈물
(1996년 11월 24일 ~ 1998년 5월 31일)
왕과 비
(1998년 6월 6일 ~ 2000년 3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