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어: Збірна України з футболу)은 우크라이나를 대표하여 국가대항전에 참가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우크라이나 축구 연맹에 의해 운영된다. 과거에는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으며, 해체 이후인 1992년 4월 29일에 헝가리와의 첫 경기를 치렀으며 현재 홈 구장으로는 올림피스키 경기장 외 4개의 경기장을 사용 중이다.
![]() | ||||
---|---|---|---|---|
![]() | ||||
별칭 | Головна команда (메인 팀) Жовто-Сині (노랑과 파랑) | |||
협회 | UAF | |||
대륙 연맹 | UEFA | |||
감독 | 세르히 레브로우 | |||
주장 | 안드리 야르몰렌코 | |||
최다 출전자 | 아나톨리 티모슈크 (144) | |||
최다 득점자 | 안드리 셰우첸코 (48) | |||
홈 구장 | 올림피스키 스타디움 메탈리스트 경기장 아레나 리비우 드니프로 아레나 초르노모레츠 스타디움 | |||
FIFA 코드 | UKR | |||
| ||||
FIFA 랭킹 | ||||
현재 | 26위 ![]() (2022년 12월 22일)[1] | |||
최고 순위 | 11위 (2007년 2월) | |||
최저 순위 | 132위 (1993년 9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우크라이나 우주호로드; 1992년 4월 29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우크라이나 리비우; 2013년 9월 6일, 201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프랑스 생드니; 2020년 10월 7일 | ||||
FIFA 월드컵 | ||||
출전 횟수 | 1회 (2006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2006년) |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3회 (2012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2020년) |
역사 편집
독립 이전(1925년–1935년) 편집
공식적으로 우크라이나 대표팀이 만들어진 것은 1990년대초이며 이는 곧 국제적으로 인정되었다.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우크라이나 대표팀은 과거 1925–1935년에 존재했었다.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처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도 자국만의 대표팀을 가졌다.
이 대표팀의 가장 초창기 경기 기록은 1928년 8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들의 대표팀들과 거기에 모스크바 시의 대표팀이 포함된 축구 대회가 모스크바에서 열리기로 계획되었다. 대회가 시작하기 전 하르키우와 모스크바에서 열린 우루과이의 붉은 스포츠 연맹과의 2번의 시범 경기에서 1승 1패를 기록했다. 소련 축구 대회에서 3경기를 치렀고 결승전에서 모스크바에게 0-1로 패했다. 이 대회에서 우크라이나 대표팀은 벨라루스와 자캅카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뒀다.
1929년 하르키우에서 열린 니더외스터라이히 대표팀과의 시범 경기에서 4-1 완승을 거두었다.
1931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또 다른 소비에트 연방 대회에 참가하여 자캅카스와의 준결승전을 치렀으나 이 경기에서 0-3으로 패하면서 결승 문턱에서 주저앉았다.
공식적인 모습 편집
1991년 독립하기에 앞서 우크라이나 선수들은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서 뛰었으며 독립한 이후에 우크라이나 대표팀은 생겨났지만 우크라이나 축구 연맹은 제때에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 인정을 받는데는 실패했다.[2] 한편 일부 뛰어난 우크라이나 선수들(안드레이 칸첼스키스, 빅토르 오놉코, 세르게이 유란, 유리 니키포로프, 일리야 침발라리, 올레크 살렌코 등등)은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의 공식적인 후계자인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택하기도 하였다.
소비에트 연방의 5년간의 UEFA 계수는 우크라이나 선수들(그 예로 가장 성공적인 대회 성적이였던 UEFA 유로 1988 당시에 선발 선수 11명중에 8명이 우크라이나 선수들이였다[3])이 부분적으로 얻어낸 것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의 직계 후손인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넘어갔다. 이 결과로 인해 국가대표팀과 국내 리그에 위험이 초래되었다. 우크라이나가 1994년에 세계 축구 무대로 돌아왔을때는 완전히 새롭게 시작하는 것이였다.[2]
점차 시간이 흐른 후 우크라이나 대표팀은 새롭게 개선을 하면서 안드리 셰우첸코와 아나톨리 티모슈크, 세르히 레브로프 같은 재능있는 선수들을 배출해냈음에도 불구하고 2006년 이전까지 메이저 대회의 본선 진출을 이뤄내지 못했다.
2006년 FIFA 월드컵 편집
UEFA 유로 2004 예선에서 실패를 맛본 우크라이나는 올레흐 블로힌을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과거에 특별하지 않은 그의 감독 경력 및 선임에 대한 초기의 회의에도 불구하고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조에서 7승 4무 1패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역대 첫 FIFA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따냈다. 그리고 본선에서 스페인, 튀니지,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H조에 편성됐다. 첫 경기인 스페인전에서 0-4로 대패한 이후 나머지 2경기에서 모두 승리하며 사상 첫 16강에 진출에 성공한 우크라이나는 G조 1위 스위스와의 16강전에서 승부차기까지 가는 혈전 끝에 승리하며 8강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지만 8강전에서 이 대회 챔피언 이탈리아에게 0-3으로 완패하면서 4강 진출이 좌절되었다.
UEFA 유로 2012 편집
우크라이나는 UEFA 유로 2012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적으로 본선 출전권을 얻어내며,[4] 첫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데뷔 무대를 가졌다. 수도 키이우의 올림피스키 경기장에서 열린 스웨덴과의 대회 개막전에서 2-1 승리를 거두었으나 이후 도네츠크의 돈바스 아레나에서 열린 프랑스전에서 0-2, 잉글랜드전에서 0-1로 지면서 아쉽게 8강 대열에 합류하지 못했다.
UEFA 유로 2016 편집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한 UEFA 유로 2012에 이어 2회 연속 유로 대회 본선에 진출한 우크라이나는 독일과 북아일랜드에게 모두 0-2로 졌고 마지막 경기인 폴란드전에서도 0-1로 지면서 C조에서 3전 전패 조 최하위로 조별리그를 마감했다.
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편집
슬로바키아, 체코와 함께 리그 B 1조에 편성되어 4경기에서 3승 1패·조 1위로 차기 시즌 리그 A 승격을 확정지었다.
경기장 편집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가장 중요한 경기들은 FC 디나모 키이우의 홈 경기장이기도 한 키이우에 있는 올림피스키 경기장에서 열린다. 신설 사회 기반 시설과 경기장들이 UEFA 유로 2012를 준비하면서 지어졌고, 도네츠크, 하르키우, 리비우,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오데사등 다른 도시들의 경기장도 마찬가지였다. 올림피스키 경기장 말고 대체로 쓰는 경기장들에는 돈바스 아레나(도네츠크), 메탈리스트 경기장(하르키우), 아레나 리비우(리비우), 드니프로 아레나(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초르노모레츠 경기장(오데사)등이 있다.
소비에트 시절(1991년 이전)에는, 우크라이나에서는 오직 두 경기장만을 공식 경기장으로 사용했는데, 키이우에 있는 올림피스키 경기장(그 당시에는 공화국 경기장)과 심페로폴에 있는 로코모티프 공화국 종합 운동장이다.
FIFA 월드컵 (본선) 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30년 | 독립 이전 (소련의 일부)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
1982년 | |||||||||
1986년 | |||||||||
1990년 | |||||||||
1994년 | 없음[5] | ||||||||
1998년 | 예선 탈락 | ||||||||
2002년 | |||||||||
2006년 | 8강 | 14위 | 4 | 2 | 1 | 2 | 3 | 4 | 5 |
2010년 | 예선 탈락 | ||||||||
2014년 | |||||||||
2018년 | |||||||||
2022년 | |||||||||
합계 | 1회 진출(1/7[6]) | 8강(1회) | 5 | 2 | 1 | 2 | 5 | 7 | 7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53위 |
FIFA 월드컵 (예선) 편집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소비에트 연방으로 참가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
1982년 | |||||||||
1986년 | |||||||||
1990년 | |||||||||
1994년 | 없음[7] | ||||||||
1998년 | 12 | 6 | 3 | 3 | 11 | 9 | 21 | ||
2002년 | 12 | 4 | 6 | 2 | 15 | 13 | 18 | ||
2006년 | 12 | 7 | 4 | 1 | 18 | 7 | 25 | ||
2010년 | 12 | 6 | 4 | 2 | 21 | 7 | 22 | ||
2014년 | 12 | 7 | 3 | 2 | 30 | 7 | 24 | ||
2018년 | 10 | 5 | 2 | 3 | 13 | 9 | 17 | ||
2022년 | 10 | 3 | 6 | 1 | 14 | 10 | 15 | ||
합계 | 71 | 36 | 22 | 13 | 111 | 53 | 130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70위 (유럽 28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편집
UEFA 유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60년 | 소련으로 참가 | ||||||||
1964년 | |||||||||
1968년 | |||||||||
1972년 | |||||||||
1976년 | |||||||||
1980년 | |||||||||
1984년 | |||||||||
1988년 | |||||||||
1992년 | |||||||||
1996년 | 예선 탈락 | ||||||||
2000년 | |||||||||
2004년 | |||||||||
2008년 | |||||||||
2012년 | 조별리그 | 13위 | 3 | 1 | 0 | 2 | 2 | 4 | 3 |
2016년 | 조별리그 | 24위 | 3 | 0 | 0 | 3 | 0 | 5 | 0 |
2020년 | 8강 | 8위 | 5 | 2 | 0 | 3 | 6 | 10 | 6 |
합계 | 3회 진출(3/7[8]) | 8강(1회) | 11 | 3 | 0 | 8 | 8 | 19 | 9 |
순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21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편집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60년 | 소련으로 참가 | ||||||||
1964년 | |||||||||
1968년 | |||||||||
1972년 | |||||||||
1976년 | |||||||||
1980년 | |||||||||
1984년 | |||||||||
1988년 | |||||||||
1992년 | |||||||||
1996년 | 10 | 4 | 1 | 5 | 11 | 15 | 13 | ||
2000년 | 12 | 5 | 6 | 1 | 16 | 7 | 21 | ||
2004년 | 8 | 2 | 4 | 2 | 11 | 10 | 10 | ||
2008년 | 12 | 5 | 2 | 5 | 18 | 16 | 17 | ||
2012년 | 자동참가(개최국) | ||||||||
2016년 | 12 | 7 | 2 | 3 | 17 | 5 | 23 | ||
2020년 | 8 | 6 | 2 | 0 | 17 | 4 | 20 | ||
합계 | 62 | 29 | 17 | 16 | 90 | 57 | 104 | ||
순위 |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33위 |
선수 기록 편집
우크라이나 최대 출장 선수 편집
2021년 11월 16일[update]
기준# | 이름 | 기간 | 출장 | 득점 |
---|---|---|---|---|
1 | 아나톨리 티모슈크 | 2000년–2016년 | 144 | 4 |
2 | 안드리 셰우첸코 | 1995년–2012년 | 111 | 48 |
3 | 안드리 야르몰렌코 | 2009년– | 106 | 44 |
4 | 안드리 퍄토우 | 2007년– | 101 | 0 |
5 | 루슬란 로탄 | 2003년–2018년 | 100 | 8 |
6 | 올레흐 후세우 | 2003년–2016년 | 98 | 13 |
7 | 올렉산드르 쇼우코우스키 | 1994년–2012년 | 92 | 0 |
8 | 예우헨 코노플랸카 | 2007년– | 86 | 21 |
9 | 세르히 레브로프 | 1992년–2006년 | 75 | 15 |
10 | 안드리 보로닌 | 2002년–2012년 | 74 | 8 |
우크라이나 최다 득점 선수 편집
2021년 11월 16일[update]
기준# | 이름 | 기간 | 득점 | 출장 | 평균 득점률 |
---|---|---|---|---|---|
1 | 안드리 셰우첸코 | 1995년–2012년 | 48 | 111 | 0.43 |
2 | 안드리 야르몰렌코 | 2009년– | 44 | 106 | 0.42 |
3 | 예우헨 코노플랸카 | 2010년– | 21 | 86 | 0.24 |
4 | 세르히 레브로프 | 1992년–2006년 | 15 | 75 | 0.2 |
5 | 올레흐 후세우 | 2003년–2016년 | 13 | 98 | 0.13 |
6 | 로만 야렘추크 | 2018년– | 12 | 36 | 0.33 |
세르히 나자렌코 | 2003년–2012년 | 12 | 56 | 0.21 | |
8 | 예우헨 셀레즈뇨우 | 2008년–2018년 | 11 | 58 | 0.19 |
9 | 안드리 보로베이 | 2000년–2008년 | 9 | 68 | 0.13 |
안드리 후신 | 1993년–2006년 | 9 | 71 | 0.13 |
우크라이나 역대 주장 편집
2021년 11월 16일[update]
기준# | 이름 | 기간 | 주장 출전수 | 전체 출전수 |
---|---|---|---|---|
1 | 안드리 셰우첸코 | 1995년–2012년 | 58 | 111 |
2 | 아나톨리 티모슈크 | 2000년–2016년 | 41 | 144 |
3 | 올레흐 루주니 | 1992년–2003년 | 39 | 52 |
4 | 루슬란 로탄 | 2003년–2018년 | 24 | 100 |
5 | 안드리 퍄토우 | 2007년– | 23 | 101 |
6 | 안드리 야르몰렌코 | 2009년– | 17 | 106 |
7 | 유리 칼리트빈체우 | 1995년–1999년 | 13 | 22 |
올렉산드르 홀로우코 | 1995년–2004년 | 13 | 58 | |
8 | 올렉산드르 쇼우코우스키 | 1994년–2012년 | 12 | 92 |
10 | 올렉산드르 쿠체르 | 2006년–2017년 | 8 | 57 |
역대 대표팀 감독 편집
이름 | 국적 | 기간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승률 % | 대회 예선 | 대회 진출 |
---|---|---|---|---|---|---|---|---|---|---|---|
빅토르 프로코펜코 | 1992년 | 3 | 0 | 1 | 2 | 2 | 5 | 0 | |||
미콜라 파울로우 (감독 대행) | 1992년 | 1 | 0 | 1 | 0 | 1 | 1 | 0 | |||
올레흐 바질레비치 | 1993년–1994년 | 11 | 4 | 3 | 4 | 13 | 14 | 36.36 | 1996 | ||
미콜라 파울로우 (감독 대행) | 1994년 | 2 | 0 | 0 | 2 | 0 | 3 | 0 | |||
요제프 사보 | 1994 | 2 | 1 | 1 | 0 | 3 | 0 | 50 | 1996 | ||
아나톨리 콘코우 | 1995년 | 7 | 3 | 0 | 4 | 8 | 13 | 42.86 | 1996 | ||
요제프 사보 | 1996년–1999년 | 32 | 15 | 11 | 6 | 26 | 41 | 46.88 | 1998, 2000 | ||
발레리 로바놉스키 | 2000년–2001년 | 18 | 12 | 4 | 2 | 29 | 14 | 66.67 | 2002 | ||
레오니드 부랴크 | 2002년–2003년 | 19 | 14 | 3 | 2 | 38 | 13 | 73.68 | 2004 | ||
올레흐 블로힌 | 2003년–2007년 | 46 | 21 | 14 | 11 | 78 | 26 | 45.65 | 2006, 2008 | 2006 | |
올렉시 미하일리첸코[9] | 2008년–2009년 | 20 | 15 | 1 | 4 | 41 | 12 | 75 | 2010 | ||
미론 마르케비치[10][11][12] | 2010년 | 4 | 3 | 1 | 0 | 9 | 3 | 75 | |||
유리 칼리트빈체우 (감독 대행)[13][14] | 2010년–2011년 | 8 | 3 | 2 | 3 | 14 | 16 | 37.5 | |||
올레흐 블로힌[15][16] | 2011년–2012년 | 12 | 5 | 3 | 4 | 28 | 12 | 41.67 | 2014 | 2012 | |
안드리 발 (감독 대행)[17] | 2012년 | 3 | 1 | 1 | 1 | 2 | 1 | 33.33 | 2014 | ||
올렉산드르 자바로우 (감독 대행) | 2012년 | 1 | 1 | 0 | 0 | 1 | 0 | 100 | |||
미하일로 포멘코[18] | 2013년–2016 | 18 | 14 | 2 | 2 | 41 | 7 | 77.78 | 2014, 2016 | ||
안드리 셰우첸코 | 2016년– | 18 | 11 | 3 | 4 | 29 | 13 | 61.11 | 2018, 2020 | 2020 |
2019년 11월 18일 갱신
선수단 편집
현재 선수 명단 편집
일자: 2022년 3월 26일
종류: 잉글랜드와의 UEFA 유로 2024 예선전 명단
- 출장 수와 골 수는 2022년 9월 27일 스코틀랜드와의 경기 이후 기록이다.
|
축구 용품 편집
축구 용품 제공사 편집
대표팀의 공식적인 축구 장비는 현재 2016년 12월 31일까지 우크라이나 대표팀과 계약된 독일의 회사 아디다스가 제조한다.
기간 | 용품 제공사 |
---|---|
1992년 – 1996년 | 엄브로 |
1997년 – 2002년 | 푸마 |
2002년 – 2008년 | 로토 |
2009년 – 2016년 | 아디다스 |
2017년 – | 호마 |
각주 편집
- ↑ “FIFA World Ranking”. 《fifa.com》. 2022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Ukraine’s forgotten World Cup pedigree Archived 2014년 10월 16일 - 웨이백 머신, Business Ukraine (4 August 2010)
- ↑ “RSSSF European Championship 1988 – Final Tournament – Full Details”. Rsssf.com. 2011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uefa.com. “Member associations - Ukraine - Profile – UEFA.com”. 《UEFA.com》.
- ↑ 우크라이나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월드컵 본선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 우크라이나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 ↑ Ukraine decides not to renew coach's contract, Kyiv Post (23 December 2009)
- ↑ Markevych, Surkis sign contract of national football team's chief coach, Kyiv Post (21 April 2010)
- ↑ (우크라이나어) “Офіційна заява Мирона Маркевича (Official petition of Myron Markevych)”. 《metalist.kharkov.ua》. 2010년 8월 21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Copy of the document for the resgnation”. 2012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우크라이나어) “Збірну довірили Калитвинцеву (National team was entrusted to Kalitvintsev)”. 《www.ffu.org.ua》. 2010년 8월 25일. 2012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Markevich leaves Ukraine helm Archived 2010년 9월 4일 - 웨이백 머신, UEFA (August 25, 2010)
- ↑ Ukraine appoint Blokhin, Sky Sports (21 April 2011)
- ↑ Oleg Blokhin appointed Ukraine coach Archived 2012년 3월 11일 - 웨이백 머신, Reuters (21 April 2011)
- ↑ Андрій Баль призначений в.о. головного тренера збірної України (Andriy Bal is appointed acting head coach of the Ukrainian national team) Archived 2014년 11월 11일 - 웨이백 머신, www.ua-football.com (6 October 2012)
- ↑ Ukraine's football federation taps Fomenko to coach national team, Kyiv Post (26 December 2012)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1] Archived 2010년 12월 5일 - 웨이백 머신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