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플렉틱 기하학에서 운동량 사상(運動量寫像, 영어: momentum map 모멘텀 맵[*], 영어: moment map 모먼트 맵[*])은 심플렉틱 다양체 위의 군의 작용을 생성하는 해밀토니언이다.[1][2][3][4] 해밀턴 역학에서의 운동량각운동량을 일반화한 것이다.

정의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심플렉틱 다양체  
  • 리 군  
  • 매끄러운 군 표현  가 주어졌다고 하자. 여기서  는 심플렉틱 자기 동형 사상(심플렉틱 형식  를 보존하는 미분 동형  )들의 군이다.

리 대수의 원소  에 대하여,   위에는  작용의 무한소 생성원인 다음과 같은 벡터장  가 존재한다.

 

여기서  리 지수 사상이다.  작용  운동량 사상  는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함수다.

 

이를 지표 표기법으로 쓰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접다발  의 지표이고,  는 리 대수  의 지표다.

성질 편집

심플렉틱 다양체   위의 리 군  작용의 운동량 사상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역시 운동량 사상을 이룬다. 여기서   딸림표현쌍대 표현이며,

 

는 그 속의 불변 원소들의 집합(즉,   위의 무게의 집합, 또는   계수의  의 0차 리 대수 코호몰로지)이다.

심플렉틱 몫공간 편집

 콤팩트 리 군일 경우, 부분 공간   의 작용에 대하여 불변이다. 이 경우   의 심플렉틱 구조를 물려받는다. 즉, 몫공간  심플렉틱 다양체를 이룬다. 이를 심플렉틱 몫공간(영어: symplectic quotient) 또는 마즈든-와인스타인 몫공간(영어: Marsden–Weinstein quotient)이라고 하며,  라고 쓴다.[5] 이 경우

 

이다.

물론, 0 대신 임의의  에 대하여  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이 추가로 켈러 다양체  를 이루며,  의 작용이 심플렉틱 구조  복소구조  를 보존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에 해당하는 심플렉틱 몫공간

 

켈러 다양체이다.

초켈러 몫공간 편집

초켈러 다양체의 경우에도 몫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6] 초켈러 다양체  은 세 선형 독립 심플렉틱 구조   ( )을 가진다. 군의 작용  이 세 개의 심플렉틱 구조를 모두 보존시킨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에 대한 세 개의 서로 다른 운동량 사상  이 존재한다. 이들을 합쳐서

 

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는 초켈러 다양체를 이룬다. 그 차원은

 

이다.

편집

 가 1차원 아벨 리 군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해밀턴 벡터장(영어: Hamiltonian vector field)  를 생성시키는 해밀토니언이다.

복소수 사영 공간 편집

복소수 내적 공간  은 자명하게 켈러 다양체를 이룬다. 이 위에는 리 군  이 곱셈으로 작용하며, 이 가운데 심플렉틱 형식을 보존하는 것은 U(1) 부분군이다. 이에 대한 운동량 사상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임의의 실수 상수이다.

이에 대하여 켈러 몫공간을 취하면,  일 때 복소수 사영 공간  을 얻으며, 그 위의 켈러 구조는 푸비니-슈투디 계량이다. 반대로,  일 경우는 공집합을 얻는다.

복소수 사영 공간의 접공간 편집

사원수 벡터 공간  은 자명하게 초켈러 다양체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이를  차원 복소수 내적 공간  에 대하여

 

로 적을 수 있다. 이 경우, U(1) 작용

 

에 대한 운동량 사상

 
 

를 취하면,  일 때

 

이다. 이 경우 초켈러 몫공간은   위의 사영 공간공변접다발  이다. 특히, 만약  가 2차원일 때, 이는 에구치-핸슨 공간이다.

참고 문헌 편집

  1. Ortega, Juan-Pablo; Ratiu, Tudor Stefan (2004). 《Momentum maps and Hamiltonian reduction》. Progress in Mathematics (영어) 22. Birkhäuser. doi:10.1007/978-1-4757-3811-7. ISBN 978-0-8176-4307-2. 
  2. Rovi, Ana (2011년 8월 31일). 《Kähler and symplectic manifolds: quotient constructions》 (PDF) (영어). 석사 학위 논문. University of Oxford. 2015년 9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9일에 확인함. 
  3. Ortega, Juan-Pablo; Ratiu, Tudor Sttefan (2004년 7월). “Symmetry reduction in symplectic and Poisson geometry”. 《Letter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69 (1): 11–60. doi:10.1007/s11005-004-0898-x. ISSN 0377-9017. 
  4. Cannas da Silva, Ana. “Symplectic geometry” (영어). arXiv:math/0505366. Bibcode:2005math......5366C. 
  5. Marsden, Jerrold; Weinstein, Alan (1974년 2월). “Reduction of symplectic manifolds with symmetry”. 《Reports o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5 (1): 121–130. doi:10.1016/0034-4877(74)90021-4. ISSN 0034-4877. 
  6. Hitchin, Nigel J.; Karlhede, A.; Lindström, U.; Roček, Martin (1987년 12월). “Hyper-Kähler metrics and supersymmetry”.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08 (4): 535–589. Bibcode:1987CMaPh.108..535H. doi:10.1007/BF01214418. ISSN 0010-3616. MR 877637. Zbl 0612.53043.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