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프 수학상

(울프상 수학 부문에서 넘어옴)

울프 수학상(The Wolf Prize in Mathematics)은 거의 매년 울프 재단에 의해 수여되는 수학상이다.[1]

1978년부터 울프 재단이 시상하기 시작한 울프상의 6개 부문 중 하나이다. 기타 부문은 농학, 화학, 의학, 물리학 그리고 예술 부문이다. 좀 더 권위가 있는 필즈상은 4년마다 40세 이하의 수학자들에게만 수여되기 때문에, 아벨상이 생기기 전까지 울프상은 "수학 부문의 노벨상"이라 부르기에 가장 가까운 수학상으로 간주되었다.

수상자편집

연도 수상자 국적 수상 이유
1978년 겔판트, 이즈라일이즈라일 겔판트   소련 함수해석학, 군 표현론
지겔, 카를 루트비히카를 루트비히 지겔   서독 수론  · 다변수 복소해석학  · 천체역학
1979년 르레, 장장 르레   프랑스 위상수학적 기법을 미분방정식에 적용
베유, 앙드레앙드레 베유   프랑스 대수기하학적 기법을 수론에 응용
1980년 카르탕, 앙리앙리 카르탕   프랑스 대수기하학 · 복소해석학 · 호몰로지 대수학
콜모고로프, 안드레이안드레이 콜모고로프   소련 푸리에 해석 · 확률론 · 에르고딕 이론 · 동역학계 이론
1981년 알포르스, 라르스라르스 알포르스   핀란드 기하함수론
자리스키, 오스카오스카 자리스키   미국 가환대수학대수기하학에 적용
1982년 휘트니, 해슬러해슬러 휘트니   미국 대수적 위상수학 · 미분기하학 · 미분 위상수학
크레인, 마르크마르크 크레인   소련 함수해석학
1983년/1984년 천싱선   미국 대역적(global) 미분기하학
에르되시 팔   헝가리 수론 · 조합론 · 확률론 · 집합론 · 해석학
1984년/1985년 고다이라 구니히코   일본 복소다양체론 · 대수다양체론
레비, 한스한스 레비   서독
  미국
편미분방정식론
1986년 에일렌베르크, 사무엘사무엘 에일렌베르크   미국 대수적 위상수학 · 호몰로지 대수학
셀베르그, 아틀레아틀레 셀베르그   노르웨이 수론 · 이산군 · 보형 형식
1987년 이토 기요시   일본 확률론
럭스 페테르   미국 해석학 · 응용수학
1988년 히르체브루흐, 프리드리히프리드리히 히르체브루흐   서독 위상수학 · 대수기하학 · 미분기하학 · 대수적 수론
회르만데르, 라르스라르스 회르만데르   스웨덴 해석학
1989년 칼데론, 알베르토알베르토 칼데론   아르헨티나
밀너, 존존 밀너   미국
1990년 데 조르지, 엔니오엔니오 데 조르지   이탈리아 편미분 방정식, 변분법
퍄테츠키샤피로, 일리야일리야 퍄테츠키샤피로   이스라엘
  미국
1991년 수상자 없음
1992년 칼레손, 렌나르트렌나르트 칼레손   스웨덴 푸리에 해석학, 복소해석학, 준등각사상(quasiconformal mapping), 동역학계
톰프슨, 존 그리그스존 그리그스 톰프슨   미국 유한군론과 관련 분야들
1993년 그로모프, 미하일미하일 그로모프   러시아
  프랑스
리만 기하학, 심플렉틱 기하학, 대수석 위상수학, 기하학적 군론, 편미분 방정식
티츠, 자크자크 티츠   벨기에
  프랑스
1994년/1995년 모저, 위르겐위르겐 모저   독일
  미국
해밀턴 역학에서의 안정성, 비선형 미분방정식
1995년/1996년 랭글랜즈, 로버트로버트 랭글랜즈   캐나다 수론, 보형 형식, 군 표현론
와일스, 앤드루앤드루 와일스   영국 수론 및 관련 분야, 미해결 가설들에 대한 진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1996년/1997년 켈러, 조지프조지프 켈러   미국
시나이, 야코프 그리고리예비치야코프 그리고리예비치 시나이   러시아
  미국
통계역학, 에르고딕 이론물리학에서의 응용
1998년 수상자 없음
1999년 로바스 라슬로   헝가리
  미국
조합론, 이론 전산학, 조합론적 최적화
스타인, 일라이어스 M.일라이어스 M. 스타인   미국
2000년 보트, 라울라울 보트   헝가리
  미국
위상수학미분기하학리 군, 미분연산자, 수리물리학에서의 응용
세르, 장피에르장피에르 세르   프랑스 위상수학, 대수기하학, 대수학, 수론 및 영감적인 강의와 저술
2001년 아르놀트, 블라디미르블라디미르 아르놀트   러시아 동역학계, 미분방정식, 특이점 이론
셸라흐, 사하론사하론 셸라흐   이스라엘 논리학집합론 및 관련 분야
2002년/2003년 사토 미키오   일본
테이트, 존존 테이트   미국 대수적 수론
2004년 수상자 없음
2005년 마르굴리스, 그리고리그리고리 마르굴리스   러시아
노비코프, 세르게이세르게이 노비코프   러시아
2006년/2007년 스메일, 스티븐스티븐 스메일   미국
퓌르스텐베르크, 힐렐힐렐 퓌르스텐베르크   이스라엘
2008년 들리뉴, 피에르피에르 들리뉴   벨기에
그리피스, 필립 오거스터스필립 오거스터스 그리피스   미국
멈퍼드, 데이비드데이비드 멈퍼드   미국
2009년 수상자 없음
2010년 야우싱퉁   미국 기하학적 해석학(geometric analysis)과 수리물리학
설리번, 데니스데니스 설리번   미국 대수적 위상수학과 등각 역학(conformal dynamics)
2011년 수상자 없음
2012년 애시배커, 마이클마이클 애시배커(영어: Michael Aschbacher)   미국 유한군
카파렐리, 루이스루이스 카파렐리(스페인어: Luis Caffarelli)   아르헨티나
  미국
편미분 방정식
2013년 모스토, 조지조지 모스토(영어: George Mostow)   미국 기하학리 군
아틴, 마이클마이클 아틴   미국 대수기하학
2014년 사내크, 피터피터 사내크(영어: Peter Sarnak   미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해석학, 수론, 기하학, 조합론
2015년 아서, 제임스 그레이그제임스 그레이그 아서(영어: James Greig Arthur   캐나다 수론
2016년 수상자 없음
2017년 쇼엔, 리차드리차드 쇼엔   미국 미분기하학, 편미분방정식
찰스 페퍼먼   미국 다변량 해석, 편미분방정식
2018년 알렉산드르 베일린손   러시아
  미국
기하학과 수치물리학의 관계 연구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우크라이나
  미국
2019년 장프랑수아 르갈   프랑스 확률 과정
그레고리 라울러   미국 닫힌곡선 지우며 마구잡이 걷기
2020년 사이먼 도널드슨   영국 미분기하학위상수학
야코프 옐리아시베르크   미국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The Wolf Foundation website Archived 2008년 2월 13일 - 웨이백 머신 describes the prize as annual; however, some prizes are split across years, while in some years no prize is awar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