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 벡터 공간

호환되는 위상이 주어진 벡터 공간
(위상 가군에서 넘어옴)

수학에서 위상 벡터 공간(位相vector空間, 영어: topological vector space, 약자 TVS)은 호환되는 위상이 주어진 벡터 공간이다.

정의 편집

 위상환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위상 왼쪽 가군(영어: topological left  -module)  는 다음 두 성질을 만족시키는, 위상 공간의 구조를 가지는  -왼쪽 가군이다.

  • (덧셈의 연속성) 벡터 덧셈  연속 함수다. (여기서  곱위상을 갖춘다.)
  • (스칼라곱의 연속성) 스칼라곱  연속 함수다. (여기서  곱위상을 갖춘다.)

마찬가지로  -위상 오른쪽 가군을 정의할 수 있다. 물론,  가환환이라면 왼쪽·오른쪽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

만약  위상체라면,   -위상 벡터 공간이라고 한다. (월터 루딘과 같은 일부 저자들은 여기에 T1 공간 조건을 추가하기도 한다.)

모든 위상 왼쪽/오른쪽 가군은 특히 아벨 위상군이므로, 표준적인 균등 공간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덧셈과 스칼라곱이 사실 균등 연속 함수임을 보일 수 있다.

위상 벡터 공간의 부분 집합 편집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가운데 하나라고 하자.

 -위상 벡터 공간   속의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정의할 수 있다.

개념 정의
균형 집합 임의의 스칼라  ,  에 대하여  
유계 집합 임의의 0의 근방  에 대하여,  인 스칼라  가 존재
흡수 집합  

특히, 위와 같은 유계 집합의 정의를 통해, 모든  -위상 벡터 공간은 유계형 집합을 이룬다.

연산 편집

연속 쌍대 공간 편집

위상환  에 대한 위상 왼쪽 가군  이 주어졌을 때, 연속 가군 준동형  들의 집합은  -위상 오른쪽 가군을 이루며, 이를  연속 쌍대 가군  이라고 한다. 만약  위상체일 경우, 이는 연속 쌍대 공간이라고 한다.

이는 (대수적) 쌍대 공간보다 일반적으로 더 작다.

약한 위상 편집

위상 벡터 공간 (또는 위상 가군) 위에는 항상 원래 위상보다 더 엉성한 특별한 위상을 표준적으로 줄 수 있으며, 이를 약한 위상(弱한位相, 영어: weak topology)이라고 한다. 이 경우, 약한 위상과 구별하기 위하여  의 원래 위상을 강한 위상(強한位相, 영어: strong topology)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위상환  에 대한 위상 왼쪽 가군  연속 쌍대 가군  으로 생성되는 시작 위상 약한 위상이라고 한다. 즉, 약한 위상은 연속 쌍대 가군의 원소를 연속 함수로 만드는 가장 엉성한 위상이다. 집합  에 약한 위상을 부여한 것을  라고 표기하자.

약한 위상의 기저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여기서   열린집합들의 족이다.

정의에 따라, 임의의 위상 가군 위의 약한 위상은 항상 원래 (강한) 위상보다 더 엉성한 위상이다. 또한, 약한 위상을 취하는 연산은 멱등 연산이다. 즉, 임의의 위상환 위의 위상 왼쪽 가군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성질 편집

분리공리 편집

실수체나 복소수체에 대한 위상 벡터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분리공리들이 서로 동치이다.

즉, 위상 벡터 공간에 대해서는 T1부터 T(= 티호노프 공간)까지의 성질들이 서로 동치가 된다.

거리화 가능성 편집

실수체나 복소수체에 대한 위상 벡터 공간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18, Theorem 1.24

이는 위상군버코프-가쿠타니 정리의 특수한 경우다.

유한 차원 편집

실수체나 복소수체에 대한 모든 유한 차원 위상 벡터 공간은 완비 균등 공간이다.

실수체나 복소수체에 대한 위상 벡터 공간  ,  에 대하여, 만약

  •  ,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며,
  •  

라면, 모든 전단사 선형 변환

 

위상 동형이다. 즉, 하우스도르프 조건을 가정하면, 실수체나 복소수체에 대한 유한 차원 위상 벡터 공간은  이나  ( )밖에 없다.[1]:16, Theorems 1.21[2]:22, Theorem 3.5 하우스도르프 조건을 없애면 이는 더 이상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임의의 실수·복소수 벡터 공간 위에 비이산 위상을 입혀 위상 벡터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실수체나 복소수체에 대한 하우스도르프 위상 벡터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17, Theorems 1.22[2]:23, Theorem 3.6

실수체나 복소수체에 대한 하우스도르프 위상 벡터 공간  의 모든 유한 차원 부분 공간  닫힌집합이다. 하우스도르프 조건을 가정하지 않으면 이는 더 이상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이산 위상을 갖춘, 1차원 이상의 위상 벡터 공간의 유일한 0차원 부분 공간은 닫힌집합이 아니다.

참고 문헌 편집

  1. Rudin, Walter (1991). 《Functional analysis》. International Series i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영어) 2판. New York, NY: McGraw-Hill. MR 1157815. Zbl 0867.46001. 
  2. Schaefer, Helmut H. (1971). 《Topological vector space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3 3 printing correct판. New York-Heidelberg-Berlin: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84-9928-5. ISBN 978-0-387-05380-6. ISSN 0072-5285. MR 0342978. Zbl 0217.1600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