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안부 피해자 목록에서 넘어옴)
다음은 알려진 제2차 세계대전 중 피해를 입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목록이다.

대한민국
편집위안부 피해자 생존자 | 위안부 피해자 사망자 | 위안부 피해자 등록자 |
---|---|---|
7명 | 233명 | 240명 |
- 강XX[2]
- 길원옥(1928-2025)
- 김군자[3]
- 김계순[4]
- 김계화[5]
- 김복선[6]
- 김분선[7]
- 김상희[7]
- 김선이[8]
- 김성주[4](1929–2024)
- 김순덕[9][10]
- 김순악[11]
- 김순옥[12]
- 김요지[13]
- 김우명달[14]
- 김의경 : 중국[15]
- 김을례[16]
- 김재림(1930-2023)[17]
- 김정순[18]
- 김정주[19]
- 김화선[20]
- 노명선: 대만[21]
- 노수복 : 태국[22]
- 노청자(1922-2004)[23]
- 문옥주(1924-1996) : 대구[24][23]
- 문필기[16]
- 문필지[25]
- 박XX[26]
- 박대임[27]
- 박두리(1924-2006)[28]
- 박복순[29][30]
- 박분이[31]
- 박서운[32][33]
- 박숙이[34]
- 박옥련[35]
- 박위남[36]
- 박필군[37]
- 박해옥[38]
- 배봉기 : 일본 거주[39]
- 배춘희[40]
- 서봉임[41]
- 심미자(1924-2008)[23]
- 심달연(1927-2010)[42]
- 안금옥[43]
- 안점순(1928–2018)[37][44]
- 안희수[45]
- 양금덕[4]
- 양영수(1930-2023)[46]
- 유찬이[47]
- 윤금례[48]
- 윤두리(1928–2009)[49]
- 이귀녀(-2018)[44]
- 이귀분(1927-2004)[23]
- 이남이(훈 할머니) : 캄보디아[50][51]
- 이동령[38]
- 이두순[52]
- 이복순[53]
- 이수단 : 중국 헤이룽장성[54]
- 이순덕[55][56]
- 이옥분 : 부산[57]
- 이용녀[58]
- 이점례[59]
- 임정자[60]
- 전옥남[61]
- 정도인[62]
- 정서운[63]
- 정윤홍[64]
- 주금용(1927–2024)
- 최선순[65]
- 하상숙(1928–2017)[37]
- 한도순[3]
- 한옥선[66]
- 황금자(1924–2014)[67][68]
- 황금주(1922–2013)[69]
- 황선순(1926–2015)[70]
- 황옥임(?–2001)
- 임자옥[71]
네덜란드령 동인도
편집이름 | 사진 | 정보 | |
---|---|---|---|
얀 루프 오헤른 |
| ||
엘렌 반 데르 플룩 |
|
대만
편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편집일본
편집- 시로타 스즈코 : '위안부'라는 사실을 최초 증언[75]
중화인민공화국
편집필리핀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The Allied Reoccupation of the Andaman Islands, 1945” (영어). 임페리얼 전쟁 박물관. 2015년 5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 日대학생 25명 위안부할머니 방문 증언들어
- ↑ 가 나 위안부할머니 ‘얼굴-육성 만남전’ 구슬땀
- ↑ 가 나 다 "근로정신대피해자 지원조례로 68년 한을 풀어주세요"
- ↑ 부고 위안부 피해자 김계화
- ↑ 최근 2년 새 12명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잇따라 별세
- ↑ 가 나 <일본군 위안부 "시간이 없다">
- ↑ '위안부 피해' 임정자·김선이 할머니 별세
- ↑ LA 日영사관 앞서 위안부 배상 시위
- ↑ “일제사죄 끝내 못받고 가시다니…” 故 김순덕할머니 안장
- ↑ ‘역사의 증인’ 또 역사 속으로
- ↑ <인터뷰> 귀국 '위안부' 피해 김순옥 할머니
- ↑ 1000회 수요집회 , 하루 앞두고 위안부 할머니 또 사망
- ↑ '위안부' 김우명달 할머니, 하늘 나라로...
- ↑ 돌아오지 못하는 위안부 할머니들; MTV '피디수첩'
- ↑ 가 나 日군 위안부 여성들 내달 美의사당서 인권상 수상
- ↑ 일본 강제동원 피해자 김재림 할머니 별세
- ↑ <일본군 위안부 "시간이 없다">
- ↑ 日 근로정신대 할머니들의 피맺힌 절규
- ↑ 최근 2년 새 12명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잇따라 별세
- ↑ 정신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공동기자회견
- ↑ 91 여성계 결산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이토 다카시 (2017년 3월 29일). 《기억하겠습니다》. 알마. ISBN 9791159921063.
- ↑ 정신대 종군위안부 여성 속속 증언
- ↑ 진전송일지 (22일 16:00-22:00)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1명 추가 등록…생존자 55명으로 늘어
- ↑ 중국에 남겨진 위안부 할머니의 삶과 사진
- ↑ 수요집회 참석 해외활동가 "할머니들 투쟁서 힘 얻어"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박복순 할머니 사망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박복순 할머니 사망
- ↑ 위안부 피해자 박분이 할머니 별세
- ↑ 돌아오지 못하는 위안부 할머니들; MTV '피디수첩'
- ↑ 위안부피해 ‘최고령’ 할머니 中서 별세
- ↑ 위안부 피해 할머니 12명,국내 법원에 첫 민사 조정 신청
- ↑ 마르지 않는 눈물
- ↑ 위안부 피해 박위남 할머니 별세… 생존자 53명으로 줄어
- ↑ 가 나 다 “[포토스토리] “내가 살아있는 피해자다””. 《한겨레신문》. 2017년 8월 14일.
- ↑ 가 나 근로정신대 할머니들 `한맺힌’ 법정 증언
- ↑ 정신대 배봉기할머니 사망
- ↑ 위안부 피해자 배춘희 할머니 별세…생존자 54명
- ↑ 종군위안부 서봉임 할머니 별세
- ↑ 애니로, 압화로… 위안부 할머니의 아픔을 함께합니다
- ↑ 日 근로정신대 할머니들의 피맺힌 절규
- ↑ 가 나 이귀녀 ‘위안부’ 피해 할머니 별세…올해만 8명 하늘로
- ↑ 근로정신대 피해자도 일 군수업체에 17억원 손배 소송
- ↑ 日 사죄 못 듣고…강제동원 피해자 양영수 할머니 별세
- ↑ 日 근로정신대 할머니들의 피맺힌 절규
- ↑ 최근 2년 새 12명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잇따라 별세
- ↑ 고향도 못간 '위안부' 할머니 별세
- ↑ 훈할머니,"한국에 돌아가고싶다"유언
- ↑ 위안부 ‘훈 할머니’ 전기 발간
- ↑ '위안부' 피해자 이두순 할머니 별세…생존자 85명
- ↑ '일본군 위안부 피해' 이복순 할머니 별세... 생존자는 70명뿐
- ↑ 돌아오지 못하는 위안부 할머니들; MTV '피디수첩'
- ↑ 병마와 싸워온 위안부 할머니들 어느덧 아흔살
- ↑ <인터뷰> 최고령 위안부 할머니 이순덕씨
- ↑ 정신대 종군위안부 여성 속속 증언
- ↑ 위안부 피해자 이용녀 할머니 별세…생존자 57명
- ↑ ‘위안부 피해’ 이점례 할머니 뇌출혈로 별세
- ↑ '위안부 피해' 임정자·김선이 할머니 별세
- ↑ 日 근로정신대 할머니들의 피맺힌 절규
- ↑ 소라치광업소로 동원 되었던 박하석의 사망통지서
- ↑ '위안부 첫 증언' 정서운 할머니 추모탑 세운다
- ↑ 2010년 마지막 밤, 위안부 피해 할머니 하늘나라로
- ↑ 최근 2년 새 12명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잇따라 별세
- ↑ “"일본군 위안부 문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가 1억원 기부
- ↑ 전 재산 기부 위안부 피해 황금자 할머니 별세…생존자 55명
- ↑ "내 그 고통 다 알지, 이젠 좋은 곳으로 가"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황선순 할머니 별세…생존자 54명
- ↑ '위안부' 할머니 쓸쓸한 영결식
- ↑ 대만 위안부 할머니 '아마', 첫 방한
- ↑ 대만 위안부 할머니 '아마', 첫 방한
- ↑ “북 생존 ‘군위안부’ 박영심 할머니 숨져”
- ↑ 위안부 피해 첫 증언 시로타를 아시나요
- ↑ 中 유일의 위안부 증인 할머니 사망
- ↑ 91살 中 위안부 할머니의 70년 전 만행 증언
- ↑ 中 최고령 90대 일본 위안부 별세… 20년간 소송 허사의 恨
- ↑ 최초 日 위안부 中 할머니 타계
- ↑ 中國人종군위안부 피해자 12만$ 배상 요구
- ↑ "증인이니 죽을 수 없다" 완아이화 위안부 사망
- ↑ 中國人종군위안부 피해자 12만$ 배상 요구
- ↑ 日법원, 中위안부 소송 또 기각
- ↑ 3개국 위안부 할머니들, 日사죄.배상 국제연대 호소
- ↑ 도쿄고법, 比종군위안부 배상소송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