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6년 제4주

일반 사랑방
2016년 제4주
2016년 1월
53 28 29 30 31 1 2 3
1 4 5 6 7 8 9 10
2 11 12 13 14 15 16 17
3 18 19 20 21 22 23 24
4 25 26 27 28 29 30 31


토막글, 씨앗글 등등 편집

저는 위키백과를 막 시작한 초보 사용자인데요위키백과:미번역 문서/야구를 보면 번역한 문서 옆에 토막글, 씨앗글, D급 문서, E급 문서 라는 게 보이네요 문서의 양과 질 등에 따라 분류하는 거라고 추측은 하지만 정확한 뜻을 알고 싶습니다.--오일 (토론) 2016년 1월 25일 (월) 17:43 (KST)답변

백:토막글 / 씨앗글은 Start 등급을 봇 주인이 자의적으로 씨앗글이라고 번역한 것 같군요. D/C/B/A는 영어 위키백과의 해당 위키프로젝트의 분류 기준에 따른 D/C/B/A 등급의 문서입니다. — regards, Revi 2016년 1월 25일 (월) 20:05 (KST)답변

그럼 둘중 어느것이 양이 많은 것인가요?--오일 (토론) 2016년 1월 26일 (화) 11:48 (KST)답변

@오일: 미번역 문서의 범례는 단지 문서 길이만을 기준으로 참고삼아 표시한 것입니다. 평가 기준은 위키백과:미번역 문서위키백과토론:미번역 문서을 참고하세요. -- ChongDae (토론) 2016년 1월 26일 (화) 12:31 (KST)답변

네이버 다음발 각주와 웹사이트 보존하기 편집

위키백과:웹사이트 보존하기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데요. 언론홈페이지의 직접 각주보다는 역시 네이버, 다음발 각주가 더 안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네이버 다음발 각주는 보존 우선순위에서 뒤로 미루어도 좋다고 생각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 생각도 헛점일까요? 네이버엔 남아있지만 홈페이지에선 삭제된 사례로는 이것이 있습니다. 눌러보면 삭제되어있지만 누르기전 오른쪽의 네이버뉴스 버튼을 누르면 존재합니다.-- Exj  토론  2016년 1월 25일 (월) 18:33 (KST)답변

번역한 사람입니다. 네이버 뉴스가 선택되어 있는 까닭은 그냥 그거 번역할 때 제가 네이버 뉴스를 참조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모든 링크를 보존하는 거죠. — regards, Revi 2016년 1월 25일 (월) 20:03 (KST)답변
사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각 언론사의 사이트를 직접 링크하는 것이며, 이전에 이와 관련된 토론도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네이버나 다음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은 언론사 사이트를 직접 링크하기에 제한이 따를 경우에 택하는 것이 좋겠지요. --BIGRULE (토론) 2016년 1월 25일 (월) 20:18 (KST)답변
네이버, 다음에 기재된 기사는 각 언론사의 웹사이트에 기사가 없는 경우에만 링크하는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전파맛라떼 (토론) 2016년 1월 28일 (목) 17:20 (KST)답변
살짝 벗어난 이야기이긴 합니다만 지금 이 위키백과 문서에서 인용한 신문기사 중에서 과거 야후 코리아가 존재할 시절에 발췌한 야후 뉴스 링크로 연결된 링크가 아직도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뭐 네이버나 다음발 각주와 웹사이트를 보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만 이 끊어진 야후 뉴스발 링크를 네이버나 다음 각주로 변경하는 것도 같이 추진해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커뷰 (토론) 2016년 1월 28일 (목) 17:25 (KST)답변
그렇군요. 각주 다는 것도 쉽진 않은데 보존까지.. 이거 정말 복잡해 졌습니다. 그리고 야후의 일은 정말 쇼킹하군요. 튼튼할 거라 믿었던 포털도 사실은 어찌될지 모른다니.. 참으로 딜레마네요. 마치 싸이월드 처럼 말이지요.-- Exj  토론  2016년 1월 29일 (금) 18:07 (KST)답변
이전에 저작권 문제 관련으로 포털 사이트의 기사보다는 각 언론사의 사이트를 직접 링크하는 것이 옳다는 의견이 있었기 때문에 일단 원 출처 기사가 그대로 있다면 원 출처(각 언론사) 기사를 직접 링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1월 30일 (토) 08:42 (KST)답변
사라진 야후 쪽의 링크는 internet archive에서 살펴보는걸 추천합니다. 찾았다면, 인용 틀의 '원본url'과 '원본날짜' 변수를 넣으세요. 어딘가에 따로 보관되는게 아니면, 언론사던 포털도 영원한건 없습니다. --전파맛라떼 (토론) 2016년 1월 31일 (일) 14:40 (KST)답변

정비용 틀 관련 편집

안녕하세요. 최근 {{문서 등재 기준}} 등 몇몇 정비용 틀의 내용이 조금 변경되었습니다만 해당 틀은 신규 사용자 및 일반 이용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틀인만큼 틀의 내용을 바꾸기 전에 그 내용이 변경 이전에 비해 더 적합한지를 조금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듯 싶습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1월 26일 (화) 07:21 (KST)답변

PD수첩 정리 프로젝트를 제안합니다. 편집

PD수첩은 20년 넘게 1000회 이상 방영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그것이 알고 싶다의 에피소드 목록과 달리 PD수첩 항목의 문단으로 에피소드 목록이 덩그러니 있는데 PD수첩에서 출간한 편람을 인용해 잘 가꾸면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프로그램에서 다루었던 각종 사건사고에 대한 정보도 담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PD수첩, 한국 PD저널리즘의 보고(2002년)과 PD수첩, 한국 PD저널리즘의 보고. Ⅱ : MBC PD수첩 501~600회 기념 편람(2004년)이 있습니다.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도 최근 1회부터 1000회까지 사건을 담은 책을 냈던데 추적 60분은 그런 책이 없더군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61.82.160.251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굳이 별도의 프로젝트를 두는 것 보다는 위키프로젝트:방송의 하위 프로젝트로 진행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1월 27일 (수) 01:01 (KST)답변

스마트폰으로 편집하기 편집

영어 위키의 스마스폰으로 편집하기( en:User:Cullen328/Smartphone editing )라는 수필을 읽어 보았는데, 흥미롭네요. 한국의 위키백과 편집자들 중에 스마트폰으로 편집하기를 데스크톱에서 하는 것 만큼 잘하는 경우도 있을 것 같은데, 경험을 공유해주시고 좋은 점과 불편한 점을 관련자들에게 알려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케골 2016년 1월 27일 (수) 10:47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 34만 개 문서 돌파 편집

방금 전에 한국어 위키백과가 34만 개 문서를 돌파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6년 1월 28일 (목) 22:50 (KST)답변

34만번째 문서는 (연합뉴스 20) 입니다. 현 시점에서는 쥔량청 역으로 표출되긴 한데, 제가 일부 문서를 삭제 이전에 집계한 내용입니다. 참조하세요.--분당선M (토론) 2016년 1월 29일 (금) 01:27 (KST)답변
축하할 일이네요! --Jason6494 (토론 | 기여) 2016년 1월 29일 (금) 13:09 (KST)답변
여담으로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 수가 1월 19일자로 100만개가 되었다고 하네요. --Jason6494 (토론 | 기여) 2016년 1월 29일 (금) 13:09 (KST)답변
축하합니다. 문서의 양적 확대와 더불어 질적 성숙이 병행하기를 바랍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6년 2월 1일 (월) 01:20 (KST)답변

위키백과 15주년 기념 언컨퍼런스 동영상 편집

언컨퍼런스 행사에 참여하신 분들께 간단한 인터뷰를 진행하고 동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인터뷰에 응해주신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드리며, 최대한 짧게 제작하고자 해서 통편집으로 동영상에 포함되지 못한 분께는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 Jjw (토론) 2016년 1월 30일 (토) 15:28 (KST)답변

동영상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편집하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6년 2월 1일 (월) 01:1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