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위키백과는 단어 사전이 아닙니다

(위키백과:신조어에서 넘어옴)
위키백과는 단어 사전이 아닙니다. 위키백과의 목적은 백과사전 편찬입니다. (서랍 두 칸을 채운 2002년 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위키백과는 단어 사전, 숙어집, 그 외 속어, 전문 용어 및 어법 지침서가 아닙니다. 위키백과 프로젝트의 목적은 백과사전 편찬입니다. 단어 사전 집필은 자매 프로젝트인 위키낱말사전의 목적입니다. 이 "위키백과의 어휘계 동반자"는 서로 자주 링크되어 있기도 합니다. 위키낱말사전은 단어 사전을 만들고 싶은 편집자 분들을 환영합니다.

위키낱말사전의 단어 항목과 위키백과의 문서는 모두 토막글에서 시작하지만 편집하면 점점 확장됩니다. 위키백과 문서는 반드시 적절한 사전적 정의로 시작해야 하지만, 주제에 대한 그 이외의 정보도 제공해야 합니다. 위키백과 토막글 문서의 내용이 보강되면 단어 사전 항목과는 달라질 것입니다.

백과사전 문서는 사람, 개념, 장소, 사건, 기타 등등의 것들을 다룹니다. 이에 비해 단어 사전 항목은 주로 단어, 숙어, 용어, 그리고 그 의미와 어법 및 이력을 다룹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어나 구 자체가 백과사전의 소재가 되기도 합니다. (예시: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 가즈아)

계속되는 혼란의 원인 중 하나는 토막글 문서가 너무 단어 사전 항목처럼 보인다는 것과, 보통 형편없이 작성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포켓" 단어 사전같은) 일부 '인쇄된' 단어 사전 때문에, 이용자들이 단어 사전 항목은 짧으니 '짧은 문서'는 '단어 사전 항목'과 다름없다고 착각하는 것입니다.

개요: 백과사전 대 단어 사전 편집

이제 위키백과와 (단어 사전의 구체적인 예시로서) 위키낱말사전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위키백과가 단순히 위키낱말사전이 아니라는 뜻이 아니라, '단어 사전'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주된 차이점 편집

기준 위키백과 위키낱말사전
문서의 대상 사람, 개념, 장소, 사건, 그 외 제목으로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것. 문어 문서는 문어라는 '동물'에 대한 것입니다. (생리학, 식용, 생물학적 분류, 그 외) 표제어 속의 실제 단어 또는 숙어, 표제어로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것. 문어 항목은 문어라는 '단어'에 대한 것입니다. (발음, 로마자 표기, 동음이의어, 예문, 어원, 다른 언어 번역, 그 외)
표제어의 뜻은 같으나 단어가 다른 문서
(이음동의어)
중복 문서이므로 병합. (예시: 얼굴, ) 별개의 항목 부여 (예시: 얼굴, ).
표제어끼리 같은 단어 또는 형태소를 다르게 표기하는 문서 중복 문서이므로 병합. (예시: 짜장면, 자장면) 별개의 항목 부여 (예시: 짜장면, 자장면)
표제어는 같으나 뜻이 다른 문서
(동형이의어)
별개의 문서로 생성. (예시: 신체부위 다리와 건축물 다리 등) 한 항목에서 전부 다룸. (예시: 다리).

백과사전 문서의 이름은 다른 여러 동의어구 형태를 쉽게 취할 수 있지만, 단어 사전은 표제어의 단어에 대한 언어학적 작업물이기 때문에 다른 형태로 바꾸기 힘들다는 한 실험이 있었네요.[1]

사소한 차이점 편집

기준 위키백과 위키낱말사전
동사 제목은 기본적으로 명사로 짓되, 동사의 명사형을 허용. (예:달리기) 한국어, 일본어와 같은 교착어의 경우, 한국어의 품사 중 불변어 (체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와, 가변어의 기본형 (용언)에 항목 및 예문을 부여.

영어 같은 굴절어의 경우, 단어의 모든 어형 변화 형태에 각각의 항목 및 예문을 부여(예시: walk, walks, walked, walking). 접미사 역시 항목 포함(예: -ed, -ing, 기타 등등).

형용사 제목은 기본적으로 명사로 짓되, 형용사의 명사형을 허용. (예: 슬픔) 아니면 아예 만들지 않는 경우도 많음. 모든 형용사에 항목 및 예문을 부여.
사용 언어 표제어는 한글로 작성이 원칙 (몇 가지 예외 존재) 어떤 언어의 어떤 단어이든 전부 허용.
고유명사 고유명사가 표제어인 문서는 보통 해당 명칭이 붙은 다른 모든 장소 및 물건을 연결한 동음이의어 문서 (예:베네딕트, 세종 (동음이의), 사야카). 이런 문서는 {{위키낱말사전}} 틀로 위키낱말사전의 해당 고유명사·(철자가 같은) 보통명사 항목에 연결.

성씨 관련 문서는 해당 성씨인 인물 목록뿐 아니라, 뜻, 어원 및 성씨의 역사에 대한 백과사전적인 내용 역시 포함.

고유명사 항목에 어원, 뜻, 번역, 발음, 그 이외의 것 서술 .

{{위키백과}} 틀이나 인터위키 링크로 위키백과 문서와 연결됨.

문제는 양이 아닙니다 편집

주의해야 할 점은, 단어 사전 항목과 백과사전 문서는 단순히 '길이'로 구분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종합 단어 사전 또는 특정 주제 백과 단어 사전[2]은 (단어 각각의 뜻, 어원, 번역명, 어조에 대한) 예문과, (관련·파생 단어, 동의어, 반의어, 동음이의어) 연결 링크, 음성 파일을 포함한 여러 방언의 발음 가이드, 어법 주석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물론 길이가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짧은 단어 사전 항목은 공간이 제한되던 종이 사전, 의도적으로 간결하게 작성된 일부 단어 사전의 유물이지요. 모든 단어 사전이 종이 크기에 구애받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위키낱말사전은 종이 사전이 아닙니다.

단어 사전식 정의의 함정 편집

적절한 사전적 정의 편집

단어 사전과 백과사전 모두 정의를 포함합니다. 백과사전 문서는 반드시 '한' 주제에 대한 (아니면 대체로, 혹은 전적으로 동의어나 관련도가 아주 높은 주제[3]에 대한) 적절한 정의와 서술로 시작해야 하지만, 주제에 대한 다른 유형의 정보 역시 제공하여야 합니다. 백과사전식 정의는 언어학보다 백과사전적 지식(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4]

적절한 정의란 순환정의도 동의어도 아니고, 너무 넓거나 좁지도, 중의적이지도, 비유적이지도, 모호하지도 않은 것입니다. 몽골의 역사처럼 서술적인 제목 자체가 자신을 설명하고 있다면, 정의가 굳이 필요하진 않습니다.

위키백과는 어법 안내서가 아닙니다 편집

위키백과에서는 단어, 숙어, 구 등이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지 않습니다. (다만 문서의 문맥상 단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논의한 것이라면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족보가 아닙니다 편집

족보 또는 인명사전 같은 참고 서적은 (Genealogical dictionaries[5]) 문서의 대상에 대한 직계 가족 관계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모, 배우자, 자손과 그들의 배우자)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으로서 문서의 대상이 이뤄 낸 활동 및 공헌에 더 초점을 맞춥니다. 다시 말해, 자연스러운 문맥과 폭넓은 문서를 위해 사소한 가계는 생략된다는 뜻입니다.

확인 가능한 저명성을 갖춘 인물에 대해서만 인물 문서를 만드세요. 등재 기준을 만족하느냐는 해당 인물이 독립된 여러 믿을 만한 출처에서 주요하게 다뤄졌는가에 따라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인물은 다른 문서에 언급되기도 합니다.

신조어 편집

출처가 거의 또는 아예 없는 신조어 관련 문서는 일반적으로 삭제됩니다. 그러한 문서들은 보통 신조어 사용 빈도가 늘게끔 하기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텍스트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 해당 언어에서 흔한 용어가 한국어에선 흔하지 않은 신조어로 번역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어떤 신조어는 많이 쓰이기도 하고, 어떤 용어는 인터넷 또는 더 큰 집단에서 사용된다는 증거가 될 수도 있습니다. 특정한 용어 또는 개념 관련 문서를 뒷받침하려면 그 용어를 '사용한' 원문 자료가 아니라, 그것을 언급한 신뢰할 수 있는 2차 자료를 인용하세요. 편집자의 개인 논평 또는 자료(예시: 블로그, 책 또는 '용어를 설명한' 기사가 아닌 '용어를 사용한' 기사)로는 신조어 관련 문서를 뒷받침할 수 없습니다. 그 행위 자체가 독자 연구 정책에서 명백히 금지하는 '1차 자료'에 대한 분석·통합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널리 쓰이지만 2차 자료에서 다루지 않는 신조어는 아직 위키백과에 등재될 수 없습니다. 그 용어가 '진짜 유행어'가 되기 위해 위키백과에 포함될 필요는 없습니다. 이후에 그 용어를 2차 자료에서 볼 수 있다면, 관련 문서도 만들어지고 다른 문서에서도 쓸 수 있게 됩니다.

간혹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사용했지만 줄여 쓰기 곤란한 용어도 있습니다. 이럴 땐 신조어로 만들기보다는 (조금 길고 어색해도) 일반적인 한국어 어순의 서술형 표제어를 써 보세요.

단어나 구 자체가 백과사전의 주제인 경우 편집

어떤 경우 단어나 구 자체가 백과사전의 주제가 되기도 합니다. 이때 그 단어나 구는 주제를 다룬 신뢰할 수 있는 출처확인 가능한 보도를 통하여 위키백과의 등재 기준을 만족합니다. 다른 문서들처럼 단어 관련 문서 역시 백과사전식 정보를 포함해야 합니다. 다시말해 문서들은 단어 사전 항목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것 (정의, 발음, 어원, 사용 정보) 그 이상을 담아야 하며, 해당 용어의 사회적·역사적 중요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합니다. 출판된 단어 사전이 해당 용어의 어휘적 정보를 찾는 데 유용한 출처이기는 하지만, 단어 사전에 해당 용어가 있다는 것만으로는 등재 기준을 통과하지 못합니다. 단어나 구 관련 위키백과 문서의 예시로는 가즈아,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 등이 있습니다.

다른 예로, 단어나 구가 주제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어떤 주제를 분류하거나 판단하는 개념 또는 '렌즈'인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 문서의 초점은 그 '렌즈'이지, 그 관점에서 바라본 주제가 아닙니다. 정치적 올바름, 동아시아에서 이런 경향이 나타납니다.[6]

문제 해결법 편집

서문에 "~를 말한다" 삭제하기 편집

'좋은' 백과사전 문서는 대상(인물, 장소, 개념, 사건, 그 외 제목이 말하는 무언가)에 대한, 비교적 짧지만 개별적인 설명으로 시작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질 나쁜 단어 사전식 서두문으로 시작하는 위키백과 문서 (특히 토막글)도 있습니다. 가령 "Canis lupus라는 이명이 있는 동물을 가리킨다.", "는 가축화된 견종을 일컫는다."와 같습니다. 이곳은 단어 사전을 위한 곳이 아니며, 편집 지침에 따라 수정되어야 합니다. 번거로운 서술어(일컫는다, 가리킨다, ~를 말한다)는 더 직관적으로 "~이다"로 바꿔 주세요. "Canis lupus라는 이명이 있는 동물이다.", "는 가축화된 견종이다."

명사가 아닌 형용사, 부사, 동사로 된 표제어인 악질 문서도 있습니다. 이런 문서는 그 단어 자체의 논의에만 그친다면 그저 단어 사전의 문서 중 하나가 될 뿐입니다. 해당 단어나 구가 의미하는 것을 논하는 문서라면 표제어를 바꾸거나 병합해주세요. 가령 "울다"는 동사이므로 그 자체로는 실제 대상을 의미하지 못합니다. 이 경우 "울음"이 실제 대상이 됩니다.

단어 사전 항목에 가까운 문서 편집

간혹 자리를 잘못 잡은 단어 사전 항목이 문서화되기도 합니다. (어원, 번역, 어법, 어미 변화, 여러 다른 의미, 동의어, 반의어, 동음이의어, 맞춤법, 발음, 그 외 단어 또는 관용구)

해당 단어나 숙어가 위키낱말사전에 없으면 transwiki 시스템을 써서 위키낱말사전에 복사하세요.

다만 복사 후 문서 최종 처리는 위키백과에서 이루어집니다. 해당 문서의 이름을 바꾸거나, 병합 또는 재작성하여 토막글로 존치시킬 수 없다면 삭제되어야 합니다.

위키낱말사전 포인터 편집

위키백과 문서에서 위키낱말사전 항목을 연결시켜 주는 틀도 있습니다. 가령 {{위키낱말사전|dictionary}} 코드를 입력하면 오른쪽에 보이는 것과 같이 위키낱말사전의 dictionary으로 갈 수 있는 포인터가 생성됩니다. {{위키낱말사전 넘겨주기|dictionary}}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같이 보기 편집

출처 편집

  1. Modern lexicography By Henri Béjoint pg 30
  2. 여러 주제에 대한 짧은 항목들을 가나다순으로 배열한 사전. 단어 사전보다는 단어의 정의 이외의 폭넓은 정보를 제공하고, 백과사전보다는 훨씬 간결하게 쓰인 것이 특징.
  3. 주의점: 어원이 되는 단어로서만 관련 있는 것이어서는 안 됩니다.
  4. Dictionary of lexicography By R. R. K. Hartmann, Gregory James
  5. Ancestry Magazine, Nov-Dec 1999, p 43
  6. 가령 동아시아는 학자에 따라 좁게는 한중일 3국에서부터, 넓게는 베트남러시아까지 아우르는 개념입니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