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안내소/20071117

'고속도로'의 명칭은 '고속국도'가 맞는 것이 아닌가요?

제가 알기로 고속도로의 명칭은 법적으로 고속국도가 맞는 것이며, 고속도로는 ex(한국도로공사)에서 '도로'라는 말을 홍보키 위해 사용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되려 고속국도로 접속하면 고속도로로 넘어가는 것이 용어상의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합니다. 알짬선생 2007년 10월 7일 (일) 00:43 (KST)[답변]

일단, 위키백과는 '한국어 위키백과'이지, '대한민국 위키백과'가 아니기 때문에, 굳이 대한민국의 한국도로공사에서 정한 표기를 따를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이럴경우 사용자들끼리 토론과 논의를 통해 어떤 표제어를 선택해야될지는 생각해봐야 겠죠.--해피해피 2007년 11월 6일 (화) 12:03 (KST)[답변]

그림의 수평 정렬은 어떻게 정하나요?

그냥 그림을 추가하면 오른쪽 정렬되어 나오는데, 왼쪽 정렬로 바꿀 수도 있나요? -- lemonedo 2007년 8월 20일 (월) 21:29 (KST)[답변]

보통은 그림 넣을 때 [[그림:그림이름.jpg|thumb|정렬위치|크기|설명]] 식으로 넣고, 정렬 위치는 right, left, center로 지정하고 크기는 px로 지정하지요. --Sjhan81 2007년 8월 20일 (월) 21:32 (KST)[답변]
그리고, <br clear="all"/> 태그를 문단 아래에 넣으면 태그 이후의 글이 그림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고, 그림 아래부터 나오도록 할 수 있습니다.--Sjhan81 2007년 8월 20일 (월) 21:38 (KST)[답변]


예를 들자면,
[[그림:Flag of South Korea.svg|thumb|left(정렬 위치)|200px(가로 크기)|대한민국 국기]]

이외에도 'thumb' 대신 'frame'이 있습니다. 'frame'를 넣으면 크기 지정이 먹히지 않고 원본 크기 그대로 나와요 :).-- iTurtle 2007년 8월 20일 (월) 21:33 (KST)[답변]

고맙습니다~ -- lemonedo 2007년 8월 20일 (월) 21:37 (KST)[답변]

새로운 글을 쓰고 다른 언어판에 연결할 때

여태까지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다른 언어판 문서에 [[ko:문서 이름]]을 추가했는데, 너무 많아서 엄두가 나지 않을 경우 영문판에만 추가합니다. 나중에 봇이 알아서 해주나요? -- lemonedo 2007년 8월 20일 (월) 22:43 (KST)[답변]

네. 하지면 동음이의어가 있거나, 뜻이 미묘한 경우라면 봇이 처리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주일 쯤 후에 다시 확인해보세요. -- ChongDae 2007년 8월 30일 (목) 18:27 (KST)[답변]

제안 문서는 어떻게 만드나요?

위키피디아 영문판의 Feature Article과 비슷한 개념을 한국어 위키백과 대문에 도입할 것을 제안하는 문서를 만드려고 합니다만, 어떻게 만들지를 몰라서 질문합니다. BongGon 2007년 8월 20일 (월) 23:42 (KST)[답변]

위키백과:한국어판 Featured Article에 비슷한 취지의 문서가 개설되었습니다. 제안문서를 만들 때는 위키백과:ㅇㅇㅇㅇ 를 만드시고 제안 틀을 다시면 됩니다. --Hun99 2007년 8월 20일 (월) 23:45 (KST)[답변]

표는 어떻게 만드나요?

표를 만들고 싶은데요

위키백과:표에 간단한 설명이 있습니다. 맘에 드는 표가 있는 문서를 참고하는 것도 방법이고요. -- ChongDae 2007년 8월 30일 (목) 18:26 (KST)[답변]

목차는 어떻게 넣는 것인가요?

문서를 보면 어떤 문서들은

목차가 들어가 있습니다. 숨기기도 가능하구요...

그런데 이 목차를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항목을 여러개 만들면, 자동적으로 생겨납니다. --Vgs16 2007년 8월 31일 (금) 20:26 (KST)[답변]
서명을 안 넣어서 다시 들어 왔더니 벌써 답을 달아 주셨네요....그런데 혹시 저도 그럴 것 같아서 연습장(모래상자)에서 해 보았는데 안되는 것 같더라구요....다시 해봐야 겠네요. 감사합니다.Negative and Positive 2007년 8월 31일 (금) 20:29 (KST)[답변]
사실 어려운 문제입니다. 원칙적으로는 여러 개의 항목이 생기면, 목차가 자동으로 생성되어야합니다. 하지만 연습장에는 __NOTOC__라는 명령어가 {{연습장 안내문}} 안에 숨겨져 있기 때문에 목차가 만들어 지지 않습니다. 강제로 목차를 만들고 싶으면, __TOC__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 --정안영민 2007년 9월 1일 (토) 14:32 (KST)[답변]

__TOC__이나 __NOTOC__이 입력돼 있지 않은 문서에서는 섹션이 4개 이상이면 자동으로 목차가 생깁니다(그 위치는 첫 섹션 위입니다). 4개가 안 되면 목차가 안 생기고요. __TOC__과 __NOTOC__은 그 규칙을 무시하고 1. 무조건 목차를 생성하거나(__TOC__) 2. 무조건 생성하지 않게(__NOTOC__)하는 겁니다. __TOC__은 목차가 있었으면 하는 위치에 입력하십시오. 예컨대 첫문단 밑에 __TOC__을 쓰면, 본문에서는 첫문단 아래에 목차가 생성될 것입니다. ― Yes0song 2007년 9월 5일 (수) 12:10 (KST)[답변]

참고로 TOC은 table of contents의 약어입니다. ― Yes0song 2007년 9월 5일 (수) 12:11 (KST)[답변]

틀 설명에서 '매개변수'의 의미는?

아래는 틀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여기에서 매개변수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틀을 만들거나 고칠 때에는 틀의 이름 앞에 틀:을 붙인 문서를 만들면 됩니다. 예를 들어, {{토막글}} 틀을 편집하고 싶을 때는 틀:토막글을 편집하면 됩니다. [편집] 매개변수 틀 내부에서 매개변수를 이용하려면 {{{1}}}와 같이, 각 매개변수의 순서 값을 중괄호 세 개로 감싸줍니다. 만약 틀을 사용할 때 {{사용하려는 틀|123|456}} 와 같이 사용하였다면, {{{1}}}에는 123, {{{2}}}에는 456의 값이 들어가게 됩니다. 매개변수에 이름을 붙인 경우에는 {{{매개변수 이름}}}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사용하려는 틀|값1=123|값2=456}} {{{값1}}}=123, {{{값2}}}=456

그리고 어떤 문서를 링크할 때, 링크된 문서안의 특정 세부제목으로 바로 가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예를 들어 '위키백과:틀' 문서에서 중간제목인 '매개변수'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를 걸수는 없을까요? Negative and Positive 2007년 8월 31일 (금) 20:43 (KST)[답변]

특정 세부제목으로 바로 가게 할려면 [[대한민국#기원]] (대한민국#기원)과 같이 #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틀을 쓸 때, {{토막글|메롱}} 과 같이 | 를 구분기호로 하여 틀에 일정한 값을 전해줄 수 있습니다. 이걸 매개변수라 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거기 있네요. -- 피첼 2007년 9월 1일 (토) 20:07 (KST)[답변]

최근 바뀜에서 '★★★의 버전으로 되돌림'은 어떻게 표시하나요?

궁금했던 것인데 좀 알려주세요. BongGon 2007년 9월 2일 (일) 02:11 (KST)[답변]

위키백과:안내소; 역사 기능을 보면 (편집 취소)라는 링크가 있습니다. 눌러보세요. -- 피첼 2007년 9월 2일 (일) 02:15 (KST)[답변]

환영글은 어떻게 지우나요?

환영위원회에서 작성해주신 글은 잘 보았습니다. 그런데 환영글은 어떻게 해야 지우나요? 모두 읽고 나면 지우라고 하는데요.

--채혁기 2007년 9월 5일 (수) 09:56 (KST)[답변]

편집창에서 지우시고자하는 내용을 선택하고(마우스 등으로) 키보드의 Delete키를 누르고 나서, 편집창의 저장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 리듬 2007년 9월 5일 (수) 10:08 (KST)[답변]
편집 화면에 보시면 {{환영}} 또는 {{환영합니다}}가 있을겁니다. 그걸 지우면 됩니다. Yeom0609 2007년 9월 5일 (수) 10:13 (KST)[답변]

언어유희

안녕하세요, 다음과 같은 언어유희를 뭐라고 부르는지 아시나요?

  • 아반녀벙하바세베요보, 이비와바 가밭으븐 어번어버유부희비를 뭐버라바고보 부부르브느븐지비 아바시비나바요보?

반모음 탈락 규칙은 제가 만든(?) 규칙일지도 모릅니다. 제 친구 몇몇은 어머니를 통해 배운 듯 한데요, 전국적으로 발견되는 놀이인지도 궁금합니다. 저희 어머니는 경기도 출신이십니다. --Kjoonlee 2007년 9월 17일 (월) 07:19 (KST)[답변]

이름이 따로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영어에서는 비슷한 걸 Pig Latin이라고 한다고 들었습니다. (별반 도움이 안되는 내용이라 죄송.) Atreyu 2007년 9월 20일 (목) 15:19 (KST)[답변]
Pig Latin보다는 Ubbi Dubbi에 가깝겠네요. 그리고 제가 아는 한에서는 경상도에서는 이와 같은 말놀이가 있다는 얘길 들어본 적이 없네요.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9월 20일 (목) 15:38 (KST)[답변]

영어 위키백과 사용자가 IRC에서 링크를 던져줬습니다. en:Language game에 보시면 귀신말이 등록되어있고 실제로 이에 대한 내용을 웹에서 쉽게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도깨비말이라고도 부르며 비읍 소리 대신 시옷 소리를 쓰는 변종도 있습니다. --Kjoonlee 2007년 9월 21일 (금) 03:11 (KST)[답변]

큰 글씨는 어떻게 만듭니까.

단순히 텍스트 자체만 크게 하려면.. --Vgs16 2007년 9월 19일 (수) 16:09 (KST)[답변]

{{크기|120%|이렇게 하면 글자가 커집니다.}}이렇게 하면 글자가 커집니다. --정안영민 2007년 9월 20일 (목) 14:23 (KST)[답변]

제 문서 좀 번역 도와주세요

[[1]] 그리고 이 빨간 거 뭐죠 도와주세요 --이형주] 2007년 9월 20일 (목) 10:02 (KST)[답변]

옆에 영한사전 해놓고 보면 번역하는데 큰 지장은 없습니다. 그리고 저 빨간건 문서가 없다는 뜻입니다. 저 문서는 사용자문서로 묶어두고, 두고두고 번역을 하시는것이 좋겠네요... --책읽는달팽 2007년 9월 20일 (목) 23:26 (KST)[답변]

영어위키에서 한국대학 치니까 영어로 설명이 나오네요.

영문위키가서 한국대학을 쳐보니까 한국대학이 쫙 나오네요. 그런데 A부터 D까지는 거의 파란색으로 링크가 걸려있었습니다. 그 밑에는 아직 못한부분도 많던데요. 그러면 지금 A부터 순서대로 편집하고 있는겁니까? 그럼 언제쯤 다 채워질까요? 이것에 대해 누구 아는사람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Shim 2007년 9월 21일 (금) 20:08 (KST)[답변]

영어판 사정은 영어판에 맡겨야 합니다. 따로 나뉘어져 있어서 거기서 작업해도 여기 한국어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제가 보기엔 유명한 대학이 아니면, 다른 대학에 대한 자료가 너무 적어서, 해당 대학의 학생이 아니면 문서를 생성하고 내용을 채우는건 무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혹시 Shim님도 다니시는 대학이 있으시면, 해당 대학에 대해 조금이라도 써주셨으면 합니다. --크렌베리 2007년 9월 21일 (금) 23:06 (KST)[답변]

pywikipedia replace.py -ref

-ref 옵션 정상적으로 사용되시는 분 있나요?

정식버전과 스냅샷 모두 파싱 에러 메세지가 뜨네요 --퇴프 2007년 9월 21일 (금) 17:36 (KST)[답변]

사용한 커맨드 라인 좀 보여주세요 ^^;; --풀빵 2007년 9월 21일 (금) 19:02 (KST)[답변]
replace.py -ref:"알골 프로그래밍 언어" "알골 프로그래밍 언어" "알골 (프로그래밍 언어)"
틀린게 있는건가요 --퇴프 2007년 9월 21일 (금) 19:26 (KST)[답변]
Revision: 4339 (2007-09-21)에서는 위와 같은 명령줄 넣고 정상 동작 확인했어요.... --풀빵 2007년 9월 21일 (금) 19:37 (KST)[답변]

주석?

주석은 무엇인가요? --다음 2007년 9월 23일 (일) 13:49 (KST)[답변]

위키백과 내부의 주석이라면 위키백과:출처 밝히기를 참고해주세요. 아니라면 말씀해주세요. --Kjoonlee 2007년 9월 24일 (월) 06:03 (KST)[답변]

페로 제도의 지명 'Svangaskard' 한글화 부탁

사랑방에서 이동해왔습니다. --Kjoonlee 2007년 9월 25일 (화) 04:00 (KST)[답변]

페로 제도는 어떤 언어를 쓰는지도 몰라서(덴마크어? 현지어?)... 여기다 부탁드립니다. 한글화 시켜주시기를 바랄게요. BongGon 2007년 9월 23일 (일) 15:30 (KST)[답변]

en:WP:RD/L#Svangaskarð pronunciation --Kjoonlee 2007년 9월 23일 (일) 16:48 (KST)[답변]
Ð, ð는 덴마크어 표기에서는 쓰지 않는대요. 덴마크 사람들도 그 지명 발음은 잘 모르나봅니다. --Kjoonlee 2007년 9월 23일 (일) 17:42 (KST)[답변]
높은 확률로 페로어일 겁니다.(ð 쓰는 다른 언어는 아이슬란드어 정도밖에 없어요.) en:Faroese language#Phonology를 보니까 페로어의 장모음·단모음 소리 차이가 꽤 있는데 그게 철자로는 구분이 안 되는 것 같네요. --Puzzlet Chung 2007년 9월 23일 (일) 18:04 (KST)[답변]
한편.. 현대 페로어 표기법에서 edd는 따로 음가가 없고, 어원상 포함되거나 이중모음화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Kjoonlee 2007년 9월 23일 (일) 18:20 (KST)[답변]
그리고 이 참에 제안을 해도 될까요? 모든 종류의 표기법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는 방을 따로 만들었으면 합니다. 매번 사랑방에 질문하니까 좀 그렇네요. BongGon 2007년 9월 23일 (일) 18:06 (KST)[답변]
en:WP:RD/L에 해당하는 곳은 현재 백:안내가 가장 가까운 곳 같습니다. 위키백과토론:안내소 참고해주세요. --Kjoonlee 2007년 9월 23일 (일) 18:20 (KST)[답변]

인터넷에서 페로어 철자-발음 대응 규칙에 관해 좀 검색해 보니 다음 중 하나일 것 같군요. 뭐가 정확한진 모르겠습니다만 -_-;

  • 스방가샤르, 스방가섀르, 스방개샤르, 스방개섀르, 스뱅가샤르, 스뱅가섀르, 스뱅개샤르, 스뱅개섀르, 스방아샤르, 스방아섀르, 스방애샤르, 스방애섀르, 스뱅아샤르, 스뱅아섀르, 스뱅애샤르, 스뱅애섀르

아무래도 저 중에서도 '스방가샤르'나 '스뱅가샤르' 두 개가 유력해 보이고 나머지는 좀 아닌 것 같습니다 -_-; ― Yes0song 2007년 9월 23일 (일) 20:53 (KST)[답변]

[svɛŋkaskɛaːɹ]라는 답변이 올라왔습니다. 네이티브 스피커분은 아니시기에 얼만큼 신뢰가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요. --Kjoonlee 2007년 9월 24일 (월) 04:49 (KST)[답변]
참고로 en:Talk:Svangaskarð에는 X-SAMPA로 [svENg_0asg_0_hEar\], 즉 [svɛŋg̊asg̊ʰɛaɹ] 이렇게 적혀있네요. 만약 유기음·무기음 구분이 있다면 스벵까스케아르, 없다면 스벵카스케아르로 적는 것이 어떨까 생각합니다. --Kjoonlee 2007년 9월 26일 (수) 02:10 (KST)[답변]
‘스벵가스케아르’일지도 몰라요. en:WP:RD/L#Svangaskarð pronunciation에는 ‘G is always devoiced in Faroese (as well as in Danish and Icelandic)’라고 했으니 en:Icelandic language에 나와 있는 것처럼 페로어에서도 G와 K의 구분이 (한국어의 ㄱ과 ㅋ처럼) /k/와 /kʰ/일지도 모르거든요. --Puzzlet Chung 2007년 9월 26일 (수) 12:42 (KST)[답변]
유성음 사이에서 무성음화 된 /ɡ/면 ㄱ로 적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어의 기역 소리는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이니까요. --Kjoonlee 2007년 9월 26일 (수) 13:57 (KST)[답변]

Hendrik Breitkreuz의 한글 표기?

인명입니다. (이뮬 문서 참조) 이 사람이 어디 나라 사람인 것만 안다면 쉽게 답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아시는 분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iTurtle 2007년 9월 25일 (화) 15:09 (KST)[답변]

Hendrik은 네덜란드어에서 쓰는 이름입니다(wikt:en:Hendrik). 네덜란드어 외래어 표기법[2][3]에 따르면 헨드릭 브레잇크뢰(z가 어말에 올 때는 발음이 안 되는 것 같습니다)인 모양입니다만 확신은 못하겠네요.
어쩌면 네덜란드어가 아니라, 네덜란드어에서 파생된 아프리칸스어일지도 모르겠네요. 그 경우에는 헨드릭 브러잇크뢰즈 정도가 맞는 듯합니다(en:Afrikaans#Orthography). 이 역시 확신 못합니다. 아무래도 영어판 안내소로 가서 직접 물어보심이 좋을 듯합니다. ― Yes0song 2007년 9월 25일 (화) 19:39 (KST)[답변]
이 사람은 지금 독일에 살고 있네요. -_-; 일단 답변 감사합니다. -- iTurtle 2007년 9월 25일 (화) 23:23 (KST)[답변]
참고로 독일어로 breit는 broad, kreuz는 cross입니다. 브라이트크로이츠일지도요. --Kjoonlee 2007년 9월 26일 (수) 02:12 (KST)[답변]
독일어에는 문외한이기에 다른 분께서 검토를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Kjoonlee 2007년 9월 26일 (수) 02:13 (KST)[답변]
독일어로는 브라이트크로이츠가 맞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9월 26일 (수) 13:27 (KST)[답변]
여기에 따르면 독일 이름 맞네요. 한편 캐나다의 정치인 en:Garry Breitkreuz는 ‘Bright-Krites’로 발음한다고 합니다. 캐나다 영어지만요. --Puzzlet Chung 2007년 9월 26일 (수) 12:48 (KST)[답변]
그렇다면 헨드릭 브라이트크로이츠로 표기하겠습니다. :) -- iTurtle 2007년 9월 27일 (목) 15:53 (KST)[답변]

파일 올리기

게임의 스크린 샷등을 첨부하여 서버에 올릴 시 저작권 문제로 삭제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 BlueBear 2007년 9월 26일 (수) 16:46 (KST)[답변]

방법은 있습니다.
  1. 틀:유비소프트 스크린샷처럼 저작권자로부터 위키백과:저작권 정책과 호환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을 받습니다(물론 명문화된 증거를 밝혀야 합니다).
  2.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아래 배포되는 게임 프로그램의 스크린샷(예:Freeciv)만 올립니다.
  3. 그리고 위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게임 스크린샷은 위키미디어 공용commons:Category:Video_game_screenshots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조건의 스크린샷을 발견하시면 저 카테고리에 올려주셔도 됩니다. --퍼플렉싱 2007년 9월 26일 (수) 17:19 (KST)[답변]

보스니아의 지명 Bilino Polje 한글화

유로 문서 편집을 하다보니 생소한 외국 지명이 나오는게 장난이 아니군요. 조금이라도 알려진 경기장이면 어떻게라도 인터넷을 찾아보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라면... 이 경우가 그렇겠군요. IPA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BongGon 2007년 9월 29일 (토) 12:32 (KST)[답변]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보스니아어)의 외래어 표기법[4][5]에 따르면, '빌리노 폴레'로 적어야 합니다. 솔직히 '빌리노 뽈례'가 더 원음에 가깝겠지만 표기법상은 '빌리노 폴레'네요. ― Yes0song 2007년 10월 2일 (화) 00:42 (KST)[답변]

삭제

여러 가지 문서 삭제하는 법 알려주세요.--박신환 2007년 9월 30일 (일) 13:22 (KST)[답변]

문서 삭제는 관리자만 가능합니다. 무슨 문서를 삭제하고 싶으신지 또 그 사유는 무엇인지 위키백과:관리자 요청이나 삭제틀을 통해 밝혀주세요.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9월 30일 (일) 13:32 (KST)[답변]
관리자 권한이 당장 필요한 일이 아니면 관리자 요청은 피해주세요. --Kjoonlee 2007년 9월 30일 (일) 23:31 (KST)[답변]

노르웨이 축구선수 John Carew의 한글 표기

정확한 외래어 표기법에 의거한 표기를 알려 주십시요. 현재는 욘 카레브라는 문서로 되어있네요. BongGon 2007년 10월 1일 (월) 23:16 (KST)[답변]

노르웨이어의 외래어 표기법[6]에 따랐을 때 '욘 카레브'가 맞는 표기입니다. 현재 문서는 바른 제목을 쓰고 있습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2일 (화) 00:31 (KST)[답변]

도와주세요

제가 위키피디아(영어) 에서 실수로 Australian dollar 삭제 해 버렸는데 (지금은 돌아옴)

나중에 그 측에서 편집 못하게 잠궜 더군요.

제가 알기로는 편집 잠구는 것은 문서 훼손을 반복적으로 할 때 그렇다고 하는데...

한번 밖에 안했는데.... (그것도 실수로)

어떻하면 좋죠?

만약에 방법 모르시면 언제쯤 잠금이 풀리나요? --위키아비 2007년 10월 2일 (화) 23:05 (KST)[답변]

변경기록을 보니[7] 한 번이 아닌데요. 실수로 보기에는 여러번이고, 반달리즘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Kjoonlee 2007년 10월 3일 (수) 00:25 (KST)[답변]
영어판을 직접 편집하시진 않을테니 차단되어도 상관없지 않나요? 차단되어도 내용은 볼수 있습니다. --퇴프 2007년 10월 3일 (수) 00:54 (KST)[답변]

제가 문서 이동이 무슨 기능인지 몰라서 그랬는데 .... 위키피디아 (영어) 쪽에 도움을 요청해야 해주 시면 안될까요? --위키아비 2007년 10월 3일 (수) 10:35 (KST)[답변]

인터위키 여러 페이지가 같은 페이지를 가리켜도 괜찮은가요?

뭐 물론 그런다고 두 페이지가 충돌하여 연쇄반응으로 지구는 멸망했다...는 아니겠지만...

en:Chinilpaen:Japanophile이 모두 한글판 친일파를 가리키고 있더군요. -.-;;; "일본을 좋아하는 사람(Japanophile)"은 "친일파"가 아닌데 말입니다. 일단 "Japanophile"의 인터위키는 제거했습니다만, 이런 경우 어떻게 처리하는지 특별한 정책이 있나요? Atreyu 2007년 10월 4일 (목) 14:54 (KST)[답변]

한 페이지씩 가리키는게 권장되지만, 각 언어판마다 문서 생성 지침이 다르기 때문에 언어판마다 문서가 꼭 그렇게 만들어지진 않습니다. 주로 다대일 연결이 문제를 일으키는데, 이 경우 가장 중심이 되는 문서와 연결시키면 됩니다. 그리고 아마 인터위키 하나만 제거하면 봇이 나타나 자동으로 추가할겁니다. (..) 모든 페이지 수정해야해요. --퇴프 2007년 10월 4일 (목) 14:59 (KST)[답변]
손으로 문서를 관리한다면 어쩔수 없이 여러개 문서가 하나를 가리키는게 잘못된건 아니지만, 봇을 통한 관리에 말썽을 피우니 제거하는게 바람직합니다. (아닐수도) --퇴프 2007년 10월 4일 (목) 15:00 (KST)[답변]
일단 sv:Japanofil, ja:親日派에서는 제거했는데, zh:亲日派 이 페이지는 역시 양쪽 개념이 혼재되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제가 중국어를 몰라서 잘 모르겠네요. 누가 중국어 아시는 분이 확인해 주시고 그쪽 토론 페이지에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그나저나 내일 와보면 대우주의 위대한 의지봇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있는 건 아니겠지.. -.-) Atreyu 2007년 10월 4일 (목) 15:17 (KST)[답변]
중국어 페이지에도 안면몰수하고 토론 페이지에 영어로 "여차여차하니 확인해서 지워주셈" 하고 글을 올렸습니다. 뭐 누군가 보고 해주겠죠... (묵념.) 그나저나 봇이 저를 그렇게 미워하진 않는 모양이네요. (다행이다...) Atreyu 2007년 10월 5일 (금) 17:28 (KST)[답변]

영어 지명 한국어 표기

en:Robert Menzies 중에서 Wimmera, Jeparit 이 거 지명 이름인데 한국어로 표기를 어떻게 해야 하죠? 조그마한 마을이름 이라서 더 난해하네요.--위키아비 2007년 10월 5일 (금) 10:56 (KST)[답변]

질문

제가 영어판에서 복사해서 한국어 위키백과에 붙여넣어도 표나 틀 이 보이지 않거든요. 혹시 영어 판 이랑 한국어랑 틀 문법이 다른가요?

위키백과:틀 과 위키백과:표 를 보았는데도 이해가 안되네요. 쉽게 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ㅜㅜㅜ 한국어 판으로 말이죠.--위키아비 2007년 10월 5일 (금) 12:17 (KST)[답변]

정비용 틀 말인가요? 영어판은 얼마 전에 정비 틀의 양식을 통합해서 간단한 문법으로 틀을 만들 수 있게 되었더군요. 한국어 위키백과는 그 전의 영어백과 같은 방식입니다. 그런 틀을 가져오시려면 틀 문서의 역사를 보시고, 양식 통합 이전(2007년 9월 15일 이전쯤)의 것을 복사해오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퍼플렉싱 2007년 10월 5일 (금) 18:16 (KST)[답변]

아니오,예를 들어en:Australian dollar 오른쪽 첫 번째 표 같은 거요 (사용 국가, 동전, 지폐 등등등 소개하는 표) 어떻게 하죠?--위키아비 2007년 10월 5일 (금) 21:28 (KST)[답변]

en:Template:Infobox_Currency 이 문서가 해당 오스트레일리아 달러 표에 사용된 틀입니다. 표의 기본적인 양식을 별도의 문서로 만들어, 다수의 문서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똑같은 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아직 이 틀은 한국어 위키백과 쪽에 없는 것 같으니 하나 만드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어쪽 문서를 사용자 문서에 복사해두시고 번역하면 좋습니다. 통화 문서 기여, 힘내시기 바랍니다! --퍼플렉싱 2007년 10월 6일 (토) 20:06 (KST)[답변]

中古日本語

일어판 사용자분의 요청으로 번역은 마쳤습니다만, 표제어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누가 좀 가르쳐줘요!! --크렌베리 2007년 10월 1일 (월) 15:02 (KST)[답변]

학술적인 용어에 해당되니.. 어설프게 발음 그대로 쓰는 것 보다는 학계에서 어떻게 쓰는가를 참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8]를 보아, 그냥 '중고일본어'로 쓰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여집니다. (이거, 대략 어떤 분이 요청을 했는가 감이 옵니다만.. ^^;) -- tiens 2007년 10월 1일 (월) 15:15 (KST)[답변]
아 물론 원어의 표기 및 발음은 써둬야겠지만요 ^^; -- tiens 2007년 10월 1일 (월) 15:18 (KST)[답변]
tiens님 덕분에 끝냈네요. 일본어판의 문서도 이제 막 시작했는지, 너무 분량이 적더군요. 그래서 시간을 두고 주시해야겠습니다. --크렌베리 2007년 10월 1일 (월) 18:00 (KST)[답변]

라트비아의 축구 선수

라트비아의 축구선수인 Vitālijs Astafjevs, Ēriks Pētersons 을 우리말로 번역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라트비아 참조) 실버 불렛 ♪ 2007년 10월 6일 (토) 20:59 (KST)[답변]

해결 되었습니다. 실버 불렛 ♪ 2007년 10월 6일 (토) 23:07 (KST)[답변]

외국인인 것 같고 영어화자인 것 같은데, 저더러 메타위키에서 영어로 쓰여진 두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해보랍니다. 혹시 제가 못하면 다른 사람이라도 구해서 번역을 해달라고 간곡히 요청히 들어왔어요. 혹시 다른 분들 중에 정확히 번역할 줄 아시는 분?(대충 의미상으로는 알겠지만 번역을 한다는 건 여간 힘든일이 아니라서요) BongGon 2007년 10월 7일 (일) 04:52 (KST)[답변]

메타 주소 정도는 좀 붙여주시지(..) 달려갑니다! --dus|Adrenalin 2007년 10월 7일 (일) 11:22 (KST)[답변]
일단 간단히 번역해두긴 했는데, sitenotice라는 특성상 의역을 좀 많이 해서 약간 위험합니다. 누가 proofread좀 해주셔요~ (저걸 우리말로 뭐라고 하는지 까먹었다 ㄱ-) --dus|Adrenalin 2007년 10월 7일 (일) 11:25 (KST)[답변]

영어 단문 해석 부탁

However, due to an upcoming review of venues eligible to host the Champions League Final (announced by UEFA President Michel Platini on 6 June 2007) this decision could be reversed, and a stadium with enhanced turnstile and ticketing technology chosen instead.

인데요 의역은 어느정도 가능하긴 한데 정확히 번역하는 것을 목표로 해서요. 도움을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BongGon 2007년 10월 8일 (월) 01:45 (KST)[답변]

직역해봤습니다.
하지만, 곧 있을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주최지 시찰(UEFA 회장 미셸 플라티니가 2007년 6월 6일 발표한) 때문에 이 결정은 번복될 수 있고, 더 좋은 개찰구나 티켓 발급 기술을 갖춘 경기장이 대신 선택될 수 있습니다. --퍼플렉싱 2007년 10월 9일 (화) 23:16 (KST)[답변]
감사합니다. BongGon 2007년 10월 11일 (목) 20:55 (KST)[답변]

오래된 서적의 사진은 퍼블릭 도메인인가요?

공통 위키의 설명에 따르면 2D로 된 작품, 서예품이나 그림같은 경우는 작가의 사망한지 70년 이후는 대체로 퍼블릭 도메인으로 인정됩니다. 그런데 서적의 경우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한장 한장 따지면 평면이 2D이지만, 책을 양감이 보이게 전체 보이게 찍으면 3D가 되고, 이것을 찍은 사진가의 권리도 따로 있을 듯 싶은데요. 조선왕조실록이나 동국정운 등에서 사진을 추가하고 싶은데 이것이 퍼블릭 도메인인지 아닌지 궁금합니다. --케이준 라임 2007년 10월 8일 (월) 21:30 (KST)[답변]

말씀하신대로 commons:Image:Alice in Wonderland.djvu처럼 내용을 바로 '스캔'한 것이 아니라 '3차원'으로 인정되는 범위에 들어간다면 촬영자에게 저작권이 있을 겁니다. -- iTurtle 2007년 10월 8일 (월) 22:56 (KST)[답변]
쓰고 나니까 조금 헷갈리네요. -- iTurtle 2007년 10월 8일 (월) 22:59 (KST)[답변]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흠..그럼 직접 허가를 받기전에는 책 사진은 안되는 거군요.-_- --케이준 라임 2007년 10월 10일 (수) 02:51 (KST)[답변]

분류:noinclude를 사용한 틀, 뭐가 잘못된 건가요?

noinclude를 사용하지 말란 것 같은데, 뭐 문제라도 있는건가요? BongGon 2007년 10월 9일 (화) 19:59 (KST)[답변]

초보자는 이해하기 어려운 엉뚱한 오류가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찬성}}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onlyinclude[[그림:Symbol support vote.svg|16px]]'''찬성'''/onlyinclude

찬성/반대 투표에서 찬성할 때 씁니다.

이게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고 해보죠.

[[그림:Symbol support vote.svg|16px]]'''찬성'''
[noinclude]
찬성/반대 투표에서 찬성할 때 씁니다.
[/noinclude]

얼핏 보면 오류가 없어 보입니다만 실제 사용할 때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왜 그럴까요? ;) --Klutzy 2007년 10월 9일 (화) 20:12 (KST)[답변]

왜 그런거죠? 그 문법들과 인연은 많았지만 정작 어떻게 적용되는지는 별로 관심이 없어서요 BongGon 2007년 10월 9일 (화) 20:21 (KST)[답변]
아래의 예제와 같이하면, 생각치못한 빈공간이 생겨서 사이가 벌어지고, 저 부분이외에는 자동적으로 onlyinclude로 감싼것과 같은 효과가 나기 때문에, 인터위키와 분류를 넣을때 noinclude를 벗어난 자리에 넣으면, 그것마져 추가되서 분류와 인터위키가 꼬이게 되죠. includeonly만 써서 감싸면, 그 부분은 문서에서 가져다 쓸때까지는 눈에 안보이게될뿐, noinclude에서 벗어난 것과 같은 현상이 일어나죠. 틀에 인터위키 봇을 돌렸을때 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noinclude를 가급적 자제하자는 의미에서 분류한거겠죠. :P --크렌베리 2007년 10월 9일 (화) 22:43 (KST)[답변]
그것도 그렇지만 저 자체로도 문제가 있습니다. 실제 내용과 noinclude가 다른 줄에 들어가 있죠. 이렇게 되면 실제 틀이 들어갈 때에는 첫줄뿐만 아니라 줄바꿈 문자가 같이 들어갑니다. 즉,
# {{찬성}} -- A
# {{찬성}} -- B
는 다음과 같이 변환됩니다.
# [[그림:Symbol support vote.svg|16px]]'''찬성'''
 -- A
# [[그림:Symbol support vote.svg|16px]]'''찬성'''
 -- B
이렇게 레이아웃이 완전히 깨집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려면 내용이 끝나는 바로 다음에 noinclude를 붙여 써야 하는데, 이렇게 하는 것보다 차라리 onlyinclude만을 사용하는 편이 훨씬 쉽습니다. --Klutzy 2007년 10월 10일 (수) 00:42 (KST)[답변]
오~, 바로 옆에 붙이지 않으면 줄바꿈을 한다는걸로 인식하는거였군요. 저 분류가 생긴 이유와 저기 연결된 문서를 정비해야될 이유가 명쾌해졌습니다. --크렌베리 2007년 10월 10일 (수) 02:35 (KST)[답변]

영어판의 그림을 안전하게 옮겨오려면.

저작권에 대해서도 문외한이고, 위키 문법도 초보라서 그런지 [9] 를 옮겨오기가 무섭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Vgs16 2007년 10월 10일 (수) 17:02 (KST)[답변]

 
이미 위키미디어 공용에 같은 파일이 올라와 있기 때문에 여기서도 바로 사용이 가능하답니다. -- iTurtle 2007년 10월 10일 (수) 18:46 (KST)[답변]
공용에 옮긴 후 영어판의 해당 그림에는 {{subst:ncd}}를 붙이는 게 가장 바람직합니다. 해당 그림은 이미 옮아와 있네요. -- 피첼 2007년 10월 13일 (토) 15:41 (KST)[답변]
영어판의 그림 중 저작권이 있는 것(대개 그림 설명문에 빨간색 ⓒ 로고가 붙어 있음)은 일단 한국어 위키백과로 가져오시면 안됩니다(한국어 위키백과는 공정 사용이 인정 안 되므로). Public Domain, GFDL이거나, 저작권자가 자유로운 사용을 허가한 그림(아마 그림 설명문에 녹색으로 ⓒ 로고가 붙어 있을 겁니다), 또는 위키미디어 재단이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는 그림(위키백과 로고 등)이면 한국어 위키백과로 가져오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개 이런 파일은 이미 공용에 올라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영어판에만 직접 올려진 경우는 드뭅니다. 혹시 퍼오고자 하는 그림이 영어판에만 올려져 있고 공용에는 올라와 있지 않다면, 웬만하면 공용에 올리시고, 이곳에 올리지 마십시오. 공용에 올리면 한국어 위키백과 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젝트에서도 쓸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공용에 파일을 올리신 뒤에는 영어판의 그림 문서를 편집하여 {{subst:ncd}}를 입력하여 주십시오. 이것은 현재 공용에 해당 그림 파일이 있으니, 영어판에서는 삭제하라는 뜻입니다(해당 그림이 이미 공용에 있으면 굳이 영어 위키백과에 남겨놓을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럼 영어판의 관리자가 확인하여 해당 그림을 지울 것입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15일 (월) 21:58 (KST)[답변]


American Society of Travel Agents는 무엇을 위해 어떤 행동을 하는곳일까요?

American Society of Travel Agents는 무엇을 위해 어떤 행동을 하는곳일까요?

사전 정보 없이 유추해보자면 전미 여행 가이드 모임 정도로 보이는데... 검색해 드릴까요? --dus|Adrenalin 2007년 10월 14일 (일) 12:24 (KST)[답변]
여행사 협회 같습니다. --Kjoonlee 2007년 10월 14일 (일) 22:45 (KST)[답변]

위키백과 이메일 인증 오류

가입 후 이메일 인증코드를 메일로 받았으나 한글 인코딩이 깨져서 인증이 완료되지 않습니다. 저는 gmail을 사용합니다. 물론 제가 다른 이메일로 인증을 받으면 그만이지만 이 인코딩 문제도 해결방법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이 의견을 2007년 10월 17일 (수) 18:53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Hyeseon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저도 gmail로 인증 메일을 받았는데 잘 보였습니다. 웹 브라우저의 인코딩 설정을 변경해 보세요. euc-kr로 맞춰져 있을 때 제대로 보일겁니다. --Excretion 2007년 10월 20일 (토) 23:10 (KST)[답변]

넬슨 제독의 성함

넬슨의 표제어를 바꿔야하는데, irc에서 다른분들께 물어보니 호레이쇼, 호레이시, 호레시오 라는데 어느게 맞습니까? --크렌베리 2007년 10월 17일 (수) 22:19 (KST)[답변]

네이버 영어사전의 발음기호를 토대로 외래어 표기법으로 옮기면 ((미국, 영국 공통)) 허레이시오, ((미국 영어에서만 허용되는 발음)) 호레이시오가 됩니다. 영화 잡지 등에서는 CSI: Miami의 주인공 Horatio Caine을 '호레이쇼'로 적고 있더군요. OCN에서는 자막에 한결같이 '호라시오'라고 적고 있고요 -_-;; 현재 이 이름의 한글 표기에 대해 국립국어원이 결정한 바가 아무것도 없으니 일단 사전에 나와 있는 발음→외래어 표기법의 규칙 적용하여 '허레이시오'로 적어야 할 것 같습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18일 (목) 00:06 (KST)[답변]
Yes0song님의 답변에 따라 미국/영국 공통의 허레이시오로 옮깁니다. --크렌베리 2007년 10월 18일 (목) 00:13 (KST)[답변]

위키백과 운영 현황 문의

위키백과에 두 번째 접속을 했는데 궁금한 사항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위키백과에 있는 분류는 누가 처음에 만들고 어떻게 만드는 것인지요? 그리고 올려진 새로운 글은 관리자께서 일일이 검토를 하고 게시가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위키가 사용자간 수정을 통해 정보가 변경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간단하게 올려진 제목등이 편집취소 된 것을 보니 어떻게 된일인지 무척 궁금합니다. --Zzmettai 2007년 10월 18일 (목) 19:16 (KST)[답변]

분류는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고, 모든 글을 관리자들이 모니터링하지는 않습니다. 모니터링도 사용자가 직접 합니다.--Excretion 2007년 10월 19일 (금) 23:18 (KST)[답변]

저기 질문

제가 사용자 문서에서 틀을 다 만들어서 실제 틀로 만들려고 하는데 어디에 옮기죠?--위키아비 2007년 10월 18일 (목) 19:49 (KST)[답변]

그냥 ‘틀:’로 시작하는 문서로 옮기시면 됩니다. 다만, 매개변수(parameter)를 포함하여 완전히 번역한 다음에 옮겨주세요. 잘 모르겠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으면 이곳에 도움을 요청하시고요. :) --정안영민 2007년 10월 18일 (목) 22:40 (KST)[답변]

다중 계정에 대해

위키 정책에 따르면 다중 계정은 원칙적으로 처벌 대상이지만 악의적인 목적이 없는 경우라면 허용된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러면 그 전에 다중 계정 이용 허가를 받아야 합니까? 휘뚜루마뚜루 (토론) 2007년 10월 18일 (목) 17:59 (KST)[답변]

허가 받은 다음 생성할 필요까진 없습니다. 단 왜 그 다중계정을 생성했는지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를 확실히 밝혀야 되며(봇 전용 계정 등), 악의적인 목적, 예를 들어 투표에서 다중 계정을 통해 동시에 여러표를 행사한다던가 그런 짓만 안하면 됩니다. -- 피첼 2007년 10월 18일 (목) 22:37 (KST)[답변]

새로운 분류(Categry)는 어떻게 만들죠

새로운 분류(Categry)는 어떻게 만들죠

새글을 쓰고 분류하는 방법좀 알려 주세요 -- 이 의견을 2007년 10월 19일 (금) 11:01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Robinkok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새 글을 만드실 때와 같습니다. 다만 분류:무엇무엇처럼 이름 앞에 분류:를 붙여주시면 됩니다. 만드신 글을 분류하시려면 문서 아래에 [[분류:무엇무엇]]이라고 넣어주면 됩니다. --퍼플렉싱 2007년 10월 19일 (금) 11:31 (KST)[답변]

분류에 대한 하위 하이어러키 구성 방법

어떤 분류밑에 하위 분류를 구성하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하는지요? -- 이 의견을 2007년 10월 19일 (금) 16:15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Zzmettai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분류 문서에 분류를 주면, 그 분류의 하위 분류로 처리됩니다. --dus|Adrenalin 2007년 10월 19일 (금) 16:23 (KST)[답변]

그렇게 구성된 하위 분류를 위키백과내에서 다시 찾아 보려면 쉽지가 않습니다. 검색을 해도 안되고.. 운영자분께서 추후에 분류를 확정해 주시는 건지요? 아니면 구성된 분류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Zzmettai 2007년 10월 19일 (금) 16:26 (KST)[답변]

무슨 소린지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A 분류에 B 분류를 넣으면 A가 B의 하위 분류로 처리됩니다. -- 피첼 2007년 10월 19일 (금) 16:29 (KST)[답변]
그리고 백과사전 답지 않은 너무 짧은 글은 관리자가 확인하고 삭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피첼 2007년 10월 19일 (금) 16:30 (KST)[답변]
위키백과는 가독성과 편집의 용이함을 위해 엔터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꼭 필요할 때만 <br />로 화면에서만 줄이 바뀌도록 해 주시고, 문단이 바뀔 때만 엔터 두 번으로 p태그 효과를 주십시오.
미디어위키 부가기능인 '카테고리 트리'가 위키백과에도 적용되어 있습니다. 분류 문서를 열어보시면 뭔 소리인지 바로 감이 오실 겁니다. --dus|Adrenalin 2007년 10월 19일 (금) 16:37 (KST)[답변]
기본적으로 검색 기능은 일반 문서만을 찾아줍니다. 대신 검색하실 때 분류:검색할 단어로 입력하시면 분류 문서 중에서 해당 검색어에 부합하는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검색할 단어'로 만들어진 분류가 있을 경우 그 분류로 바로 연결되고, 없을 경우 검색어가 포함된 분류들을 찾아 나열해줍니다. 그리고 새로 만들어진 문서는 조금 기다려야 검색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퍼플렉싱 2007년 10월 21일 (일) 10:02 (KST)[답변]

영어 단문 번역 요청

Match delayed by 35 minutes by match referee Mike Riley after flares were thrown from the stands, minutes after the kick-off.

다음과 같은 문장인데 경기 시작 후 35분에 경기가 중단되었다는 것인지 경기가 35분동안 중단되었는지 헷갈리네요. 제대로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BongGon 2007년 10월 19일 (금) 17:03 (KST)[답변]

킥오프 후 몇분만에 관중석에서 불꽃이 던져지자 심판 마이크 라일리에 의해 35분간 경기가 중단되었다. minutes after the kick-off라는 표현이 있고, by 35 min.이므로 경기 시작 몇 분만이라고 생각되는 군요.--HM JANG 2007년 10월 19일 (금) 17:16 (KST)
킥오프가 되고서 얼마지 않아, 경기가 중단되었으며 또한 35분간 중단되었다는 의미입니다. --Hun99 2007년 10월 19일 (금) 17:18 (KST)[답변]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BongGon 2007년 10월 19일 (금) 18:21 (KST)[답변]

category:International national football (soccer) competitions의 적절한 번역?

category:International national football (soccer) competitions를 번역하려니 참 난감하네요.

International club football (soccer) competitions은 분류:국제 클럽 축구 대회로 간단히 번역을 했습니다.

하지만 national을 국가로 보아서 국제 국가 축구 대회, 국제 나라 축구 대회로 하자니 약간 어감이 이상한 듯 합니다.

적절하게 맞추실 수 있으신 분은 좀 와서 손좀 봐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 이 의견을 2007년 10월 19일 (금) 23:24에 작성한 사용자는 BongGon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국가대항은 어떤가요. -- 피첼 2007년 10월 19일 (금) 23:38 (KST)[답변]
국제 국가 대항 축구 대회요? 어감도 이상하지 않고 좋을 듯 합니다. BongGon 2007년 10월 19일 (금) 23:41 (KST)[답변]

영어 번역 요청 합니다.

In 1966, coins were introduced in denominations of 1, 2, 5, 10, 20 and 50 cents. 1 dollar coins were introduced in 1984, followed by 2 dollars in 1988. The 1 and 2 cent coins were discontinued in 1991 and withdrawn from circulation.[1] Cash transactions are rounded to the nearest 5 cents or rounded down at the option of the retailer. As with most public changes to currency systems, there has been a great amount of seignorage of these discontinued coins, meaning the vast majority are never going to be worth a significant amount of money. All coins portray Queen Elizabeth II on the obverse and are produced by the Royal Australian Mint.

Australia has regularly issued commemorative 50 cent coins. The first commemorative 50 cent coin was in 1970, commemorating Captain Cook's exploration along the east coast of the Australian continent, followed in 1977 by a coin for Queen Elizabeth II's Silver Jubilee, the wedding of Charles and Diana in 1981, the Brisbane Commonwealth Games in 1982, and the Australian Bicentenary in 1988. Issues expanded into greater numbers in the 1990s and the 21st century, responding to collector demand. Australia has also made special issues of 20 cent and 1 dollar coins.

There are also many Australian five dollar coins of aluminium/bronze and bi-metal as well as many silver and gold bullion coins in higher denominations. These, like the U.S coins of higher denomination than 1 dollar or which are made of precious metals, are not normally used in payment but are still legal tender.

Current Australian 5, 10 and 20 cent coins are identical in size to the former Australian, New Zealand and British sixpence, shilling and two shilling (florin) coins. In 1990 the U.K. replaced these coins with smaller versions, as did New Zealand in 2006 - at the same time discontinuing the 5 cent coin. With a mass of 15.55 grams and a diameter of 31.51mm, the Australian 50 cent coin one of the largest coins still in circulation today.

인데요 정확히 번역좀 해주세요 --위키아비 2007년 10월 22일 (월) 15:30 (KST)[답변]

1966년, 동전들은 1, 2, 5, 10, 20, 50 센트의 단위로 나뉘어 도입되었다. 1 달러 동전은 1984년에, 2 달러는 1988년에 도입되었다. 1 센트와 2 센트 동전들은 1991년에 생산과 통화가 중단되었다.[1] 현금 거래는 그와 가까운 5 센트까지 통용되었고 소매상들은 취급하지 않게 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통화 체계를 바꾸면서, 대다수에게는 그만한 가치가 없을 생산이 중단된 동전들에 엄청난 양의 인세가 붙었다.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초상이 새겨진 동전들은 모두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조폐소에서 생산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정기적으로 50 센트 기념 주화를 발행해왔다. 첫 50 센트 기념 주화는 1970년에 캡틴 쿡의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동부 해안 탐험을 기념하는 것이었다. 이어 1977년에는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25주년, 1981년에는 찰스와 다이애나의 결혼, 1982년에는 브리즈번 연방 게임, 1988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200주년을 기념하는 주화를 발행했다. 1990년대와 21세기에는 수집가들의 요구에 부응해 발행량을 크게 늘렸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또 20 센트와 1 달러 동전의 특별판을 만들기도 했다.
또한 알루미늄청동과 바이메탈로 만든 5 달러 오스트레일리아 동전과 은과 금으로 만들어진 높은 단위의 동전들도 많이 있다. 이것들은 1 달러보다 높은 단위를 가지거나 귀금속으로 만들어진 미국 동전들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지불에 사용되지는 않지만 여전히 법정 화폐이다.
현재 오스트레일리아의 5, 10, 20 센트 동전들은 이전의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영국의 6 펜스, 실링, 2 실링 (플로린) 동전들과 크기가 동일하다. 1990년대에 영국은 그 동전들을 더 작은 것으로 교체했고, 뉴질랜드도 2006년에 5 센트 동전의 발행을 중단하며 같은 일을 했다. 15.55 그램의 무게와 31.53 밀리미터의 지름을 가진 오스트레일리아의 50 센트 동전은 현재 통화되고 있는 것 중에서 가장 큰 동전의 하나이다.
--퍼플렉싱 2007년 10월 22일 (월) 16:30 (KST)[답변]
각각의 용어 사용이 적절한지는 모르겠지만, 위키아비님의 판단으로 적절히 고쳐주시기 바랍니다. --퍼플렉싱 2007년 10월 22일 (월) 16:39 (KST)[답변]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 드려요.--위키아비 2007년 10월 22일 (월) 17:41 (KST)[답변]


영어 번역 요청

The dollar is the currency of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including Christmas Island, Cocos (Keeling) Islands, and Norfolk Island, as well as the independent Pacific Island states of Kiribati, Nauru and Tuvalu. The Australian dollar's ISO 4217 code is AUD but it is often abbreviated with the dollar sign $. A$ or AU$ is often used informally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dollar-denominated currencies. It is subdivided into 100 cents.

The Australian dollar is currently the fifth-most-traded currency in world foreign exchange markets (behind the U.S. dollar, the euro, the yen, and the pound sterling),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4–5% of worldwide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The Australian dollar is popular with currency traders due to relatively high interest rates in Australia, the relative lack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the general stability of the economy and the government, as well as the prevailing view that it offers diversification benefits in a portfolio containing the major world currencies (especially because of its greater exposure to Asian economies and the commodities cycle).

이거랑

The dollar was introduced on 14 February 1966, not only replacing the Australian pound (distinct from the pound sterling since 1929) but also introducing a decimal system.

파일:20royalsfront.jpg
A 20-royal note
파일:10royals.jpg
A 10-royal note

In 1965, the Prime Minister, Robert Menzies, wished to name the currency "the royal" and other names such as "the austral", "the oz", "the boomer", "the roo", "the kanga", "the emu", "the digger", "the kwid" and, jokingly, "the ming" (the nickname of Menzies) were also proposed. Due to Menzies' influence, the name "royal" was settled upon, and trial designs were prepared and printed by the printing works of the Reserve Bank of Australia. The unusual choice of name for the currency proved unpopular, and it was later shelved in favour of "dollar".

On 14 February 1966 the dollar was introduced at a rate of two dollars per pound, or ten shillings per dollar. At its introduction, it was pegged to sterling at a rate of 1 dollar = 8 shillings (2.5 dollars = 1 pound). In 1967, Australia effectively left the sterling area for the first time. When sterling devalued in 1967 against the U.S. dollar, the Australian dollar did not follow. It maintained its peg to the U.S. dollar at the same rate of 1 Australian dollar = 1.12 U.S. dollars.

Australia maintained a peg to the British pound, reflecting its historical ties as well as a view about the stability in value of the British pound. From 1946 to 1971, Australia maintained a peg to the U.S. dollar under the Bretton Woods system, but it was effectively pegged to sterling until 1967. With the breakdown of the Bretton Woods system in 1971, Australia converted the mostly-fixed peg to a moving peg against the U.S. dollar. In September 1974, Australia moved to a peg against a basket of currencies called the trade weighted index (TWI) in an effort to reduce fluctuations associated with its peg to the U.S. dollar. The peg to the TWI was changed to a moving peg in November 1976, causing the actual value of the peg to be periodically adjusted. In December 1983, the Australian Labor government led by Prime Minister Bob Hawke and Treasurer Paul Keating "floated" the Australian dollar. From that point, movements in the Australian dollar continued to reflect the strength of its terms of trade. For decades, Australia's reliance upon commodity (mineral and farm) exports has seen the Australian dollar rally during global booms, and fall when mineral prices slumped or when domestic spending overshadowed its export earnings outlook. The currency's high volatility, currency exposure and interest swap has made the AUD one of the most traded currencies in the world, far in excess of the economy's importance (2% of global economic activity).

이건데 귀찮으시지 않느면 너무 많아도 할 수 있으시면 정확히 번역 해 주시길 바랍니다. 하나 더, 제가 안내소에서 질문 많이해도 괜찮나요?--위키아비 2007년 10월 22일 (월) 18:09 (KST)[답변]

질문을 많이하시는 것은 좋은데요, 몇개 헷갈리시는 단문 정도의 해석을 부탁하시는게 아니라 이건 문서 통째를 번역해달라는거랑 똑같은 소리인데요, 그렇게 따지면 이형주님의 작업이 아니라 사실상 그 번역인의 작업이 되는 것과 똑같지 않을까요? 솔직히 번역도 어느 정도 영어의 기본 바탕이 있는 상태에서 남의 도움을 주고 받는거지 이 정도는 조금 심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조금 어려운 것도 있긴 해도 뭐 전문용어 정도는 사전에서 찾아도 되고 본인이 노력하시면 절반 이상은 번역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할텐데요. 위키아비님께서도 이 점 유념하시고 앞으로 그런 부분을 노력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BongGon 2007년 10월 22일 (월) 18:12 (KST)[답변]
안내소의 번역질문은 단어나 어구 수준의 질문을 위한 것입니다. 문서 전체에 대한 번역은 번역요청을 이용해주세요.--퇴프 2007년 10월 22일 (월) 18:25 (KST)[답변]

그림 올리는 것에 대한 질문

저기요, 제가 화폐 그림 영어 판에서 가져오는데 http://en.wikipedia.org/wiki/Image:Australian_100note_front.jpg http://en.wikipedia.org/wiki/Image:Australian_Two_Dollar_Rev.jpg 이런 것

올리면 ChongDae 님이 삭제하시 거든요.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올릴까요?--위키아비 2007년 10월 23일 (화) 18:56 (KST)[답변]

해당 그림은 공정사용된 그림입니다. 한국어판에서는 인정하지 않는 저작권이므로 올릴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림은 공용에 올려주세요. --퇴프 2007년 10월 23일 (화) 19:01 (KST)[답변]

포털 페이지가 있던가요?

영어판 위키디피아를 보니 영어판 기술 포털과 같이 포털 페이지가 있던데요. 한국어판에도 있나요? 궁금해서 묻습니다. Jjw 2007년 10월 23일 (화) 21:26 (KST)[답변]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어떠한 주제의 포털도 만들고 있지 않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10월 23일 (화) 22:12 (KST)[답변]
포털을 일부러 만들지 않다기보단, 만들 수 없는 것에 더 가깝죠... 인력 부족도 그렇고, 그리고 특정 주제에 대한 전문적인 편집이 이루어진 곳이 제가 보기에는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BongGon 2007년 10월 23일 (화) 22:19 (KST)[답변]


IE6에서 svg파일의 투명한 바탕

한국어판에서 투명한 svg 파일을 IE6에서 보면 바탕이 흰색으로 나타는 문제가 있습니다.[10] 그런데 영어판에서는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11], 한국어 위키백과의 설정을 뭔가 바꿔주면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바탕이 투명한 svg 파일은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 내의 여러 틀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냥 불여우 써라!가 아닌) 해결을 보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IE7에서는 테스트를 해보지 않았습니다. --정안영민 2007년 10월 27일 (토) 00:59 (KST)[답변]

제 컴퓨터에 IE7이 깔려 있어서 확인해 봤습니다. 파이어폭스와 동일하게 표시되네요. ― Yes0song 2007년 10월 27일 (토) 01:21 (KST)[답변]

번역 햇갈리네요

저기 제가

The highest value of the Australian dollar since it was floated was 96.68 U.S. cents on March 14 1984.[1] In 2001, the value of one Australian dollar went below 50 U.S. cents for the first time. On 12 Oct 2007, the Australian dollar reached a 23-year high against the U.S. dollar, peaking at 90.61 US cents.[2]

In 1966, when the Australian dollar was introduced, the International gold standard still operated. The dollar was at that time worth 980 milligrams of gold. As of December 2006 the dollar was worth 38 milligrams of gold.[12]

문장을 이렇게 번역했는데

The highest value of the Australian dollar since it was floated was 96.68 U.S. cents on March 14 1984. 2001년, 1 오스트레일리아 달러는 처음에 50 미국 센트보다 가치가 낮았다. 2007년 3월 19일, 1 오스트레일리아 달러는 80 미국 센트보다 가치가 높았다., 2번째로 it has reached that level since 1996. On 24 July 2007, the Australian dollar reached an 18-year high against the U.S. dollar, peaking at 88.50 US cents.[3]

In 1966, when the Australian dollar was introduced, the 국제 금본위제 still operated. The dollar was at that time worth 980 milligrams of gold. As of December 2006 the dollar was worth 38 milligrams of gold.[13]

나머지 가 조금 안되서......

좀 정리좀 해주세요.--위키아비 2007년 10월 27일 (토) 11:14 (KST)[답변]

죄송하지만 쓴소리좀 하고 가겠습니다. 자꾸 이러시는건 귀찮아서 번역을 안 하겠다는 소리밖에 더 되지 않습니다. 아니, 어떻게 영어로 번역을 하신다시는 분이 중학 수준 단어인 reach와 introduce도 모르신다는 말씀이십니까. 대한민국에서 정상적으로 교육을 받으셨다면 저것도 몰라서 번역을 요청하신다는건 말도 안됩니다. 그리고 구문 등도 보니 해석에서 miss날 부분은 있을지 몰라도 아주 어려운 것은 아닌 듯 하네요. 이렇게 일부분 한듯 만듯 해놓고 나머지 통째로 번역 요청을 하실 것이면 차라리 다른 분에게 해당 문서의 번역 요청을 통째로 하시는 게 좋습니다.(그건 그 분의 기여가 되시니까요) 이건 뭐 남이 통째로 해석해놓고 그 기여는 본인이 하시겠다, 이런 심보가 아니면 무엇이겠습니까? 숙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BongGon 2007년 10월 27일 (토) 22:52 (KST)[답변]

[14] 사진의 사용을 허락받았는데

[15]의 사진의 사용을 저작권자에게서 허락을 받았는데,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용 허가를 받았다는 증거를 제출해야 하나요? BongGon 2007년 10월 27일 (토) 22:49 (KST)[답변]

안녕하세요, 사진에 대해 배포허락을 받으셨다니 수고가 많으십니다. 위키백과를 위해 활동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명시적으로 재배포, 상업적 이용, 변경을 허락하지 않는다면 GFDL위반으로 삭제 대상입니다. 또한 사용 허락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증거가 있어야 하며 이에 대해 "permissions AT wikimedia DOT org" 이메일 주소로 요청과 허락의 전체 교신내용을 보내주시면 좋습니다. 관련 논의가 위키백과:사랑방/2007년 6월#저작권 허락 관련 규칙, 위키백과:삭제 토론/세종대왕급 구축관의 사진에 약간 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Kjoonlee 2007년 10월 28일 (일) 03:16 (KST)[답변]
관련 논의를 읽어봤는데, 그러면 그 분께 저작권을 포기하도록 '권유'를 해야 하는지요? BongGon 2007년 10월 28일 (일) 03:24 (KST)[답변]
저작권을 포기하는것은 퍼블릭 도메인으로 배포한다는 뜻입니다. 저작권자가 GFDL이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등 공용의 저작권 방침에 상응하는 라이선스로 배포했다는 것만 확인할 수 있으면 됩니다.--퇴프 2007년 10월 28일 (일) 03:27 (KST)[답변]
(편집 충돌 후) 아뇨, 저작인격권은 저작자에게 여전히 존재합니다. 단지, 그림의 배포조건을 자유로운 조건으로 BongGon님에게 재배포한다고 선언을 하시면 BongGon님은 위키백과나 커먼즈에 그 그림을 올리실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림:Gonggi stones.jpg의 경우 제가 비슷하게 허락을 받은 그림인데요, FlickR에서는 all rights reserved지만 커먼즈에서는 GFDL입니다. --Kjoonlee 2007년 10월 28일 (일) 03:30 (KST)[답변]

허락을 받은 방법을 알려드리자면, 먼저 사진의 라이센스를 확인합니다. flickr에 cc by, cc by-sa로도 올라와있는 사진은 허락을 요청할 필요없이 출처 명시와 라이센스 틀 적용만 하시면 커먼즈에도 올리실 수 있습니다.

All rights reserved나 다른 조건으로 올라온 그림은, 사진을 찍은 사람에게 flickr의 쪽지 기능을 사용해서 문의를 하면 됩니다. 저는 영문 위키백과의 허락 요청 편지 양식을 사용했습니다. --Kjoonlee 2007년 10월 28일 (일) 05:54 (KST)[답변]

“괜찮습니다”같은 한 줄 답변을 듣기 쉬우므로 “GFDL도 괜찮은지요?” 혹은 “cc by-sa도 괜찮은지요?” 등의 질문을 하셔서 yes를 확실하게 들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Kjoonlee 2007년 10월 28일 (일) 06:02 (KST)[답변]

유저박스의 너비를 %로..

제 사용자문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오른쪽의 유저박스 모음의 width가 250px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로 지정하니까 이상하게 되네요. 표 처럼, %로 지정하여 가변 크기로 만드는 방법이 있나요? 이 질문을 하는 이유는 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는 창의 크기가 작을 경우 표가 유저박스 아래로 내려가는 현상이 보기 싫어서입니다.--dgiim 2007년 10월 28일 (일) 05:21 (KST)[답변]

em나 ex를 쓰세요. 기준은 글자 크기입니다. --크렌베리 2007년 10월 28일 (일) 13:36 (KST)[답변]

제목으로 '위키프로젝트 축구'를 적어넣은 부분이 보이시나요? 그 부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일부분의 글씨가 나오지를 않습니다. 어찌된 영문인지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BongGon 2007년 10월 28일 (일) 20:17 (KST)[답변]

표에 사용되는 class의 종류를 알 수 있을까요?

제가 본 게 wikitable이라는 class를 봤는데 그거 말고 또 다른 class가 있나요? BongGon 2007년 10월 28일 (일) 21:23 (KST)[답변]

MediaWiki:Common.css를 둘러보세요. 각종 클래스들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 피첼 2007년 10월 28일 (일) 21:26 (KST)[답변]
친절한 답변에 감사합니다. BongGon 2007년 10월 28일 (일) 21:45 (KST)[답변]
css를 바꿀때마다 전체 목록과 효과를 정리해두는 페이지의 필요성이 느껴지긴 합니다.--퇴프 2007년 10월 28일 (일) 21:33 (KST)[답변]
MediaWiki:Monobook.css도 빼하면 곤란합니다. --크렌베리 2007년 10월 28일 (일) 21:44 (KST)[답변]
친절한 답변에 감사합니다. BongGon 2007년 10월 28일 (일) 21:45 (KST)[답변]

쾨펜 기후 구분표가 이상해요.

원래 온대 습윤 기후 밑에 온난 습윤 기후와 서안 해양성 기후로 나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표를 잘 보면 아시겠지만, 뭔가가 이상한 점이 있죠. 서안 해양성 기후도 포함하는 온대 습윤 기후가 적혀 있습니다. 아마 온난 습윤 기후와 온대 습윤 기후를 헷갈린 듯 하네요. 요걸 수정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죠?--물푸레 2007년 10월 29일 (월) 21:06 (KST)[답변]

틀:쾨펜을 수정하시면 됩니다.--퇴프 2007년 10월 29일 (월) 21:18 (KST)[답변]
답변 고맙습니다. 틀:쾨펜에 들어가니 수정이 되네요.--물푸레 2007년 10월 29일 (월) 21:37 (KST)[답변]



질문이요

제가 en:ERM(European Exchange Rate Mechanism)이거를

한국어로 문서 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이미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이미 ERM 이라는 문서가 있더라고요

(개체-관계 모델로 넘어감)

그래서 그러는데 어떻게 하면 되죠? 겹치지 않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제가 원하는 것은 European Exchange Rate Mechanism 와 겹치지 않게 하는 것인데 --위키아비 2007년 10월 30일 (화) 17:16 (KST)[답변]

개체-관계 모델을 역추적하세요. 그러면 ERM이라는 문서가 개체-관계 모델이라는 문서로 넘겨주기 처리가 되었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그럼 ERM문서에서 편집 버튼을 누르세요. 그런다음에 {{disambig}}를 붙이시고 챔피언스리그 (동음이의)를 참고하셔서(동음이의 문서들은 챔피언스리그 동음이의 문서처럼 구성되어 있습니다.) 어떻게 편집되었는지 확인하신 뒤 ERM이라는 문서를 편집하시면 되실 듯 합니다.

영어 단문 번역

스포츠 기준에 더하여, 어느 클럽도 그 팀의 국가의 협회에서 챔피언스리그에 참여한다는 허가를 받아야 한다. 라이센스를 획득하면,

In addition to sporting criteria, any club must be licensed by its national association to participate in the Champions league. To obtain a license, club must meet certain stadium, infrastructure and finance requirements.

그 다음에, 클럽은 certain(정확한/some[어떤]) 경기장을 만나야 한다?는 말이 되지를 않습니다. meet이라는 단어를 찾아보니 satisfy라는 의미가 있기는 하더군요. 그 의미로 해석하면 적절하게 해석이 된 걸까요? BongGon 2007년 10월 30일 (화) 17:32 (KST)[답변]

“챔피언즈 리그에 참가하려는 클럽은 스포츠 기준과 더불어, 자국 내 기관으로부터 허가를 받아야만 한다. 허가를 획득하려면 특정 (스타디움+인프라+재정적) 요건을 충족해야만 한다.” --Kjoonlee 2007년 10월 30일 (화) 19:44 (KST)[답변]

틀:4강전에서 <center>를 적용하면 이상하게 나옵니다

1982년 FIFA 월드컵#결승 토너먼트 부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center>를 적용 시에 '7월 8일 – 바르셀로나' 부분이 이상한데로 튀어나옵니다. 틀:4강전에 무슨 문제가 있는 걸까요? BongGon 2007년 11월 3일 (토) 20:23 (KST)[답변]

단문 번역 요청

For teams which finish level on points, the following tie-breakers are used:

앞의 종속절이 해석이 잘 안되는군요. 무슨 상황일 때 동점자 순위 처리가 사용된다는건지, 번역 부탁드립니다. BongGon 2007년 11월 3일 (토) 23:58 (KST)[답변]

승점이 같을 때입니다.--Hun99 2007년 11월 4일 (일) 00:01 (KST)[답변]
    • For teams which finish level on points, the following tie-breakers are used:
    1. greater number of points in the matches between the teams in question;
    2. greater goal difference in matches between the teams in question;
    3. greater number of goals scored in matches between the teams in question;
    4. greater goal difference in all group games;
    5. greater number of goals scored in all group games;
    6. higher coefficient derived from EURO 2004 and 2002 World Cup qualifiers (points obtained divided by number of matches played);
    7. fair play conduct in EURO 2004;
    8. drawing of lots.

이것도 부탁드립니다... 좀 이건 양이 많아 죄송하게 생각되는군요. goal differences는 골득실차고, number of points가 승자승을 뜻하는 건 알지만 세부적(부사구) 등이 복잡하네요. BongGon 2007년 11월 4일 (일) 00:10 (KST)[답변]

1. 관련 팀(전체승점 동률팀)간 승점(쉽게 말하면 승자승) 2. 관련 팀들간 경기의 골득실 3. 관련 팀들간 경기 다득점 (2~3번 조항은 관련 팀이 3팀 이상일 때만 사용되겠죠.) 4. 전체 경기 골득실 5. 전체 경기 다득점6. 유로 2004와 2002월드컵 예선에서 얻은 점수/경기 수 7. 유로 2004 페어플레이 점수8. 추첨 --Hun99 2007년 11월 4일 (일) 00:17 (KST)[답변]



순정 만화? 순정만화?

국립국어원 한글맞춤법 총칙 제2항[16]을 보면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순정 만화"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을텐데요. 그러나 대부분 "순정만화"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표기해야 합니까. 그리고 위키백과는 띄어쓰기 원칙을 따릅니까, 통용 표기를 따릅니까?(해결되어 지웁니다.) --미네랄삽빠 2007년 11월 7일 (수) 00:41 (KST)[답변]



바로 가기 문서

카데트입헌민주당 문서의 바로 가기 문서 (맞나요?) 로 만들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Akahata 2007년 11월 10일 (토) 13:29 (KST)[답변]

카데트 문서를 아래와 같이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백과:넘겨주기 문서를 참고하세요.
#REDIRECT [[입헌민주당]]

--퍼틴 2007년 11월 10일 (토) 15:24 (KST)[답변]

질문이요

저기 제가 사용자:이형주/틀:오세아니아의 화폐 에 틀:Nowrap 이라고 있는데 작동이 안되요. 영어판은 en:Template:Nowrap 을 쓰던데.... 혹시 영어판과 한국어판과 nowrap 문법이 다른가요? nowrap 사용 방법이 어떻게 되죠? 틀을 만들어야 하나요 아니면 nowrap 사용 방법이 따로 있나요? 방법좀 알려주세요.--위키아비 2007년 11월 10일 (토) 17:58 (KST) 해결되어 지웁니다.--위키아비 2007년 11월 11일 (일) 14:39 (KST)[답변]

삭제 방법

저기요 제가 사용자 문서를 사용하다가 삭제할려고 내 사용자 문서의 리스트에서 지우면 없어진 줄 알았는데

사용자:이형주 보시면 아시지만 사용자:이형주/틀:ㄱ, 사용자:이형주/틀:몰라 등 이런 문서가 리스트에 없으나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Special:Search&search=%EC%9D%B4%ED%98%95%EC%A3%BC&fulltext=찾기&ns2=1&offset=0&limit=20 에 보시면

아직 남아 있더군요. 어떻하면 내 사용자 문서를 작업하는 도중에 삭제 할 수 있죠?--위키아비 2007년 11월 10일 (토) 16:49 (KST?

해결되어 지웁니다.--위키아비 2007년 11월 10일 (토) 17:45 (KST)[답변]

Associação Naval 1º de Maio라는 팀 이름의 표기

포르투갈의 팀인데, Associação Naval 1º de Maio라고 있는데 표기 세칙도 없고 참 난감합니다.

1. 일단 알파벳 부분 한글화 해 주시고요. 2. 특수문자를 표기해야 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축구팀 이름에 이런 특수문자가 들어간 경우가 여지껏 없어서 매우 난감하네요.(다른 언어판에선 다 해주는 듯 합니다) BongGon 2007년 11월 17일 (토) 15:58 (KST)[답변]

외래어표기법에 의하면 아소시아상 나발 프리메이루 드 마이우가 되고 그 뜻은 '5월 1일 해군 협회'가 되겠네요. --시간 파리 2007년 11월 17일 (토) 18:04 (KST)[답변]

문서 뒤 괄호 안의 숫자는 무엇인가요.

최근 바뀜에 가보면 문서 이름 뒤에 괄호 안에 숫자가 들어 있더군요. (+67) 처럼요. 가끔 보면 마이너스도 있던데,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위키백과에 포인트제도가 있나요? -- 이 의견을 2007년 11월 17일 (토) 19:58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Parthenope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해당 편집으로 인해 그 문서에 몇바이트의 분량 변경이 일어났는가를 나타냅니다. 참고로 한글은 3바이트입니다. -- 피첼 2007년 11월 17일 (토) 20:12 (KST)[답변]
  1. “Dollar hits 23-year high”. 《The_Age》. 2007-10-12. 2007년 10월 12일에 확인함. 
  2. “Dollar hits 23-year high”. 《The_Age》. 2007-10-12. 2007년 10월 12일에 확인함. 
  3. “Australian dollar races towards towards US90c”. 2007-07-24. 2007년 7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