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출처의 중립성

편집자가 공장식 축산과 같이 논란이 되는 주제에 대한 문서를 편집할 때, 신뢰할 수 있지만 중립적이지 않은 출처를 다뤄야 할 일이 많습니다.

논란이 되는 주제에 대해 위키백과 편집자는 종종 신뢰할 수는 있지만 중립적이지는 않은 출처를 다룰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가장 좋은 해결책은 논란이 존재함을 인정하고 신뢰할 있는 출처가 제공하는 가중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신뢰할 수 있는 관점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지적인 독자는 반대편을 판단하고 그들 자신의 결론에 도달할 것입니다.

신뢰할 수 있는 출처는 중립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편집

편집 분쟁 중에 발생하는 여러 문제 중 하나는 중립적 시각 정책이 신뢰할 수 있는 출처 지침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에 관한 것입니다. 출처가 눈에 띄는 관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어진 출처를 신뢰할 수 없어 제외해야 한다는 주장이 종종 제기됩니다. 이러한 주장은 매우 다양한 주제를 넘나들며 중립적 시각이 신뢰할 수 있는 출처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에서 비롯됩니다. 중립적 시각 정책은 위키백과 문서에 전체적으로 적용됩니다. 문서는 서로 다른 관점의 적절한 균형을 반영해야 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출처 지침은 출처의 중립성이 아닌, 사실 확인과 신뢰성에 대한 출처의 전반적인 평판을 나타냅니다. 신뢰할 수 있는 출처는 중립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실 확인에 대한 출처의 명성은 본질적으로 그것의 관점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이런 유형의 토론에서 자주 발생하는 예로 뉴욕 타임스를 들 수 있습니다. 뉴욕 타임스는 미국의 대표적인 신문으로, 때로는 좌파적 관점을 반영한다고 합니다. 만약 그것이 문서 공간 내에서 문제를 일으킨다면, 문제는 신뢰성이 아닙니다. 적절한 위키백과식 해법은 뉴욕 타임스를 포함시키고 또한 다른 관점을 나타내는 다른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월스트리트 저널내셔널 리뷰는 우파적 관점을 제시하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입니다. 좌파 성향의 빌리지 보이스도 인용될 수 있습니다. 중립성 정책의 과도한 가중치 조항으로부터 적절한 균형을 정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좋은 위키백과 사용자의 기여는 신뢰할 수 있는 의견의 적절한 균형을 제시함으로써 문서를 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만듭니다.

신뢰할 수 있는 다른 출처를 찾는 것보다 하나의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대해 논쟁하는 것이 노력이 적게 들기에, 중립성과 신뢰성을 합치는 것이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현상은 국가 내에 한정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중동 정치와 관련하여 예루살렘 포스트알자지라와 차별된 견해를 제시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두 출처는 모두 신뢰할 수 있습니다. 이 두 출처의 내용이 다를 경우, 위키백과 편집자의 목적은 어떤 상반된 의견 중 어느 쪽이 본질적으로 옳은지를 판단하려하지 않고 각 출처가 보고한 내용을 명확하게 진술함으로써 가장 잘 이룰 수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출처는 절대 중립적이지 않습니다 편집

대부분의 위키백과 편집자들은 동료 검토가 된 학술지 논문을 신뢰성의 성배라고 봅니다. 그러나 문제의 사실은 어떤 괜찮은 학술지에 실린 논문도 위키백과가 사용하는 의미에서 "중립적"인 적은 없다는 것입니다. (단, 동료 검토 학술지 논문은 독자 연구가 아니라는 점을 증명하는 중립적 출처가 될 수 있습니다.) (학술 출판으로 대표되는) 학문의 목적은 특정 관점을 만든 후에 방어하는 것(경우에 따라서 공격하는 것)입니다. 학자들은 자신의 주장을 사실로 발전시킴으로써 지식의 경계를 확장시키는 일에 종사합니다. "중립성"은 이 계산에서 고려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원래의 주장은 여러 중립적 출처에 의해 잘 뒷받침되는 합의된 사실 위에 논리적 주장을 구축하는 수단으로 "사실로 발전"합니다. 원래의 주장은 논리의 공리 그 자체의 중립성에 호소함으로써 중립적인 방법으로 제시됩니다.)

학문은 모든 면에서 위키백과의 정책과 근본적으로 반대입니다. 학문의 핵심은 독자 연구와 종합이며, 학자의 현실에 대한 비전이 옳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일부 사람은 이를 편견이라 부를 것입니다.) 좋은 학문은 1차 출처에 의존하고 있으며, 아이디어의 출처를 인정하거나 다른 사람의 논점을 반박하기 위해 2차 문헌을 인용합니다. 특히 인문사회과학에서 학문은 논쟁의 연장에 지나지 않습니다.

학술 논문은 자신의 결론에 대해 '최고의 사례'를 제시할 수 있으며, 일부 논문은 잘못된 방법론으로 인해, 또는 결과에 대한 개선을 위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가 반박됩니다. 전문가조차 좋은 연구와 나쁜 연구를 구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아마추어에게는 완전히 불가능합니다. 경쟁 연구 프로그램의 주장을 따져보고 승자를 선언하는 중립적 중재자는 없으며, 동료 검토 과정은 확실히 여기에선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다른 학술지들은 그들만의 편견과 충성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학술지에 제출된 논문이 훌륭하다는 찬사를 받을 수 있겠지만, 다른 학술지에서는 바로 등재 거부될 수 있습니다.

객관적인 자료 따위는 없습니다 편집

호레이스 마이너의 1955년 풍자 논문인 "나시레마 부족의 신체 의식"을 보면 학자가 사용하는 모델이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에서 파생된 결론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원시적인 마술을 믿는 문화를 관찰하고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들어가면, 실제로는 근대 미국이라고 해도 원하는 결과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제임스 버크의 "우주가 바뀌던 날"은 버크가 부르는 바로 그 모델(또는 "구조")이 어떻게 "유효한" 자료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확립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한 예에서 그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바위들"에 대한 프랑스 이야기가 어떻게 무시되었고, 그리고 시골뜨기 사이의 민속 이야기가 "유용한 천체물리학적 자료"가 된 혁명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버크는 또 다른 예에서 필트다운인의 속임수가 오랫동안 지속된 한 이유는 뇌가 먼저 발달할 것으로 예상했던 시대의 구조 때문이라고 지적합니다. 필트다운인의 마지막 폭로는 화석 발견을 통해 직립 보행이 먼저라는 것을 밝혀냈을 때 일어난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교과서는 위키백과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토론에 얽매이지 않고 토론의 개요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위키백과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출처가 있습니다. 즉, 토론에 얽매이지 않고 토론의 개요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출처는 학문적 작업의 초석(논의 여지가 있는 가설을 형성하고 옹호하는 것)을 자제하고 대신 학생들에게 그 분야에 대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이 책들은 교과서라고 불립니다.

학술지보다 품질이 낮다고 종종 위키백과에서 거부되는 다른 출처도 중립성에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인기 있는 책과 언론의 기사는 일반적으로 학술적 담론보다 더 중립적이고 포괄적입니다. 일반적으로 비전문가가 더 쉽게 접할 수 있는 문맥도 제공합니다. 학술 연구는 종종 마치 해결된 것처럼 공개적인 논쟁을 제시하지만, 이는 독자와 작가 모두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 단순히 그 문제에 대한 논쟁에 관여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연구 작업은 특정 연구 패러다임의 입장을 취하고 그 바탕에서 진행됩니다. 전문가에게는 어떤 상황인지가 명확합니다. 아마추어에게는 그러한 문헌을 보면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에 기자들은, 최소한 자신이 맡은 소임을 잘한다면, 독자가 광범위한 배경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하고 학자들이 공유하는 암묵적인 이해를 명시적으로 설명합니다.

함께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