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서는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의 정책, 지침이나 절차로 제안된 상태입니다. 제안 내용은 더욱 추가·보충·수정될 수 있으며, 제안된 내용은 토론 문서에서 공식적인 채택을 위한 총의를 모으거나 논의 중입니다. 이 문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정책이나 지침이 아니므로, 이 문서를 인용하거나 링크할 때에는 정책이나 지침으로 기술하지 않아야 합니다. | |
현재 크메르어 한글 표기 기준이 없으므로, 태국어·베트남어 표기법을 참고해 다음의 표기안을 제시한다.
크메르 문자
|
로마자
|
모음 앞
|
자음 앞
|
어말
|
보기
|
-a 계열
|
-o 계열
|
독립형
|
첨자형
|
독립형
|
첨자형
|
발음(IPA)
|
한글 표기
|
발음(IPA)
|
한글 표기
|
발음(IPA)
|
한글 표기
|
ប
|
្ប
|
N/A
|
N/A
|
b
|
[ɓ],
|
ㅂ
|
[p~pʰ]
|
쁘, 프
|
[p̚]
|
ㅂ
|
បឹង bœ̆ng 벙, ប្រហុក prâhŏk 쁘라혹, ផ្លេក phlék 플렉, ដប់ dâp 답
|
ច
|
្ច
|
ជ
|
្ជ
|
ch
|
[c]
|
ㅉ
|
[c~cʰ]
|
쯔, 츠
|
[c̚]
|
ㅅ
|
ជំរំ chumrum 쭘룸, ជ្រលង chrôlông 쯔롤롱, ជ្វា chvéa 츠비어
|
ឆ
|
្ឆ
|
ឈ
|
្ឈ
|
chh
|
[cʰ]
|
ㅊ
|
ឈឹង chhœ̆ng 층
|
ដ
|
្ដ
|
ឌ
|
្ឌ
|
d
|
[ɗ]
|
ㄷ
|
N/A
|
N/A
|
N/A
|
N/A
|
ដូង dong 동
|
ហ
|
្ហ
|
N/A
|
N/A
|
h
|
[h]
|
ㅎ
|
N/A
|
N/A
|
[ç]
|
히
|
ហេតុការណ៍ hêtka 하엣까
|
ក
|
្ក
|
គ
|
្គ
|
k
|
[k]
|
ㄲ
|
[k~kʰ]
|
끄, 크
|
[k̚]
|
ㄱ
|
កាពិ kâpĭ 까삐, ក្រុង krŏng 끄롱, ប្រហុក prâhŏk 쁘라혹
|
ខ
|
្ខ
|
ឃ
|
្ឃ
|
kh
|
[kʰ]
|
ㅋ
|
ខាល khaal 칼, ឃ្មុំ khmŭm 크뭄
|
ឡ
|
N/A
|
ល
|
្ល
|
l
|
[l]
|
ㄹ, ㄹㄹ
|
[l]
|
을
|
[l]
|
ㄹ
|
ហោតិល haôtəl 하오떨
|
N/A
|
N/A
|
ម
|
្ម
|
m
|
[m]
|
ㅁ
|
[m]
|
음
|
[m]
|
ㅁ
|
មន môn 몬
|
ណ
|
្ណ
|
ន
|
្ន
|
n
|
[n]
|
ㄴ
|
N/A
|
N/A
|
[n]
|
ㄴ
|
ណាំង ăng 낭
|
N/A
|
N/A
|
ង
|
្ង
|
ng
|
[ŋ]
|
응
|
N/A
|
N/A
|
[ŋ]
|
ㅇ
|
ង៉ាំង៉ូវ ngămnguʋ 응암응우
|
ញ
|
្ញ
|
N/A
|
N/A
|
nh
|
[ɲ]
|
니
|
N/A
|
N/A
|
[ɲ]
|
인
|
ញញឹម nhônhœ̆m 뇨니음
|
N/A
|
N/A
|
ព
|
្ព
|
p
|
[p]
|
ㅃ
|
[p~pʰ]
|
쁘, 프
|
[p̚]
|
ㅂ
|
ពុទ្ធ pŭt 뿟, ព្រះ preăh 쁘레어
|
ផ
|
្ផ
|
ភ
|
្ភ
|
ph
|
[pʰ]
|
ㅍ
|
ផល phâl 팔, ផ្សារ phsa 쁘사
|
N/A
|
N/A
|
រ
|
្រ
|
r
|
[r]
|
ㄹ
|
N/A
|
N/A
|
N/A
|
N/A
|
រទេះ rôtéh 로떼
|
ស
|
្ស
|
N/A
|
N/A
|
s
|
[s]
|
ㅅ
|
[s]
|
스
|
N/A
|
N/A
|
សុក្រ sŏk 속
|
ត
|
្ត
|
ទ
|
្ទ
|
t
|
[t]
|
ㄸ
|
[t~tʰ]
|
뜨, 트
|
[t̚]
|
ㅅ
|
តែ tê 따에, ត្បូងឃ្មុំ Tbong Khmŭm 뜨봉크뭄
|
ឋ
|
្ឋ
|
ឍ
|
្ឍ
|
th
|
[tʰ]
|
ㅌ
|
ឋាន than 탄
|
ថ
|
្ថ
|
ធ
|
្ធ
|
ថ្ពាល់ thpoăl 뜨뽀얼
|
N/A
|
N/A
|
វ
|
្វ
|
v
|
[ʋ]
|
ㅂ
|
N/A
|
N/A
|
[w]
|
우
|
ស្វាយ svay 스바이
|
N/A
|
N/A
|
យ
|
្យ
|
y
|
[j]
|
이
|
N/A
|
N/A
|
[j]
|
이
|
យាន yéan 이언, ស៊ុយ sŭy 수이
|
អ
|
្អ
|
N/A
|
N/A
|
’
|
[ʔ]
|
-
|
[ʔ]
|
-
|
[ʔ]
|
-
|
អង្គារ ʾângkéa 앙끼어
|
크메르 문자
|
-a 계열
|
-o 계열
|
로마자 표기
|
발음 (IPA)
|
한글 표기
|
보기
|
로마자 표기
|
발음 (IPA)
|
한글 표기
|
보기
|
N/A
|
â
|
[ɑː]
|
아
|
ក kâ 까
|
ô
|
[ɔː]
|
오
|
គ kô 꼬
|
ា
|
a
|
[aː]
|
아
|
កា ka 까
|
éa
|
[iə]
|
이어
|
គា kéa 끼어
|
ិ
|
ĕ
|
[ə]
|
어
|
កិ kĕ 꺼
|
ĕ
|
[e]
|
에
|
គិ kĕ 께
|
ិ
|
ĭ
|
[ɨ]
|
으
|
កិ kĭ 끄
|
ĭ
|
[i]
|
이
|
គិ kĭ 끼
|
ី
|
ei
|
[əj]
|
어이
|
កី kei 꺼이
|
i
|
[iː]
|
이
|
គី ki 끼
|
ឹ
|
œ̆
|
[ə]
|
어
|
កឹ kœ̆ 꺼
|
œ̆
|
[ɨ]
|
으
|
គឹ kœ̆ 끄
|
ឺ
|
œ
|
[əɨ]
|
어으
|
កឺ kœ 꺼으
|
œ
|
[ɨː]
|
으
|
គឺ kœ 끄
|
ុ
|
ŏ
|
[o]
|
오
|
កុ kŏ 꼬
|
ŭ
|
[u]
|
우
|
គុ kŭ 꾸
|
ូ
|
o
|
[ou]
|
오
|
កូ ko 꼬
|
u
|
[uː]
|
우
|
គូ ku 꾸
|
ួ
|
uŏ
|
[uə]
|
우어
|
កួ kuŏ 꾸어
|
uŏ
|
[uə]
|
우어
|
គួ kuŏ 꾸어
|
ើ
|
aeu
|
[aə]
|
아어
|
កើ kaeu 까어
|
eu
|
[əː]
|
어
|
គើ keu 꺼
|
ឿ
|
œă
|
[ɨə]
|
으어
|
កឿ kœă 끄어
|
œă
|
[ɨə]
|
으어
|
គឿ kœă 끄어
|
ៀ
|
iĕ
|
[iə]
|
이어
|
កៀ kiĕ 끼어
|
iĕ
|
[iə]
|
이어
|
គៀ kiĕ 끼어
|
េ
|
é
|
[ei]
|
에이
|
កេ ké 께이
|
é
|
[eː]
|
에
|
គេ ké 께
|
ែ
|
ê
|
[ae]
|
아에
|
កែ kê 까에
|
ê
|
[ɛː]
|
애
|
គែ kê 깨
|
ៃ
|
ai
|
[aj]
|
아이
|
កៃ kai 까이
|
ey
|
[ɨj]
|
으이
|
គៃ key 끄이
|
ោ
|
aô
|
[ao]
|
아오
|
កោ kaô 까오
|
oŭ
|
[oː]
|
오
|
គោ koŭ 꼬
|
ៅ
|
au
|
[aw]
|
아우
|
កៅ kau 까우
|
ŏu
|
[ɨw]
|
으우
|
គៅ kŏu 끄우
|
위 표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제1항: k, kh, b, p, ph, t, th, ch, chh, 는 [ɓ], [ɗ], [r], [s] 앞에서는 '끄', '뜨', '쁘', '쯔' 로 적고, [p], [t], [c], [k], [m], [n], [ɲ], [j], [l], [h], [ʋ] 앞에서는 '크', '트', '프', '츠'로 적는다.
គ្រាម kréam 끄리엄
|
ត្បាល់ tbál 뜨발
|
ថ្ករ thkâ 트까
|
ឈ្លើង chhleung 츨렁
|
- 제2항: [pʔ-], [tʔ-], [cʔ-], [kʔ-], [sʔ-], [mʔ-], [lʔ-]는 'ㅃ', 'ㄸ', 'ㅉ', 'ㄲ', 'ㅅ', 'ㅁ', 'ㄹ(ㄹㄹ)'로 적는다.
ត្អើក t’aeuk 따억
|
ផ្អែម ph’êm 빠엠
|
ល្អី l’ei 러이
|
- 제3항: [pʰŋ-], [tʰŋ-], [cʰŋ-], [kŋ-], [sŋ-], [lŋ-]는 '픙', '틍', '끙', '승', '릉'으로 적는다.
ត្អើក t’aeuk 따억
|
ផ្អែម ph’êm 빠엠
|
ល្អី l’ei 러이
|
- 제3항: 같은 자음이 겹쳐 있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pph-, -chchh- 등 같은 계열의 자음이 겹쳐 나올 때에도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ក្រូចឆ្មារ krochchhma 끄로츠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