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영어: Eurovision Song Contest, 프랑스어: Concours Eurovision de la Chanson)는 유럽방송연맹(European Broadcasting Union) 회원국 시청자 앞에서 노래, 춤 등 자신의 기량을 뽐낸 뒤 순위를 가리는 유럽 최대의 음악 경연 대회이다. 세계에서 가장 시청자 수가 많은 방송중 하나로 2021년에는 1억 8000만명 이상이 시청했다.[1]
역사 편집
‘유로비전’이라는 이름은 1950년 설립된 이래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사업을 펼치는 국제방송기구인 유럽방송연맹(EBU)의 텔레비전 활동을 통칭하는 유로비전(Eurovision)에서 따왔다. 유로비전의 프로그램 사업 가운데 대표적인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제 2차 세계대전 후 1955년 유럽방송연맹 회원 방송사들이 모나코에 모여 합의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그것은 “공동의 이벤트를 개최해 문화적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동시에 이 이벤트를 모든 참가 방송사의 채널을 통해 방송하자”는 것이었다.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산레모 음악제를 모델로 삼아 노래와 춤 등의 퍼포먼스 경연을 벌이고 이 행사를 생방송으로 회원사에 중계하자는 것이었는데, 당시로는 위성 채널이 존재하지 않을 때였으므로 지상파의 마이크로웨이브 통신망을 통한 실험적인 생방송 중계였다. 이 계획은 현실로 옮겨져 다음 해인 1956년 스위스 루가노에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이란 이름으로 탄생하게 됐다.
당시 참가국은 네덜란드, 스위스, 벨기에, 독일, 프랑스, 룩셈부르크와 이탈리아 등 7개국이었고 각국에서 2팀이 출전하여 우승을 겨루었다. 이후 오스트리아, 덴마크, 영국 등 서유럽 대부분의 국가들이 참여하게 되었고 지속적으로 참가국 수가 늘어나서 1980년대에 이르면서 그리스, 터키, 키프로스 등 지중해 주변국까지 참여하는 명실상부 유럽 전체의 음악 제전으로 발돋움하게 됐다.[2]
냉전 종식 후에는 구 공산권 국가들이 참가하기 시작했다. 예외적으로 냉전 기간동안 중립이었던 유고슬라비아는 공산 국가임에도 1961년부터 출전했지만, 1992년을 마지막으로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출전을 중단했다.
'유럽'의 기준이 지리적 유럽 대륙도, 정치적인 유럽 연합 회원국도 아닌, 유럽방송연맹 가맹국이기에 이스라엘을 포함한 중동 국가들과 캅카스 국가들도 출전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우승을 하기도 했다. 유럽과 지구 반대편에 있는 오스트레일리아는 2015년부터 정식으로 출전했다.[3]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가 배출한 가장 큰 스타중 하나인 스웨덴의 팝그룹 ABBA는 1974년 'Waterloo’로 도전해 우승했다. 캐나다 출신 셀린 디옹도 1988년도 대회에서 스위스 대표로 출전해 프랑스어로 된 ‘Ne partez pas sans moi’를 불러 우승했다.
출전 자격 편집
유럽방송연맹은 유럽연합에서 독립적인 기관으로 가맹국들은 유럽 대륙에만 있지 않고 중동과 캅카스에도 있다. 제휴국들 중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가 가장 인기있는 오스트레일리아도 연맹의 결정으로 참가가 허락됐다.
출전 노래와 가수를 선정하는 것은 가맹국의 재량에 있다. 이탈리아의 산레모 음악제처럼 전국적인 행사로 선정할 수도 있고, 영국의 BBC처럼 주관 방송사가 내부적으로 선정할 수도 있다. 가수가 해당 국가의 국민이 아니어도 출전할 수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인인 올리비아 뉴턴존은 영국 대표로 나왔다.
노래는 다음과 같은 자격을 충족해야 한다. 첫째, 길이는 3분 이내이다. 둘째, 콘테스트를 위해 작곡된 오리지널 곡이다. 셋째, 리드 보컬은 무대에서 라이브로 부른다. 넷째, 무대위 공연자가 6명을 초과할 수 없다.
진행 방식 편집
전년 대회의 우승 국가가 대회를 주최한다. 매년 1월 전년 주최국과 금년 주최국 대표가 만나 상징적으로 대회를 넘겨준다. 이때 준결승전 참가국들이 1차, 2차 중 어디서 공연할지도 결정된다.
참여 국가는 3월 중반까지 출전 가수와 노래를 선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영 방송이 해당 국가를 대표해 선정을 담당한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주로 5월에 열린다.
콘테스트는 1차, 2차 준결승, 결승전으로 세차례 생방송된다. 이들은 차례대로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에 방송된다. 콘테스트 외에도 주최 도시에서는 2주간 드레스 리허설과 레드 카펫 등의 행사가 열리고, 참가자들과 팬들이 선수촌에 머물며 교류한다.
대중음악에서 종사자들인 심사의원 투표와 시청자 투표를 합산해서 점수를 부여한다. 점수는 1점에서 8점, 10점, 12점 10종류가 있고, 심사의원과 시청자들이 각각 점수를 매기기 때문에 한 국가가 점수를 두 번 준다. 자국에는 투표할 수 없고, 빅5 국가들은 준결승에서 투표하지 않는다.
2022년 대회를 기준으로 참가한 41개국 중, 26개국만 결승전에 진출한다. 이 중 20개국은 준결승을 통해 올라오고 5개국은 '빅5' 자격으로 자동 진출한다. 빅 5에는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영국이 있다. 이들 국가들은 유럽방송연맹에 자금을 가장 많이 제공하는 국가들이다. 전 대회의 우승국도 자동 진출한다.[5]
인기 편집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세계 최대의 음악 행사이자 지역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유럽에서 콘테스트가 가장 인기있는 국가들은 스칸디나비아에 있다. 아이슬란드는 2016년 결승전에 자국이 진출을 못 했을때도 95%에 달하는 국민들이 결승전을 시청했다. 스웨덴도 같은 해 85%의 시청률을 기록했다.[6]
정치 편집
투표 편집
유로비전 송 컨테스트의 규정은 공식적으로 정치적 이유에서 투표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현실에서는 우호적인 국가들이 표를 몰아주거나 악감정이 있는 국가에 표로 복수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7]
유로비전의 시청자 투표가 1997년 처음 도입된 이후, 서로 우호적인 국가들이 서로 높은 점수를 주는 경향이 강해졌다. 2017년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 국가가 지속적으로 평균보다 높은 수준의 점수를 주고받는 '결탁 투표'가 국가별로 평균 1977년 이후 10배 이상 증가했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1977년과 87년 사이 결탁 투표의 사례가 영국과 독일 사이 사례밖에 없었다. 이후 30년간 참가국 수가 18개국에서 43개국으로 느는 동안 결탁 투표는 10배 이상 증가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북유럽 국가들과 구소련 국가들이 있다. 이외에도 같은 언어를 쓰는 루마니아와 몰도바, 그리스와 키프로스, 튀르키예와 아제르바이잔이 서로에게 높은 점수를 매번 몰아준다.[8] 발칸반도 국가들의 경우에는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아도, 같은 문화권에 서로의 대중문화에 익숙하기에 점수를 후하게 주고받는다.[9]
2003년 대회에서 영국 리버풀 출신 팝 듀오 제미니(Jemini)는 듀엣 곡 Cry Baby로 0점을 받았다. 많은 영국인들은, 제미니의 실패가 잘못된 곡 선정, 기술적 문제 외에도 정치적인 이유가 있다고 믿었다. BBC의 유로비전 해설자 테리 우건은 영국이 "이라크 백래시"에 시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10]
참가국 편집
아래의 목록은 연도마다 처음 참가한 나라를 나열한 것이다.
연도 | 처음 참가한 나라 |
---|---|
1956 | 벨기에, 프랑스, 독일 (서독),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스위스 |
1957 | 오스트리아, 덴마크, 영국 |
1958 | 스웨덴 |
1959 | 모나코 |
1960 | 노르웨이 |
1961 | 핀란드,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
1964 | 포르투갈 |
1965 | 아일랜드 |
1971 | 몰타 |
1973 | 이스라엘 |
1974 | 그리스 |
1975 | 튀르키예 |
1980 | 모로코 |
1981 | 키프로스 |
1986 | 아이슬란드 |
1993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
1994 | 에스토니아, 헝가리, 리투아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슬로바키아 |
1998 | 북마케도니아 |
2000 | 라트비아 |
2003 | 우크라이나 |
2004 | 알바니아, 안도라, 벨라루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2005 | 불가리아, 몰도바 |
2006 | 아르메니아 |
2007 | 체코, 조지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
2008 | 아제르바이잔, 산마리노 |
2015 | 오스트레일리아 |
참가 언어 편집
역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결과 편집
아래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우승한 국가를 가리킨다.
- 1956년: 스위스 (리스 아시아)
- 1957년: 네덜란드 (코리 브로컨)
- 1958년: 프랑스 (앙드레 클라보)
- 1959년: 네덜란드 (테디 스홀턴)
- 1960년: 프랑스 (자클린 부아에)
- 1961년: 룩셈부르크 (장-클로드 파스칼)
- 1962년: 프랑스 (이자벨 오브레)
- 1963년: 덴마크 (그레테 & 예르겐 잉만)
- 1964년: 이탈리아 (질리올라 칭케티)
- 1965년: 룩셈부르크 (프랑스 갈)
- 1966년: 오스트리아 (우도 위르겐스)
- 1967년: 영국 (샌디 쇼)
- 1968년: 스페인 (마시엘)
- 1969년: 스페인 (살로메), 영국 (룰루), 네덜란드 (레니 쿠르), 프랑스 (프리다 보카라) 공동우승
- 1970년: 아일랜드 (다나)
- 1971년: 모나코 (세베린)
- 1972년: 룩셈부르크 (비키 레안드로스)
- 1973년: 룩셈부르크 (앤-마리 다비드)
- 1974년: 스웨덴 (아바)
- 1975년: 네덜란드 (티치-인)
- 1976년: 영국 (브라더후드 오브 맨)
- 1977년: 프랑스 (마리 미리암)
- 1978년: 이스라엘 (이즈하르 코헨, 알파베타)
- 1979년: 이스라엘 (밀크 앤 허니)
- 1980년: 아일랜드 (조니 로건)
- 1981년: 영국 (벅스 피즈)
- 1982년: 독일 (니콜)
- 1983년: 룩셈부르크 (코린 에르메스)
- 1984년: 스웨덴 (헤레이스)
- 1985년: 노르웨이 (바비삭스!)
- 1986년: 벨기에 (산드라 킴)
- 1987년: 아일랜드 (조니 로건)
- 1988년: 스위스 (셀린 디온)
- 1989년: 유고슬라비아 (리바)
- 1990년: 이탈리아 (토토 쿠티뇨)
- 1991년: 스웨덴 (카롤라)
- 1992년: 아일랜드 (린다 마틴)
- 1993년: 아일랜드 (니브 캐버노)
- 1994년: 아일랜드 (폴 해링턴, 찰리 맥게티건)
- 1995년: 노르웨이 (시크릿 가든)
- 1996년: 아일랜드 (이미어 퀸)
- 1997년: 영국 (카트리나 앤 더 웨이브스)
- 1998년: 이스라엘 (다나 인터내셔널)
- 1999년: 스웨덴 (샬로트 닐손)
- 2000년: 덴마크 (올센 브라더스)
- 2001년: 에스토니아 (타넬 파다르, 데이브 벤튼, 2XL)
- 2002년: 라트비아 (마리야 나우모바)
- 2003년: 튀르키예 (세르타브 에레네르)
- 2004년: 우크라이나 (루슬라나)
- 2005년: 그리스 (헬레나 파파리주)
- 2006년: 핀란드 (로르디)
- 2007년: 세르비아 (마리야 셰리포비치)
- 2008년: 러시아 (디마 빌란)
- 2009년: 노르웨이 (알렉산데르 뤼바크)
- 2010년: 독일 (레나 마이어란드루트)
- 2011년: 아제르바이잔 (엘 & 니키)
- 2012년: 스웨덴 (로린)
- 2013년: 덴마크 (엠멜리에 데 포레스트)
- 2014년: 오스트리아 (콘치타 부르스트)
- 2015년: 스웨덴 (몬스 셀멜뢰브)
- 2016년: 우크라이나 (자말라)
- 2017년: 포르투갈 (살바도르 소브랄)
- 2018년: 이스라엘 (네타 바르질라이)
- 2019년: 네덜란드 (덩컨 로런스)
-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취소됨.[11][12]
- 2021년: 이탈리아 (모네스킨)
- 2022년: 우크라이나 (칼루시 오케스트라)
- 2023년: 스웨덴 (로린)
국가별 우승 횟수 편집
우승 횟수 | 국가 | 우승 연도 |
---|---|---|
7 | 아일랜드 | 1970년, 1980년, 1987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6년 |
스웨덴 | 1974년, 1984년, 1991년, 1999년, 2012년, 2015년, 2023년 | |
5 | 영국 | 1967년, 1969년, 1976년, 1981년, 1997년 |
룩셈부르크 | 1961년, 1965년, 1972년, 1973년, 1983년 | |
프랑스 | 1958년, 1960년, 1962년, 1969년, 1977년 | |
네덜란드 | 1957년, 1959년, 1969년, 1975년, 2019년 | |
4 | 이스라엘 | 1978년, 1979년, 1998년, 2018년 |
3 | 덴마크 | 1963년, 2000년, 2013년 |
노르웨이 | 1985년, 1995년, 2009년 | |
이탈리아 | 1964년, 1990년, 2021년 | |
우크라이나 | 2004년, 2016년, 2022년 | |
2 | 스페인 | 1968년, 1969년 |
스위스 | 1956년, 1988년 | |
독일 | 1982년, 2010년 | |
오스트리아 | 1966년, 2014년 | |
1 | 모나코 | 1971년 |
벨기에 | 1986년 | |
유고슬라비아 | 1989년 | |
에스토니아 | 2001년 | |
라트비아 | 2002년 | |
튀르키예 | 2003년 | |
그리스 | 2005년 | |
핀란드 | 2006년 | |
세르비아 | 2007년 | |
러시아 | 2008년 | |
아제르바이잔 | 2011년 | |
포르투갈 | 2017년 |
- 1969년에 열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는 우승곡이 4개가 나왔다.
- 독일은 "서독" 시절의 기록을 포함한다.
- 세르비아는 "세르비아"라는 국가 아래 첫 참가에 우승을 했지만,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참가하여 우승한 적이 있다.
- 러시아는 소련 해체 이전에 "소련"이라는 단일 국가로 참가한 적이 없다.
역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개최 도시 편집
아래는 역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를 개최한 도시를 가리킨다.
- 1956년: 스위스 루가노
- 1957년: 서독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1958년: 네덜란드 힐베르쉼
- 1959년: 프랑스 칸
- 1960년: 영국 런던
- 1961년: 프랑스 칸
- 1962년: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시
- 1963년: 영국 런던
- 1964년: 덴마크 코펜하겐
- 1965년: 이탈리아 나폴리
- 1966년: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시
- 1967년: 오스트리아 빈
- 1968년: 영국 런던
- 1969년: 스페인 마드리드
- 1970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1971년: 아일랜드 더블린
- 1972년: 영국 에든버러
- 1973년: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시
- 1974년: 영국 브라이턴
- 1975년: 스웨덴 스톡홀름
- 1976년: 네덜란드 헤이그
- 1977년: 영국 런던
- 1978년: 프랑스 파리
- 1979년: 이스라엘 예루살렘
- 1980년: 네덜란드 헤이그
- 1981년: 아일랜드 더블린
- 1982년: 영국 해러깃
- 1983년: 서독 뮌헨
- 1984년: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시
- 1985년: 스웨덴 예테보리
- 1986년: 노르웨이 베르겐
- 1987년: 벨기에 브뤼셀
- 1988년: 아일랜드 더블린
- 1989년: 스위스 로잔
- 1990년: 유고슬라비아 자그레브
- 1991년: 이탈리아 로마
- 1992년: 스웨덴 말뫼
- 1993년: 아일랜드 밀스트리트
- 1994년: 아일랜드 더블린
- 1995년: 아일랜드 더블린
- 1996년: 노르웨이 오슬로
- 1997년: 아일랜드 더블린
- 1998년: 영국 버밍엄
- 1999년: 이스라엘 예루살렘
- 2000년: 스웨덴 스톡홀름
- 2001년: 덴마크 코펜하겐
- 2002년: 에스토니아 탈린
- 2003년: 라트비아 리가
- 2004년: 튀르키예 이스탄불
- 2005년: 우크라이나 키이우
- 2006년: 그리스 아테네
- 2007년: 핀란드 헬싱키
- 2008년: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 2009년: 러시아 모스크바
- 2010년: 노르웨이 오슬로
- 2011년: 독일 뒤셀도르프
- 2012년: 아제르바이잔 바쿠
- 2013년: 스웨덴 말뫼
- 2014년: 덴마크 코펜하겐
- 2015년: 오스트리아 빈
- 2016년: 스웨덴 스톡홀름
- 2017년: 우크라이나 키이우
- 2018년: 포르투갈 리스본
- 2019년: 이스라엘 텔아비브
- 2020년:
네덜란드 로테르담(취소) - 2021년: 네덜란드 로테르담
- 2022년: 이탈리아 토리노
- 2023년: 영국 리버풀
- 2024년: 스웨덴 말뫼
관례와 예외 편집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우승한 국가는 다음 해 콘테스트의 개최권을 갖는 것이 1958년 콘테스트부터 이어져 온 관례이나 몇 가지 예외가 존재한다.
- 1960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원래 개최국으로 내정되어 있던 네덜란드가 개최를 철회함에 따라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었다.
- 196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원래 개최국으로 내정되어 있던 프랑스가 재정 문제로 인하여 개최를 철회함에 따라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었다.
- 196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프랑스, 네덜란드, 스페인, 영국 4개국이 공동 우승을 차지함에 따라 유럽 방송 연맹은 1970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개최국을 추첨을 통해 선정하기로 결정했다. 추첨 결과, 네덜란드가 1970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개최국으로 결정되었다.
- 197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원래 모나코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모나코가 개최에 적합한 장소를 찾지 못함에 따라 개최권을 반납했다. 이에 따라 영국 에든버러에서 대신 개최되었다.
- 1974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원래 룩셈부르크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룩셈부르크가 개최 비용 문제로 인하여 개최권을 반납했다. 이에 따라 영국 브라이턴에서 대신 개최되었다.
- 1980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원래 이스라엘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이스라엘이 개최 비용 문제로 인하여 개최권을 반납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대신 개최되었다.
- 2020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원래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취소되었다. 유럽 방송 연맹은 이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202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개최권을 주기로 결정했다.
- 유럽 방송 연맹은 2022년 7월 25일에 공개된 공식 성명을 통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여파에 따른 안전 문제로 인하여 우크라이나가 202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를 개최할 수 없다고 결정했다. 이에 따라 영국이 202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13] 유럽 방송 연맹(EBU)과 영국 방송 협회(BBC)는 2022년 10월 7일에 리버풀을 202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개최 도시로 선정했다.[14]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 ↑ “Eurovision: More than 180 million people watched contest - and UK recorded biggest audience in years” (영어). 2023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감동을 기획하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6년 5월 18일. 2023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Why is Australia even in the Eurovision Song Contest?” (영어). 2023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우크라 밴드 ‘2022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 2022년 5월 15일. 2023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How the Eurovision Song Contest works”.
- ↑ Hart, Robert. “What Is Eurovision? A Guide For Confused Americans As The Contest Heads To The U.S. Next Year” (영어). 2023년 4월 25일에 확인함.
- ↑ “Nul points: Eurovision's history of political voting” (영어). 2023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Partisanship at Eurovision is becoming more blatant”. 《The Economist》. ISSN 0013-0613. 2023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Westcott, Lucy (2014년 5월 6일). “Your Guide to The Politics of the Eurovision Song Contest” (영어). 2023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What happened to UK's Eurovision nul-point duo Jemini? Here's where they are now” (영어). 2023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Official EBU statement & FAQ on Eurovision 2020 cancellation”. 《Eurovision.tv》. 2020년 3월 18일.
- ↑ “유럽 덮친 코로나에 최대 음악 축제 '유로비전' 취소”. 《뉴스1》. 2020년 3월 19일. 2021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우크라이나에서 해야 하지만…내년 유로비전 영국에서 개최”. 《연합뉴스》. 2022년 7월 26일. 2022년 8월 3일에 확인함.
- ↑ “유로비전 2023 개최지, '비틀즈의 고향' 英 리버풀 확정”. 《세계일보》. 2022년 10월 8일. 2022년 11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