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有學, śaiksa, 팔리어: sekha, 영어: stage of learning, still engaged in spiritual training), 학인(學人) 또는 유학성인(有學聖人, 영어: sages still in the stage of discipline)은 무학(無學)에 상대되는 말로서, 견도 · 수도 · 무학도3도견도수도의 위계에 있는 성자들, 즉, 무학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즉 열반증득하기 위해서는 아직 더 배워야 할[學] 것이 있는[有], 달리 말해, 아직 더 수행해야 할 도법(道法)이 남아 있는 성자들을 말한다.[1][2][3][4]

'유학'(有學) 또는 '학인'(學人)을 번역하여 배울 것 있는 이,[5][6] 배울 것이 있는 이,[7][8] 배울 것이 남아 있는 이 또는 배우는 이[9][10]라고도 하며 이에 상대하여 무학배울 것 없는 이 또는 배울 것이 남아 있지 않은 이라고도 한다.

학(學) 즉 배움이란 일반적인 학문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출세간성취를 배운다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戒) · (定) · (慧)의 3가지 공덕 또는 선한 역량을 배워 번뇌단멸[擇滅]을 성취하는 것을 뜻한다.[11] 그리고 이 셋을 통칭하여 3학이라 한다. 그리고 3학, 즉, '번뇌를 끊기 위해 필수적인 3가지 수단 또는 방법'[12][13][14][15]을 공부하고 행하는 이를 불교도라고 하며, 3학의 공덕이 청정한 이, 특히, 번뇌를 끊는 힘을 가진 무루지를 일부라도 성취한 이, 즉, 4향4과성자들을 승(僧) 즉 승려(스님)라고 한다.[16][17]

4향4과의 성자들 중 마지막의 아라한과의 성자들을 제외한 예류향 · 예류과 · 일래향 · 일래과 · 불환향 · 불환과 · 아라한향의 성자들이 유학이며, 아라한과의 성자들이 무학이다. 아라한과를 제외한 4향3과의 성자들은 아직 끊지 못한 번뇌가 있으므로 닦아야 할 무루(無漏)의 (戒) · (定) · (慧)와 택멸(擇滅)의 이치가 있기 때문에 유학이라 한다.[18] 달리 말해, 유학 또는 학인은 무루지를 부분적으로 성취한 성자를 말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유학[有學]",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년 9월 5일에 확인:
    유학[有學]
    약어 학(學)
    산스크리트어 śaikṣa 아직 번뇌가 남아 있어, 아라한(阿羅漢)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더 수행해야 하는 견도(見道)·수도(修道)의 성자.
  2. "有學", 불문망. 《불학사전》. 2022년 9월 5일에 확인:
    有學
    辭典解釋 :
    解釋[1]:
    有學 The "stage of learning." One who is still learning and progressing in the Buddhist path, who is not yet perfected, or not yet an arhat. In Hīnayāna Buddhism, one who has not yet attained the fourth stage.
    解釋[2]:
    śaiksa; in Hīnayāna those in the first three stages of training as arhats, the fourth and last stage being 無學 those beyond the need of further teaching or study. There are eighteen grades of śaiksa.
    出處: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3]:
    梵語 śaiksa,巴利語 sekha。又稱學人。即指為斷盡一切煩惱,而修學無漏之戒、定、慧,及擇滅之理者。亦即佛弟子雖能知見佛法,然尚有煩惱未斷,必須有待修行學習戒、定、慧等法,以斷盡煩惱,證得漏盡,以其尚有法可修學,故稱有學。在小乘之四向四果中,前四向三果之聖者為有學,惟證得阿羅漢果之聖者,以其無法可修學,故稱為無學。
    有學共有十八類,稱為十八有學或十八學人,據中阿含卷三十福田經所舉,即:隨信行、隨法行、信解、見至、身證、家家、一間、預流向、預流果、一來向、一來果、不還向、不還果、中般、生般、有行般、無行般、上流般等十八類。此外,於成實論等經論中,尚有不同之分類。〔俱舍論卷二十四、成實論卷一、順正理論卷六十五、大乘法苑義林章卷五本〕(參閱「十八有學」351、「四向四果」1683、「無學」5138)
    出處:佛光電子大辭典
    頁數:p2458
    解釋[4]:
    在小乘四果中,前三果為有學,即有所修學的意思,第四果為無學,即無可修學的意思。
    出處: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5]:
    指佛弟子初果到第三果的聖者。
    出處: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6]:
    有學===集論二卷十二頁云:云何有學?幾是有學?為何義故,觀有學耶?謂求解脫者所有善法,是有學義。十界四處諸蘊一分,是有學。為捨執著求解脫我故,觀察有學。
    二解 俱舍論二十四卷十二頁云:前來所辯四向三果,皆名有學;何緣前七,得有學名?為得漏盡;常樂學故。學要有三。一、增上戒,二、增上心,三、增上慧。以戒定慧為三自體。若爾;異生應名有學?不爾。未如實見知諦理故。彼容後時失正學故。由此善逝再說學言。如契經中,佛告膽怕,學所應學。學所應學,我唯說此名有學者。為令了知學正所學,無有退失,名有學者;故薄伽梵,重說學言。聖者住本性,如何名有學?學意未滿故。如行者暫息。或學法得常隨逐故。學法云何?謂有學者,無漏有為法。無學法云何?謂無學者,無漏有為法。云何涅槃不名為學?無學異生,亦成就故。此復何緣不名無學?有學異生,亦成就故。
    出處: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7]:
    ===(術語)小乘四果之聖者中,前三果謂之有學,第四果謂之無學。以前三果尚有可修學之道故也。法華玄贊一曰:「戒定慧三,正為學體。進趣修習,名為有學。進趣圓滿,止息修習,名為無學。」梵S/aiks!a。
    出處:丁福保《佛學大辭典》
    相近字:
    有學不緣無明更造諸行 [w] , 有學作意 [w] , 有學弟子 [w] , 有學律儀 [w] , 有學慧 [w] , 有娠 [w] , 有如無勝者 [w] , 有天名結 [w] , 有天名意著 [w] , 有大威勢 [w]
  3. "有學",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Edited by A. Charles Muller. 2022년 9월 5일에 확인:
    有學
    Basic Meaning: still engaged in spiritual training
    Senses:
    A practitioner who is still in the level of training in the three aspects of morality, wisdom, and concentration One who is still practicing and progressing in the Buddhist path, who is not yet perfected—not yet an arhat (Skt. śaikṣa; Tib. slob pa; Pāli sekha). In Hīnayāna Buddhism, one who is in the first three stages of training and has not yet attained the fourth stage 四果—that of 'no more training' 無學. Even when practitioners have eradicated misleading views 見倒 (dṛṣṭi-viparyāsa) they may not have not gotten rid of subtle cognitive errors 心顚倒 (citta-viparyāsa), and thus remain in this category. Commonly-seen English renderings of this term as 'trainee,' 'novice,' and even 'learner' can be quite misleading, as it is usually applied in reference to a practitioner of rather high attainment, who simply hasn't reached the final stage (Skt. śikṣaṇa-śīla, śaikṣa-citta, śaikṣya, śaikṣatva). Also see 賢善異生, 學地, and 十八有學. 〔成唯識論 T 1585.31.13b26〕 [Charles Muller; source(s): Nakamura,Hirakawa, JEBD, Yokoi]
  4. "有學聖人",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Edited by A. Charles Muller. 2022년 9월 5일에 확인:
    有學聖人
    Basic Meaning: sages still in the stage of discipline
    Senses:
    (Skt. śaikṣa) 〔攝大乘論釋 T 1595.31.181a6〕 [Charles Muller]
  5. 미륵보살 조, 현장 한역(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제88권.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2022년 9월 5일에 확인:
    T30n1579_p0800b21║復次由五種相。有學無學二種差別。謂諸無
    T30n1579_p0800b22║學所成就智說名無上。一切有學所成就
    T30n1579_p0800b23║智說名有上。如智無上。當知正行及與解
    T30n1579_p0800b24║脫無上亦爾。又諸無學以善清淨諸聖慧眼
    T30n1579_p0800b25║觀佛法身。有學不爾。又諸無學以善圓滿
    T30n1579_p0800b26║無顛倒行奉事如來。有學不爾。是名五
    T30n1579_p0800b27║相。
  6. 미륵보살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K.570, T.1579). 《유가사지론》 제88권. 2022년 9월 5일에 확인:
    다시 다음에 다섯 가지 모양으로 말미암아 배울 것 있는 이(有學)와 배울 것 없는 이(無學)의 두 가지가 차별된다. (1)모든 배울 것 없는 이가 성취한 바의 지혜를 위가 없음이라 하거니와 온갖 배울 것 있는 이가 성취한 바 지혜를 위가 있음이라 한다. 지혜에서 위가 없음이 그러한 것처럼, (2)바른 행과 (3)해탈의 위가 없음에도 역시 그러한 줄 알아야 한다. 또, (4)모든 배울 것 없는 이는 아주 청정한 모든 거룩한 지혜 눈(慧眼)으로써 부처님의 법신(法身)을 자세히 살피거니와 배울 것 있는 이는 그렇지 아니하다. 또, (5)모든 배울 것이 없는 이는 아주 원만한 뒤바뀜이 없는 행으로써 여래를 받들어 섬기거니와 배울 것 있는 이는 그렇지 않나니, 이것을 다섯 가지 모양이라 한다.
  7. 용수 조, 구마라집 한역(T.1509). 《대지도론》(大智度論) 제22권. 대정신수대장경. T25, No. 1509, CBETA. 2022년 9월 5일에 확인:
    T25n1509_p0224a09║問曰: 如佛告給孤獨居士:
    T25n1509_p0224a10║ 「世間福田應供養者有二種:若學人,若無學
    T25n1509_p0224a11║ 人;學人十八,無學人有九。」今此中何以故
    T25n1509_p0224a12║ 但說八?
  8. 용수 지음, 구마라집 한역, 김성구 번역/김형준 개역(K.549, T.1558). 《대지도론》 제22권. 2022년 9월 5일에 확인:
    【문】 부처님께서 급고독(給孤獨) 거사에게 말씀하신 것과 같다면, 세간의 복전으로서 공양을 받을 만한 이는 두 가지가 있으니, 배울 것이 있는 이[學人]159)나 배울 것 없는 이[無學人]160)이다. 배울 것이 있는 이에게 18계위, 배울 것 없는 이에게 9계위가 있다 하셨는데 지금 여기서는 무엇 때문에 다만 여덟 가지만을 말하는가?
    159) 유학(有學, śaikṣa)이란 배울 것이 남아 있는 상태로 아직 아라한과를 얻지 못한 사람을 가리킨다. 고인(苦忍)에서 아라한과에 이르기 직전의 3과(果) 4향(向)의 7종의 학인을 말한다.
    160) 무학(無學, aśaikṣa)이란 아라한과에 도달한 자를 말한다. 곧 더 이상 닦을 것이 없는 성자의 경지이다.
  9. 하리발마 조, 구마라집 한역(T.1646). 《성실론》(成實論) 제1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대정신수대장경. T32, No. 1646, CBETA. 2022년 9월 5일에 확인:
    T32n1646_p0246c16║先十八學人及九
    T32n1646_p0246c17║無學。是二十七人。名為一切世間福田。僧
    T32n1646_p0246c18║中具足。是故應禮也。
  10. 하리발마 지음, 구마라집 한역, 번역자 미상(K.966, T.1646). 《성실론》 제1권. 2022년 9월 5일에 확인:
    먼저 열여덟 종류의 배우는 이[學人]와 아홉 종류의 배울 것 없는 이를 합한 이 27인을 온 세간의 복전이라 하며, 승가[僧] 중에 다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예배드려야 한다.
  11. "有學(유학)", 운허. 《불교사전》. 2022년 9월 5일에 확인:
    有學(유학)
    ↔ 무학(無學). 소승 성자의 하나인 성문(聲聞)이 온갖 번뇌를 끊으려고 무루의 계(戒)ㆍ정(定)ㆍ혜(慧) 3학(學)을 닦는 지위. 수행과 증과(證果)의 단계로는 4향(向) 4과(果) 중에서 아라한과는 무학(無學). 전의 4향 3과는 유학.
  12. "三學(삼학)", 운허. 《불교사전》. 2022년 9월 5일에 확인:
    三學(삼학)
    불교를 배워 도를 깨달으려는 이가 반드시 닦아야 할 세 가지. (1) 계학(戒學). 행위와 언어에서 나쁜 짓을 하지 않고, 몸을 보호하는 계율. (2) 정학(定學). 심의식(心意識)의 흔들림을 그치고, 고요하고 편안한 경지를 나타내는 법. (3) 혜학(慧學). 번뇌를 없애고, 진리를 철견(徹見)하려는 법. ⇒계정혜(戒定慧)
  13. "삼학[三學]",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년 9월 5일에 확인:
    삼학[三學]
    깨달음에 이르려는 자가 반드시 닦아야 할 세 가지 수행.
    (1) 계학(戒學). 계율을 지켜 실천함.
    (2) 정학(定學). 마음을 집중·통일시켜 산란하지 않게 함.
    (3) 혜학(慧學). 미혹을 끊고 진리를 주시함.
    참조어
    계학, 정학, 혜학
  14. "三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9월 5일에 확인:
    三學
    (一)梵語 tisraḥ śikṣāḥ,巴利語 tisso sikkhā。乃學佛者所必修之戒、定、慧三學。又作三勝學,全稱戒定慧三學。(1)增戒學(梵 adhiśīla),又作戒學、增上戒學。戒可修善,並防止身、口、意所作之惡業。(2)增心學(梵 adhicitta),又作定學、增意學、增上意學、增上心學。定可攝散澄神、摒除雜念,見性悟道。(3)增慧學(梵 adhiprajñā),又作慧學、增上慧學。慧能顯發本性,斷除煩惱,見諸佛實相。此三者為佛教實踐綱領,即由戒生定,由定發慧。故菩薩地持經卷十以六度配三學,即布施、持戒、忍辱、精進等四波羅蜜為戒學,禪波羅蜜為定學,般若波羅蜜為慧學。蓋三學實為佛道之至要,一切法門盡攝於此,故當精勤修學。三學若加上解脫與解脫知見,則成所謂「五分法身」。〔北本大般涅槃經卷十七、本事經卷六、四分律卷五十八、摩訶僧祇律卷二、大乘義章卷十〕(參閱「戒定慧」3666)
    (二)就學習之滿、未滿而分有學、無學、非學非無學等三種之人。據大智度論卷十八、俱舍論卷二十四之解釋:(1)有學(梵 śaikṣa),指四向三果。「有學智」則指苦法智忍之慧,乃至向阿羅漢第九無礙道中之金剛三昧慧。「有學法」指無漏有為的有學之五蘊。(2)無學(梵 aśaikṣa),指阿羅漢果。「無學智」則指阿羅漢第九解脫智。「無學法」指無漏有為的無學之五蘊。(3)非學非無學(梵 naivaśaikṣa-nāśaikṣa),指異生(即凡夫)。「非學非無學智」則指乾慧地之不淨、安那般那、欲界繫之四念處、煖法、頂法、忍法、世間第一法等。「非學非無學法」指有漏之五蘊及無為法。〔雜阿含經卷二十八、中阿含卷三十福田經、大智度論卷二十二、俱舍論卷四、俱舍論光記卷四〕(參閱「四向四果」2188、「異生」6482)p909
  15. "三學", 불문망. 《불학사전》. 2022년 9월 5일에 확인:
    三學
    辭典解釋 :
    解釋[1]:
    The "three studies" or vehicles of learning— discipline, meditation, wisdom: (a) 戒學 learning by the commandments, or prohibitions, so as to guard against the evil consequences of error by mouth, body, or mind, i.e. word, deed, or thought; (b) 定學 learning by dhyāna, or quietist meditation; (c) 慧學 learning by philosophy, i.e. study of principles and solving of doubts. Also the Tripiṭaka; the 戒 being referred to the 律 vinaya, the 定 to the 經 sūtras, and the to the 論 śāstras.
    出處: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2]:
    (一)梵語 tisrah śiksāh,巴利語 tisso sikkhā。乃學佛者所必修之戒、定、慧三學。又作三勝學,全稱戒定慧三學。(一)增戒學(梵 adhiśīla),又作戒學、增上戒學。戒可修善,並防止身、口、意所作之惡業。(二)增心學(梵 adhicitta),又作定學、增意學、增上意學、增上心學。定可攝散澄神、摒除雜念,見性悟道。(三)增慧學(梵 adhiprajñā),又作慧學、增上慧學。慧能顯發本性,斷除煩惱,見諸佛實相。此三者為佛教實踐綱領,即由戒生定,由定發慧。故菩薩地持經卷十以六度配三學,即布施、持戒、忍辱、精進等四波羅蜜為戒學,禪波羅蜜為定學,般若波羅蜜為慧學。蓋三學實為佛道之至要,一切法門盡攝於此,故當精勤修學。三學若加上解脫與解脫知見,則成所謂「五分法身」。〔北本大般涅槃經卷十七、本事經卷六、四分律卷五十八、摩訶僧祇律卷二、大乘義章卷十〕(參閱「戒定慧」2908)
    (二)就學習之滿、未滿而分有學、無學、非學非無學等三種之人。據大智度論卷十八、俱舍論卷二十四之解釋:(一)有學(梵 śaiksa),指四向三果。「有學智」則指苦法智忍之慧,乃至向阿羅漢第九無礙道中之金剛三昧慧。「有學法」指無漏有為的有學之五蘊。(二)無學(梵 aśaiksa),指阿羅漢果。「無學智」則指阿羅漢第九解脫智。「無學法」指無漏有為的無學之五蘊。(三)非學非無學(梵 naivaśaiksa-nāśaiksa),指異生(即凡夫)。「非學非無學智」則指乾慧地之不淨、安那般那、欲界繫之四念處、煖法、頂法、忍法、世間第一法等。「非學非無學法」指有漏之五蘊及無為法。〔雜阿含經卷二十八、中阿含卷三十福田經、大智度論卷二十二、俱舍論卷四、俱舍論光記卷四〕(參閱「四向四果」1683、「異生」5151)
    出處:佛光電子大辭典
    頁數:p683
    解釋[3]:
    三學 [py] sānxué [wg] san-hsüeh [ko] 삼학 samhak [ja] サンガク sangaku ||| The three practices of Buddhism: śīla (morality 戒), dhyāna (meditation 定), and prajñā (wisdom 慧).
    頁數:[Dictionary References] Naka458c Iwa310 [Credit] cmuller(entry) cwittern(py)
    解釋[4]:
    戒學、定學、慧學。戒即禁戒,律藏之所詮,能防止人們造作一切身口意的惡業;定即禪定,經藏之所詮,能使人們靜慮澄心;慧即智慧,論藏之所詮,能使人們發現真理而斷愚痴。修此三學,可以由戒得定,由定發慧,最終獲得無漏道果,所以三學又名為三無漏學。
    出處: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5]:
    三學===﹝出翻譯名義﹞
    如來立教,其法有三:一曰戒律,二曰禪定,三曰智慧。然非戒無以生定,非定無以生慧,三法相資,一不可缺。而皆稱為學者,學猶飾也,器不飾則無以成美觀,人不學則無以成聖德,故依此而修者,必證聖果也。
    〔一、戒學〕,戒者,禁戒也。謂能防止身口意所作之惡業,故名戒學。
    〔二、定學〕,定者,禪定也。謂能攝散澄神,見性悟道,故名定學。
    〔三、慧學〕,慧者,智慧也。謂能斷除煩惱,顯發本性,故名慧學
    出處:明,一如《三藏法數》字庫
    頁數:出翻譯名義
    解釋[6]:
    集異門論二卷十六頁云:三學者:一、增上戒學,二、增上心學,三、增上慧學。增上戒學云何?答:安住具戒;守護別解脫律儀;軌則、所行、悉皆具足;於微小罪,見大怖畏;受學學處。是名增上戒學。增上心學云何?答:離欲惡不善法,有尋有伺,離生喜樂,入初靜慮具足住;廣說乃至入第四靜慮具足住。是名增上心學。增上慧學云何?答:如實了知此是苦聖諦,此是苦集聖諦,此是苦滅聖諦,此是趣苦滅道聖諦。是名增上慧學。
    出處: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7]:
    (術語)學佛人可通學者有三:一、戒學,戒者禁戒也,能防禁身口意所作之惡業者。二、定學,定者禪定也,能使靜慮澄心者。三、慧學,慧者智慧也,觀達真理而斷妄惑者。戒學者律藏之所詮,定學者經藏之所詮,慧學者論藏之所詮。依戒而資定,依定而發慧,依慧而證理斷惡。因位之修學,過此三者,果上則無學也。名義集三學篇曰:「道安法師云:世尊立教,法有三焉:一者戒律,二者禪定,三者智慧。斯之三者至道之由戶泥洹之關要,戒乃斷三惡之干將也,禪乃絕分散之利器也,慧乃濟藥病之妙醫也。今謂防非止惡曰戒,息慮靜緣曰定,破惑證真曰慧。」
    出處: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8]:
    【梵】trīṇi śikṣāṇi
    【梵】त्रीणिशिक्षाणि【中】三學
    【藏】bslab pa gsum gyi ming la
    出處:Mahāvyutpatti - DDBC version
    相近字:
    三學三品分別 [w] , 三學中所有正行邪行 [w] , 三學中有三種邪行 [w] , 三學名 [w] , 三學成敗得四趣果 [w] , 三季 [w] , 三字禪 [w] , 三字 [w] , 三子 [w] , 三婆羅° [w]
  16. 하리발마 조, 구마라집 한역(T.1646). 《성실론》(成實論) 제1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대정신수대장경. T32, No. 1646, CBETA. 2022년 9월 5일에 확인:
    T32n1646_p0245c04║問曰。以何法故名之為僧。答曰。四行四得
    T32n1646_p0245c05║戒定慧等功德清淨故名為僧。四行者。行須
    T32n1646_p0245c06║陀洹。行斯陀含。行阿那含。行阿羅漢。四得
    T32n1646_p0245c07║者。須陀洹。斯陀含。阿那含。阿羅漢。
  17. 하리발마 지음, 구마라집 한역, 번역자 미상(K.966, T.1646). 《성실론》 제1권. 2022년 9월 5일에 확인:
    【문】어떠한 법 때문에 승가[僧]라 하는가.
    【답】네 가지 행(行)과 네 가지 얻음[得]과 계행ㆍ선정ㆍ지혜 등의 공덕이 청정하기 때문에 승가라 한다.
    네 가지 행이라 함은 수다원(須陀洹)의 행을 닦는 일과 사다함(斯陀含)의 행을 닦는 일과 아나함(阿那含)의 행을 닦는 일과 아라한(阿羅漢)의 행을 닦는 일이다.
    네 가지 얻음이라 함은 수다원과 사다함과 아나함과 아라한이다.
  18. "有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9월 5일에 확인:
    有學
    梵語 śaikṣa,巴利語 sekha。又稱學人。即指為斷盡一切煩惱,而修學無漏之戒、定、慧,及擇滅之理者。亦即佛弟子雖能知見佛法,然尚有煩惱未斷,必須有待修行學習戒、定、慧等法,以斷盡煩惱,證得漏盡,以其尚有法可修學,故稱有學。在小乘之四向四果中,前四向三果之聖者為有學,惟證得阿羅漢果之聖者,以其無法可修學,故稱為無學。
    有學共有十八類,稱為十八有學或十八學人,據中阿含卷三十福田經所舉,即:隨信行、隨法行、信解、見至、身證、家家、一間、預流向、預流果、一來向、一來果、不還向、不還果、中般、生般、有行般、無行般、上流般等十八類。此外,於成實論等經論中,尚有不同之分類。〔俱舍論卷二十四、成實論卷一、順正理論卷六十五、大乘法苑義林章卷五本〕(參閱「十八有學」512、「四向四果」2188、「無學」6470)p3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