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철 (야구인)
이강철(1966년 7월 12일 (음력 5월 24일)[1]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우완 언더핸드 투수이자, 현재 KBO 리그 kt 위즈의 감독이다.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66년 7월 12일 | (54세)||||||||||||||
출신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주시 | ||||||||||||||
신장 | 180 cm | ||||||||||||||
체중 | 78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언더)투우타 | ||||||||||||||
수비 위치 | 투수 | ||||||||||||||
프로 입단 연도 | 1989년 | ||||||||||||||
드래프트 순위 | 1989년 1차 2순위(해태 타이거즈) | ||||||||||||||
첫 출장 | KBO / 1989년 4월 13일 광주 대 삼성전 선발 | ||||||||||||||
마지막 경기 | KBO / 2005년 6월 19일 광주 대 현대전 구원 | ||||||||||||||
획득 타이틀 |
| ||||||||||||||
계약금 | 5억원 | ||||||||||||||
연봉 | 5억원 (2021년)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감독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아시아선수권 | 2003년 삿포로 | ||||||||||||||
메달 기록
|
선수 시절편집
해태 타이거즈 시절편집
KBO 리그에서 전무후무한 4년 연속 15승 이상, 10년 연속 두 자릿수 승, 10년 연속 세 자릿수 탈삼진 이상을 기록한 언더핸드 투수였으나 몇 차례 한 자릿수 선발승(90년 9선발승, 93년 9선발승, 94년 9선발승, 96년 8선발승)이 포함돼 있어서(10선발승 이상-89년 15선발승, 91년 13선발승, 92년 17선발승, 95년 10선발승, 97년 11선발승, 98년 13선발승) 역대 최고 10선발승 이상 기록은 정민철(92~99년)이 1992년부터 1999년까지 거둔 8연속(92~96년 13선발승, 97년 14선발승, 98년 10선발승, 99년 17선발승)이 최고 기록이며 1992년에는 당시 다승왕 타이틀을 벌이던 송진우가 9월 17일에 구원승으로 19승(11선발승)을 거두자[2] 당시 감독이었던 김응용이 다음 날 선발로 투입시켰지만 장종훈에게 역전 홈런을 맞아 패전 투수가 됐는데[3] 9월 17일 당시 빙그레 이글스의 선발 투수였던 한희민이 선수협 초대 총무를 역임하는 등 구단에 미움살 짓을 한 터라 당시 빙그레 이글스의 감독이었던 김영덕이 송진우를 5회초 중도투입시킨 것이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송진우의 기록을 "조작된 것"이라며 손가락질했고[4] 결국 정규 시즌 MVP는 홈런-타점 2관왕 장종훈,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는 신인왕 염종석에게 빼앗기는 수모를 당했으며[5] 송진우는 8구원승이 포함돼 있어 최다 선발승 타이틀은 그와 윤학길에게 모두 돌아갔다. 조계현, 이광우와 함께 신인 3인방 투수로 1989년에 데뷔해 팀의 5번의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은퇴 당시까지 KBO 리그 역대 최다 승리, 최다 탈삼진 등 숱한 기록을 만들어 내고 은퇴했다. 그 후 송진우에 의해 대부분 경신되는데 1992년 18승 중 17승이 선발 승이었으며 이 기록은 역대 잠수함 투수 선발 최다 승 기록으로 남아있다. 우완 언더핸드 투수로 슬라이더가 주무기였으며, 현재까지도 최고의 언더핸드 투수로 회자되고 있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편집
2000년에 FA를 통해 이적했으나, 그 전에 있었던 무릎 부상 등으로 인해 2001년 시즌 중 친정 팀으로 2억에 현금 트레이드됐다.
KIA 타이거즈 시절편집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2010년에는 당시 KIA 타이거즈의 투수코치였던 스기모토 다다시가 1군 코치를 맡았는데 팀 방어력과 팀에 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2군 투수코치로 자리를 옮기게 되자 팀의 방어력을 좋게 하기 위해 KIA 타이거즈의 1군 투수코치로 보직을 변경했다. 2012년 시즌 후 당시 새로 감독에 선임된 염경엽의 요청으로 넥센 히어로즈 수석 코치로 선임돼 팀을 옮겼다.[6] 2019년에는 김진욱의 후임으로 kt 위즈의 3대 감독으로 선임됐다.
출신 학교편집
주요 기록편집
- 진한 바탕은 KBO 리그 최초 기록임
기록 | 날짜 | 소속 | 구장 | 상대팀 | 상대 타자 | 경기 결과 | 경기수 | 달성 당시 나이 | 기타 | 각주 |
---|---|---|---|---|---|---|---|---|---|---|
100선발승 | 1997.9.12 | 해태 | 광주 | 롯데 | 2-1 | 역대 3번째 | ||||
500경기 출장 | 2003.9.11 | KIA | 광주 | 두산 | 37세 3개월 17일 | 역대 5번째 | ||||
최다 탈삼진 (1699개) |
2004. 4. 13 | KIA | 광주 | 현대 | 강귀태 9회 1사 4구 삼진 |
종전 : 선동열 (1698개) 송진우가 2009년에 경신함 |
[1] |
통산 기록편집
연 도 |
소 속 |
나 이 |
승 리 |
패 전 |
승 률 |
평 자 책 |
출 장 |
선 발 |
완 투 |
완 봉 |
세 이 브 |
홀 드 |
이 닝 |
피 안 타 |
피 홈 런 |
볼 넷 |
고 4 |
탈 삼 진 |
몸 맞 |
보 크 |
폭 투 |
실 점 |
자 책 |
타 자 수 |
W H I P |
---|---|---|---|---|---|---|---|---|---|---|---|---|---|---|---|---|---|---|---|---|---|---|---|---|---|
1989 | 해태 | 23 | 15 | 8 | .652 | 3.23 | 36 | 27 | 8 | 3 | 5 | 0 | 195.1 | 153 | 13 | 76 | 3 | 137 | 9 | 2 | 1 | 74 | 70 | 801 | 1.17 |
1990 | 24 | 16 | 10 | .615 | 3.14 | 44 | 25 | 10 | 1 | 5 | 0 | 220.2 | 163 | 24 | 84 | 3 | 165 | 9 | 1 | 3 | 84 | 77 | 894 | 1.12 | |
1991 | 25 | 15 | 11 | .577 | 3.19 | 36 | 24 | 11 | 2 | 3 | 0 | 214.2 | 158 | 20 | 54 | 4 | 193 | 15 | 1 | 0 | 87 | 76 | 849 | 0.99 | |
1992 | 26 | 18 | 9 | .667 | 3.44 | 33 | 30 | 12 | 2 | 0 | 0 | 217.1 | 179 | 29 | 71 | 4 | 155 | 16 | 1 | 0 | 88 | 83 | 899 | 1.15 | |
1993 | 27 | 10 | 10 | .500 | 3.04 | 31 | 26 | 2 | 1 | 1 | 0 | 154.0 | 113 | 9 | 65 | 2 | 131 | 13 | 0 | 3 | 60 | 52 | 638 | 1.16 | |
1994 | 28 | 12 | 15 | .444 | 3.64 | 33 | 23 | 5 | 1 | 1 | 0 | 185.2 | 150 | 19 | 105 | 8 | 140 | 17 | 2 | 0 | 86 | 75 | 811 | 1.37 | |
1995 | 29 | 10 | 10 | .500 | 3.30 | 29 | 23 | 4 | 2 | 1 | 0 | 150.0 | 127 | 15 | 53 | 4 | 126 | 18 | 0 | 3 | 60 | 55 | 635 | 1.20 | |
1996 | 30 | 10 | 9 | .526 | 2.46 | 28 | 21 | 5 | 2 | 1 | 0 | 153.2 | 114 | 11 | 47 | 3 | 119 | 13 | 0 | 2 | 43 | 42 | 611 | 1.05 | |
1997 | 31 | 11 | 3 | .786 | 2.99 | 30 | 25 | 5 | 2 | 2 | 0 | 162.2 | 130 | 14 | 60 | 12 | 128 | 15 | 1 | 1 | 63 | 54 | 667 | 1.17 | |
1998 | 32 | 15 | 11 | .577 | 3.11 | 31 | 28 | 3 | 2 | 0 | 0 | 179.1 | 165 | 18 | 47 | 6 | 160 | 18 | 0 | 3 | 70 | 62 | 754 | 1.18 | |
2000 | 삼성 | 34 | 1 | 4 | .200 | 7.30 | 14 | 7 | 0 | 0 | 0 | 0 | 37.0 | 45 | 8 | 17 | 0 | 20 | 5 | 0 | 1 | 33 | 30 | 173 | 1.68 |
2001 | 35 | 1 | 1 | .500 | 6.07 | 13 | 4 | 0 | 0 | 0 | 0 | 29.2 | 32 | 3 | 10 | 0 | 29 | 4 | 0 | 1 | 20 | 20 | 131 | 1.42 | |
해태/KIA | 35 | 1 | 2 | .333 | 7.86 | 14 | 2 | 0 | 0 | 1 | 1 | 26.1 | 27 | 6 | 10 | 0 | 21 | 7 | 0 | 0 | 23 | 23 | 120 | 1.41 | |
01합 | 35 | 2 | 3 | .400 | 6.91 | 27 | 6 | 0 | 0 | 1 | 1 | 56.0 | 59 | 9 | 20 | 0 | 50 | 11 | 0 | 1 | 43 | 43 | 251 | 1.41 | |
2002 | KIA | 36 | 5 | 2 | .714 | 3.17 | 66 | 0 | 0 | 0 | 17 | 8 | 105.0 | 82 | 12 | 36 | 4 | 97 | 10 | 0 | 0 | 41 | 37 | 441 | 1.12 |
2003 | 37 | 6 | 4 | .600 | 1.98 | 67 | 0 | 0 | 0 | 9 | 14 | 68.1 | 42 | 7 | 23 | 2 | 57 | 8 | 1 | 1 | 21 | 15 | 273 | 0.95 | |
2004 | 38 | 6 | 2 | .750 | 2.95 | 79 | 0 | 0 | 0 | 7 | 7 | 85.1 | 68 | 9 | 31 | 1 | 56 | 8 | 0 | 0 | 29 | 28 | 354 | 1.16 | |
2005 | 39 | 0 | 1 | .000 | 3.20 | 18 | 0 | 0 | 0 | 0 | 3 | 19.2 | 23 | 1 | 8 | 0 | 15 | 4 | 0 | 0 | 7 | 7 | 85 | 1.58 | |
KBO 통산 : 16년 | 152 | 112 | .576 | 3.29 | 602 | 265 | 65 | 18 | 53 | 33 | 2204.2 | 1771 | 218 | 797 | 56 | 1749 | 189 | 9 | 19 | 889 | 806 | 9136 | 1.17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빨간 글씨는 역대 최고 기록
각주편집
- ↑ 링크
- ↑ 김은식 (2008년 9월 28일). “천천히 악랄하게 목표물 공격하는 '송골매'”. 오마이뉴스. 2020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李强喆(이강철) 다승왕 물거품 張(장)종훈은 홈런 피날레”. 동아일보. 1992년 9월 19일. 2020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김은식 (2008년 9월 28일). “천천히 악랄하게 목표물 공격하는 '송골매'”. 오마이뉴스. 2020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김은식 (2008년 9월 28일). “천천히 악랄하게 목표물 공격하는 '송골매'”. 오마이뉴스. 2020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타이거즈 맨' 대거 이동 이강철 넥센 수석코치, 이대진은 한화행 《스포츠한국》, 2012년 10월 14일
외부 링크편집
- 이강철 - KBO 투수별 기록
- 야구의 추억, 일흔 여섯 번째 '2등' 이강철을 기억해야 하는 까닭
전임 김진욱 |
제3대 kt 위즈 감독 2018년 10월 20일 ~ |
후임 현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