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저
증 임녕군 이의저(贈 臨寧君 李義著, 1705년 2월 12일 ~ 1779년 9월 9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이다.
임녕군
臨寧君 | |
---|---|
군(君) | |
이름 | |
휘 | 이의저 李義著 |
신상정보 | |
출생일 | 1705년 2월 12일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파주 |
사망일 | 1779년 9월 9일 | (74세)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인평군 가통 사저 |
왕조 | 조선 왕조 |
가문 | 조선 왕조 전주 이씨 |
부친 | 경완군 이석린(양부) 이시욱(생부) |
모친 | 죽산 박씨 부인(생모) 고령 박씨 부인(친전모) |
배우자 | 군부인 청주 한씨 |
자녀 | 슬하 3남 |
기타 친인척 | 한명보(장인) 인평군 이요(양조부) 박경한(친외조부) 서평군 이요(양숙부) 양원군 이환(양형) 이신저(친형) |
종교 | 유교(성리학) |
묘소 | ![]() |
그는 살아 생전 아직 관직조차 없었던 일개 하강 강등 평민이었는데 사후 고종 때에 친척 아저씨뻘 되는 경완군 이석린의 사후 양자가 되었고, 1872년(고종 9년)에는 임영군에 추증되었다.
생애편집
일생편집
이시욱과 죽산 박씨 부인(박경한(朴經韓)의 여식)의 아들로 태어났다. 성종의 13째 서자(庶子)였던 영산군 이전(寧山君 李恮)의 7대손으로, 이시욱의 아들이었다. 아버지 이시욱 역시 영산군 이전의 서자(庶子)였던 은천군 이정의 차남(次男)인 해천령 이언박의 증손(曾孫)이었던 진사 이석달의 아들이었으나, 영산군의 다른 서자인 장흥군 이상(長興君 李祥)의 아들이었던 덕원도정 이관의(德源都正 李鏡義)의 차남(次男)인 강진부정 이종(康津副正 李琮)의 손자였던 이익(李木+益)의 양자가 되었다.
사후편집
그는 생전에 평민 신분이었으나 고종 때 가서 소현세자의 둘째 아들이었던 경완군 이석린의 사후 양차자가 된다. 경완군 이석린(慶完君 李石磷)의 사후 양장자였던 양원군 이환의 양아우라는 양가 종통 명목으로 고종 때 경완군 이석린의 사후 양차자로 지정되었고, 1872년(고종 9년) 12월 4일 임영군에 추증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 양가
- 친가
- 생부: 이시욱(李時郁, 1765년 8월 26일 ~ 1743년 11월 19일)
- 친전모: 고령 박씨(1671년 12월 25일 ~ ?년 6월 28일), 박두진의 딸
- 생모: 죽산 박씨(1674년 4월 20일 ~ ?년 11월 12일), 박경한(朴經韓)의 딸
이 글은 조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