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천광(爾朱天光, 496년 ~ 532년)은 북위(北魏)의 무장이다. 이주영(爾朱榮)의 종조형의 아들이다. 수용군(秀容郡) 출신이다.

이주천광
爾朱天光
출생496년
수용군
사망532년
성별남성
국적북위
직업무장

생애

편집

어린 시절부터 결단력이 뛰어났으며, 활쏘기와 승마에 능해 이주영의 총애를 받았다. 527년 이주영이 병주(幷州)와 사주(肆州)를 근거지로 정하자 도장(都將)으로 임명되어 사주의 군사를 통솔했으며, 528년 효명제(孝明帝)가 사망한 뒤 이주영이 낙양(洛陽)으로 향할 때 사주의 내정을 담당하였다. 이후 무군장군(撫軍將軍) 및 사주자사(肆州刺史)가 되었으며, 장안현개국공(長安縣開國公)에 봉해졌다. 그 뒤 이주영이 갈영(葛榮)을 공격할 당시에도 사주를 지켰으며, 시중(侍中) ·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및 북수용(北秀容) 제1 추장으로 임명된 뒤 위장군(衛將軍)으로 승진하였다.

이후 529년 원천목(元天穆)이 형고(邢杲)의 반란을 진압할 당시 사지절(使持節) · 진동장군(鎭東將軍) · 도독(都督)을 제수받아 원천목과 함께 형고를 진압했으며, 이후 원호(元顥)가 낙양에 입성하자 하내(河內)에서 이주영과 합류해 상서복야(尙書僕射)를 겸한 뒤 병주(并州)의 내정을 담당하게 되었다. 원호가 패배한 이후 낙양으로 귀환해 표기장군(驃騎將軍) 및 산기상시(散騎常侍)에 임명되었고 광종군공(廣宗郡公)에 봉해졌으며, 그 뒤 좌위장군(左衛將軍)으로 승진하였다.

그 뒤 530년 묵기추노(万俟醜奴)가 반란을 일으키자 사지절(使持節) ·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 · 옹주자사(雍州刺史)를 제수받았으며, 하발악(賀拔岳), 후막진열(侯莫陳悅)과 함께 울지보살(尉遲菩薩)을 격파한 뒤 묵기추노를 생포하였다. 이후 잔당 묵기도락(萬俟道洛)과 왕경운(王慶雲)이 계속 저항하자 진압을 명받았으나 이를 제대로 시행하지 못하여 무군장군(撫軍將軍)으로 강등되었으나, 결국 잔당들을 소탕하는 데 성공하여 관직이 원래대로 복귀된 뒤 시중(侍中) 및 의동삼사(儀同三司)를 더하였다.

이후 묵기추노의 잔당인 숙근명달(宿勤明達)이 다시 위협을 가하자 하발악 등과 함께 숙근명달을 공격해 동하주(東夏州)로 쫓아버렸으나, 이주영이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추격을 중지하고 정세를 관망하였다.

그 뒤 이주영을 참살한 효장제(孝莊帝)로부터 광종왕(廣宗王)으로 봉해졌으며, 이주세륭(爾朱世隆)이 옹립한 원엽(元曄)에 의해 농서왕(隴西王)으로 다시 추봉되었다. 이후 이주조(爾朱兆) 낙양으로 병사를 진군시키자 함께 낙양으로 들어와 이주세륭과 면담한 뒤 바로 옹주로 복귀했으며, 531년 다른 이주씨 일족들과 함께 절민제(節閔帝)를 옹립하여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 상서령 (尙書令) · 관서대행대(關西大行臺)로 임명되었다. 또한 도주했던 숙근명달을 체포해 낙양으로 압송하는 등의 공을 세워 대사마(大司馬)로 승진하였다.

그 뒤 532년 다른 이주씨 일족들과 함께 고환(高歡)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였으며, 곡사춘(斛斯椿)에게 붙잡힌 뒤 낙양에 보내져 사형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