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제1중간기
고대 이집트의 제1중간기는 기원전 2181년부터 기원전 2040년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고대 이집트 |
![]() |
선왕조 시대 |
원왕조 시대 |
초기왕조 시대 |
제1왕조 제2왕조 |
고왕국 시대(피라미드 시대) |
제3왕조 제4왕조 제5왕조 제6왕조 |
제1중간기[1] |
제7, 8왕조 제9왕조 제10왕조 |
제11왕조 (통일 전) |
중왕국 시대 |
제11왕조 (통일 후) 제12왕조 |
제2중간기[1] |
제13왕조 제14왕조 |
제15왕조 제16왕조 제17왕조 |
신왕국 시대(이집트 제국) |
제18왕조 제19왕조 제20왕조 |
제3중간기[1] |
제21왕조 제22왕조 제23왕조 제24왕조 제25왕조 |
말기왕조 시대 |
제26왕조 |
제27왕조(아케메네스 왕조의 1차 점령기) |
제28왕조 제29왕조 제30왕조 |
제31왕조(아케메네스 왕조의 2차 점령기) |
헬레니즘 제국의 점령기 |
아르게아스 왕조(알렉산드로스 3세)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개요 편집
이집트 제4왕조에서 대피라미드 등 엄청난 건축물을 남겼던 이집트 고왕국 왕조들은, 이집트 제6왕조에 이르러 쇠퇴기에 직면한다. 지방 귀족들은 점점 파라오의 권위를 위협해 갔으며, 제6왕조의 페피 2세 이후에는 혼란기가 계속되다가 결국, 왕조의 통일성 자체가 무너지게 된다.
마네토에 의하면, 제6왕조의 뒤를 이은 제7왕조에는 70일간 재위한 70명의 파라오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곧이어 17여 명에 달하는 파라오가 통치한 제8왕조가 뒤따랐지만, 이들의 지배권은 멤피스 일대로 한정됨은 물론, 8왕조 자체도 20년을 넘기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멤피스보다 약간 남쪽에 위치한 헤라클레오폴리스에 이집트 제9왕조 정권이 들어섰다. 이것을 이집트 제10왕조가 계승하는데, 그 와중에서 상이집트의 대도시 테베에 이집트 제11왕조가 등장하여 이중 권력 현상이 발생하였다.
헤라클레오폴리스와 테베의 경쟁은 기원전 2040년경 11왕조의 멘투호테프 2세에 의해 마무리되며, 이집트 중왕국 시대가 이어진다.
역대 파라오 편집
제7왕조 편집
- 네티에르카레 : 니토크리스와 동일 인물일 수도 있다. 아비도스 왕 목록의 40번이다.
- 멘카레 : 아비도스 왕 목록에만 등장한다.
- 네페르카레 2세 : 아비도스 왕 목록에만 등장한다.
- 네페르카레 네비 : 아비도스 왕 목록에 등장하며, 다른 파라오들보다 명확하게 쓰여져 있다. 또한 그의 이름은 그의 어머니인 안케센페피의 무덤과 석관에 나타난다.
- 제드카레 셰마이 : 아비도스 왕 목록에만 등장한다.
- 네페르카레 켄두 : 아비도스 왕 목록에만 등장한다.
- 메렌호르 : 아비도스 왕 목록에만 등장한다.
- 네페르카민 : 아비도스 왕 목록에만 등장한다.
- 니카레 : 아비도스 왕 목록에만 등장한다.
- 네페르카레 테레루 : 아비도스 왕 목록에만 등장한다.
- 네페르카호르 : 아비도스 왕 목록에만 등장한다.
제8왕조 편집
- 네페르카레 페피세네브 : 아비도스 왕 목록과 토리노 파피루스에 등장한다. 토리노 파피루스가 제7왕조의 파라오들을 생략함에 따라, 제8왕조의 첫 파라오로 간주되고 있으나, 명확한 증거는 없다.
- 네페르카민 아누 : 아비도스 왕 목록과 토리노 파피루스에 등장한다.
- 카카레 이비 : 알려진 바로는 사카라에 작은 피라미드를 남긴 제8왕조의 유일한 파라오이다. 토리노 파피루스에 의하면 2년 1달 1일을 통치하였다.
- 네페르카우레 2세 : 아비도스 왕 목록과 토리노 파피루스에 등장한다. 토리노 파피루스 상으로는 제8왕조의 파라오들 중 가장 긴 4년 2달을 통치하였다.
- 네페르카우호르 : 아비도스 왕 목록에만 등장한다. 같은 위치의 토리노 파피루스에는 그의 이름이 유실되어 보이지 않는다.
- 네페리르카레 : 아비도스 왕 목록에만 등장하며, 같은 위치의 토리노 파피루스에는 그의 이름이 유실되어 보이지 않는다. 아비도스 왕 목록 상으로는 제1중간기의 마지막 파라오이며, 그의 다음에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가 나타난다.
- 와지카레 : 데미지브타위(Demedj-ib-taui)라는 호루스 이름이 남아 있으며, 칙령을 남긴 흔적이 있으나, 왕 목록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제9왕조 편집
앞선 제7, 제8왕조와 마찬가지로, 제9왕조의 파라오들도 확실한 기록을 남가지 않았다. 또한 아비도스 왕 목록과 사카라 석판에 이들이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존재를 확인하기란 매우 어렵다.
- 케티 1세 : 제9왕조의 건립자로, 마네토의 기록에는 '아치토에스'로 등장한다. 그는 이집트 제8왕조에서 상이집트 지역으로 파견한 왕자 혹은 총독으로 추정된다. 중앙 정부가 약해지자 헤라오폴리스에 새롭게 왕조를 개창하였다. 마네토에 의하면, 잔혹한 통치로 인해 신들의 벌을 받아 악어에게 잡아 먹혔다. 토리노 파피루스 상에는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 메리카레(10왕조일수 있다.)
- 네페르카레 7세 : 테베 남쪽 알-모알라에 그의 부하인 안크티피의 기념물이 남아 있으며, 토리노 파피루스 4-20에서도 이름을 찾아볼 수 있다.
- 케티 2세 - 토리노 4-21
- 세넨?(불명) - 토리노 4-22
- 케티 3세 - 토리노 4-23
- 케티 4세(메리이브레) - 토리노 4-24
- 셰드?(불명) - 토리노 4-25
- 흐?(불명) - 토리노 4-26
제10왕조 편집
- 케티 5세(와카레)
- 메리?
- 세?레 케티
- 케티 6세
- 케티 7세
- 메리카레
- 기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파라오 3명
- 토리노 파피루스에는 9, 10왕조 합쳐 총 18명의 파라오가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