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군

대한민국 강원도의 군
(인제에서 넘어옴)

인제군(麟蹄郡)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북부에 있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영서북부지역에 위치한 이다. 철원군·양구군·고성군과 더불어 휴전선에 접한 곳이다. 동쪽으로는 고성군·속초시·양양군, 서쪽으로는 양구군·춘천시[2], 남쪽으로는 홍천군에 접한다. 군내는 태백산맥이 종관하는 영서 산악지대로서 무산(1,319m)·향로봉(1,293m)·설악산(1,708m)·점봉산(1,424m)·가칠봉(1,240m) 등이 연봉을 이루어 높고 험준하며, 서쪽은 도솔산맥이 양구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군청 소재지는 인제읍 상동리이고, 행정구역은 1읍 5면이다.

인제군

인제군의 위치
인제군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1개 , 5개
청사 소재지인제읍 인제로187번길 8 (상동리 349-6)
단체장최상기(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양수(국민의힘,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지리
면적1,646.08km2
인문
인구32,192명 (2022년 2월년)
세대16,380세대 (2021[1]년)
상징
나무주목
철쭉
비둘기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www.inje.go.kr/
인제군의 지리적 위치

역사 편집

고구려 때 저족현(猪足縣:烏斯回)이라 하였는데 고려 때 인제로 개칭하고, 춘천에 귀속되었다가 뒤에 회양(淮陽)에 예속하였다. 고려 공양왕 1년(1389년)에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고,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는 현감을 두었다. 과거 이 지역은 유배지였는데, 원통 일대가 주된 유배지였다.

6면 - 군내면, 내면, 남면, 북면, 서화면, 기린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인제군 남면 부평리, 어론리, 김부리, 정자리, 갑둔리, 신풍리, 남전리의 일부 홍천군 신남면(新南面)
인제군 기린면 현리, 서리, 방동리, 상남리, 하남리, 진동리의 일부, 북리의 일부
인제군 인제면 원대리의 일부
인제군 내면 홍천군 내면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신 행정구역
인제군 인제면, 북면, 서화면, 남면, 기린면, 해안면(양구군에서 편입)

지리 편집

남쪽은 홍천군, 서쪽은 춘천시양구군(광치령), 동쪽은 속초시(미시령), 고성군(진부령), 양양군(한계령)과 접해 있다. 북쪽에 있는 서화면 일부는 휴전선에 접해 있어서 일부에는 민통선이 설정되어 있다. 대한민국 기초 자치 단체 가운데 홍천군 다음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인구밀도는 대한민국 기초 자치 단체 중에서 가장 낮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동쪽 태백산맥에는 무산(1,320m)·향로봉(1,298m)·설악산(1,708m), 오대산(1,568) 등이 솟아 있고, 서쪽은 대암산 줄기가 남북으로 뻗어 있다.하천은 북한강의 지류 소양강이 주류가 되어 남류하다가 인제 부근에서 내린천 등 지류와 합류한다. 연안에는 약간의 범람원과 작은 선상지가 발달, 그 중 서화분지가 비교적 크다.

기후 편집

내륙 산간지이기 때문에 여름·겨울의 기온 교차뿐만 아니라 주야의 교차도 심한 내륙 고원 기후를 나타내며, 강수량은 여름에 집중적으로 많고, 겨울의 적설도 많다. 연평균 기온 10.4 , 1월 평균 -4.7, 8월 평균 23.4, 최고 기온 39 (1942. 7), 최저 기온 -30 (1927. 1), 연평균 강수량 1,205mm이다.

인제군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최고 기온 기록 °C (°F) 13.2
(55.8)
18.9
(66.0)
23.5
(74.3)
31.2
(88.2)
33.0
(91.4)
35.4
(95.7)
36.8
(98.2)
37.7
(99.9)
33.2
(91.8)
28.6
(83.5)
24.2
(75.6)
16.9
(62.4)
37.7
(99.9)
평균 일 최고 기온 °C (°F) 1.5
(34.7)
4.7
(40.5)
10.5
(50.9)
17.8
(64.0)
23.2
(73.8)
27.0
(80.6)
28.2
(82.8)
28.8
(83.8)
24.7
(76.5)
19.1
(66.4)
11.0
(51.8)
3.5
(38.3)
16.7
(62.1)
일 평균 기온 °C (°F) −4.7
(23.5)
−1.8
(28.8)
4.0
(39.2)
10.6
(51.1)
16.1
(61.0)
20.4
(68.7)
23.3
(73.9)
23.4
(74.1)
18.4
(65.1)
11.8
(53.2)
4.8
(40.6)
−2.1
(28.2)
10.4
(50.7)
평균 일 최저 기온 °C (°F) −10.4
(13.3)
−7.7
(18.1)
−1.9
(28.6)
3.8
(38.8)
9.6
(49.3)
15.1
(59.2)
19.6
(67.3)
19.7
(67.5)
14.0
(57.2)
6.4
(43.5)
−0.4
(31.3)
−7.3
(18.9)
5.0
(41.0)
최저 기온 기록 °C (°F) −25.9
(−14.6)
−24.5
(−12.1)
−14.9
(5.2)
−7.0
(19.4)
0.1
(32.2)
3.4
(38.1)
9.8
(49.6)
9.0
(48.2)
0.7
(33.3)
−6.5
(20.3)
−14.0
(6.8)
−22.8
(−9.0)
−25.9
(−14.6)
평균 강수량 mm (인치) 16.6
(0.65)
22.8
(0.90)
32.1
(1.26)
69.8
(2.75)
92.6
(3.65)
116.8
(4.60)
332.4
(13.09)
287.6
(11.32)
127.4
(5.02)
44.8
(1.76)
40.9
(1.61)
20.8
(0.82)
1,204.6
(47.43)
평균 강수일수 (≥ 0.1 mm) 5.9 5.7 7.8 8.7 9.4 10.3 15.2 14.0 8.9 5.8 7.5 5.9 105.1
평균 상대 습도 (%) 65.0 61.1 58.4 56.4 63.7 69.7 78.5 79.0 76.8 72.9 69.0 67.3 68.2
평균 월간 일조시간 158.8 158.3 187.5 199.4 215.6 199.2 144.9 159.7 165.0 166.9 136.1 147.1 2,038.5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 (평균값: 1991년~2020년, 극값: 1971년~현재)[13][14]

지질 편집

인제군은 경기 지괴 북동부에 위치해 있어, 주요 암석인 고원생대 편마암과 이를 관입한 중생대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부의 설악산 지역은 중생대화강암이 더 많이 분포한다.[15][16][17]

선캄브리아기 편집

소양강-북천(또는 인제 단층) 북서부에 해당하는 지역에는 고원생대의 (경기변성암복합체) 흑운모편마암(PRbgn)과 화강편마암(PRggn), 석영운모편암(PRqms), 경기변성암복합체 석류석화강편마암(PRgtgn), 미그마타이트질 흑운모편마암(PRmbgn), 석영편암(PRqsch) 등 편마암·편암 계열의 암석이 주로 분포한다.[16][18]

  • 경기변성암복합체 흑운모 편마암(PRbgn; Precambrian gyeonggi metamorphic rock complex biotite gneiss) 암석은 경기변성암복합체의 시흥층군의 연장에 속하는 준편마암류로서 인제읍 북서부, 서화면 서부, 북면 원통리, 향로봉 정상 등 인제군 곳곳에 분포한다.[15] 이 암석은 반상변정질화강편마암, 석류석화강편마암, 쥬라기 화강암 및 백악기 석영장석반암 등에 의해 관입되며, 창암교 북부에서는 석영장석반암내에 본 암석이 포획되고 있다. SHRIMP Zircon U-Pb 연대측정(이하 'U-Pb 연대측정')을 통해 원암(原巖)은 시생대 말기~원생대 전기인 20억 년에서 18억 6천만 년 전 퇴적된 지층이고 18억 년과 2억 3천만년 전 광역 변성 작용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인제읍 합강리 지역 암석의 207Pb/206Pb 방사성 연대 측정값 (이하 'Pb 연대측정값')은 약 18억 9천만년 전이다. 흑운모 편마암은 주로 흑운모, 백운모, 사장석, 정장석, 석영으로 구성되며 상속핵의 Pb 연대측정값 최고 연대는 약 31억 년 이상이나 11개 분석점에 대한 Pb 연대측정값 가중평균연대는 1893±12 Ma로 흑운모 편마암의 모암이 퇴적된 상한선이 고원생대임을 지시한다.[16][19]
  • 화강편마암(PRggn, Precambrian granite gneiss)은 인제읍 가아리, 상동리, 인제군 북면 원통리 등지에 암주(巖柱) 형태로 발달한다. 화강편마암에는 우백질 화강편마암과 미그마타이트질 화강편마암이 포함된다. 화강편마암은 흑운모 편마암과 석영운모편암을 관입하고 있으며, 고원생대 신월리화강암, 대암산섬장암, 신원생대 각섬암, 쥬라기 및 백악기 화강암류 및 규장암/규장반암에 의해 관입되었다. 본 암은 주로 흑운모, 백운모, 사장석, 정장석, 석영으로 구성되며 흔히 석류석을 포함하고 있다. 북면 원통리 지역 암석의 Pb 연대측정값은 18억 9천만 년 전이며, 상속핵의 Pb 연대측정값 최고 연대는 약 25억년 이하이나 11개 분석점에 대한 Pb 연대측정값 가중평균연대는 1893±13 Ma로 화강편마암의 관입시기가 고원생대임을 지시한다.[16]
  • 석영운모편암(PRqms; Precambrian quartz mica schist)은 인제군 남면 관대리, 인제읍 남북리, 북면 원통리 및 월학리 지역에 분포한다. 층서적으로 흑운모편마암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흑운모편마암에 여러 매 끼어있는 양상으로 발달한다. 석영운모편암은 화강 편마암을 비롯하여 대암산 섬장암, 신월리 화강암, 중생대 화성암류에 의해 관입되었다. 본 암석은 주로 백운모, 흑운모, 석영, 정장석, 사장석으로 구성되며 드물게 규선석이 관찰된다.[16]
  • 신월리 화강암(PRsgr; Precambrian sinwolri granite)은 인제군 남면 신월리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화강암이다. 신월리화강암은 석영운모편암 및 화강편마암을 관입하고 있으며 원리 지역에서 엽리상 화강암에 의해 관입되었고 신월리 일대 규장암/규장반암에 의해 관입되었다. 주로 중립 내지 조립질의 사정석, 정장석, 석영으로 구성된다. 13개 분석점에 대한 Pb 연대측정값 가중평균연대는 1853.2±4.4 Ma로 신월리 화강암의 관입 시기가 고원생대임을 지시한다.[16]
  • 경기변성암복합체 (함)석류석화강편마암(PRgtgn)은 서화면 동부, 진부령-간성간 국도 제46호선 서부에 분포하며, 흑운모 편마암을 관입하고 반상변정질화강편마암, 우백질화강편마암, 쥬라기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하고 있다. 향로봉에서 칠절봉 사이의 남-북 방향의 능선과 진부령으로 이어지는 동-서 방향의 능선에서 보이는 엽리 방향은 동서방향 축의 습곡구조를 형성한다. 진부령 서쪽에서 중생대 쥐라기 각섬석흑운모화강암과 남-북 주향의 충상 단층으로 접하고 있다. 206Pb/238U 연대는 1,839±23 Ma로 이들의 관입시기는 고원생대 중기를 지시하고 있다[19]
  • 각섬암(PRam; Precambrian amphibolite)은 인제읍 덕산리 일대에서 인제 단층을 따라 소규모로 발달한다. 소일폄 마을 합강3교 동쪽 노두는 화강편마암과 접하며 파쇄대를 이루고 있다. 지질시대는 신원생대로 추정된다.[16]

중생대 편집

중생대 화강암은 동부 설악산 지역에 대규모로 분포한다. 중생대의 퇴적암은 백담분지에만 분포한다.

쥐라기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은 특히 설악산 지역에서 가리봉 화강암, 인제 화강암 등으로 분류되어 넓은 분포를 보인다.

  • 인제 화강암(Jitmgr, Jigr; Jurassic inje granite)은 인제군 북면 한계리, 인제읍 덕산리와 덕정리, 고사리, 인제군 남면 남전리, 원대리 일대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인제화강암은 주로 복운모 화강암으로 구성되며, 주요 구성 광물은 정장석, 사장석, 석영, 흑운모, 백운모이다. U-Pb 연대측정에 의한 연령은 1억 6천만 년 전이다.[16]
  • 합강리 화강암(Jhgr, Jurassic hapgangri granite)은 인제군 인제읍 합강리 노루목 일대에서 흑운모 편마암을 관입하고 있는 소규모 화강암체이다. 주요 구성 광물은 사장석, 정장석, 석영, 흑운모이다. 24개 분석점에 대한 Pb206/U238 가중평균연대는 190.3±1.5 Ma로 합강리 화강암의 관입시기가 전기 쥐라기임을 지시한다.[16]
  • 엽리상 화강암(Jfgr; Jurassic foliar granite)은 인제군 북면 월학리 및 한계리에 분포한다. 흑운모 편마암, 석영운모편암, 화강편마암을 관입하고 있으며 백악기 규장암/장석반암에 의해 관입되었다.[16]
  • 가리봉 화강암(Jkgr, Jurassic kari peak granite)은 한계령 서쪽 가리봉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흑운모편마암을 관입하며 설악산화강암과 인제화강암에 의해 관입 당하고 있다. U-Pb 연대측정에 의한 연령은 1억 7천~8천만 년 전으로 측정되었다.[19]
  • 각섬석흑운모화강암(Jhgr, Jurassic granite)은 용대리 북부에서 국도 제46호선을 따라 남-북 방향으로 분포한다. 죽왕면 탑동에서 흘리로 이어지는 임도상에서 본 암석의 신선한 노두를 관찰할 수 있다. 흑운모편마암과 석류석화강편마암을 관입하고 석영장석반암에 의해 관입당하고 있으며 매봉산 동부에서는 이 암석과 석류석화강편마암과의 관계가 트러스트 단층임이 관찰된다.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흑운모, 사장석, 각섬석, 미사장석 등이다. SHRIMP Zircon U-Pb 연대측정 결과 12점 분석치의 가중평균 연령이 178.3±1.5 Ma로 쥐라기 초기부터 쥬라기 중기의 관입시기를 지시한다.[19]
백악기

내설악십이선녀탕 계곡 동쪽으로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백담 분지의 백담층군이 분포한다. 백담층군은 백악기 육성퇴적층인 대승령층(기호 Kd), 작은감투봉층(기호 Kj)과 세존봉 응회암으로 구성된다. 백악기의 화강암은 불국사 화강암류에 속하는 설악산 화강암, 귀때기청화강암 등으로 구분된다.

  • 작은감투봉층(Kj)은 용대리 동부에서 응회암의 서측 경계부를 따라 남북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며 분포한다. 이는 남쪽으로 가면서 황철봉 서쪽에서 다시 남북 방향으로 나타나고, 더 남쪽에서 저항령 남서쪽의 능선부에 소규모로 산출된다. 이와 별도로 떨어져 흘리 마산 남서부와 북서부, 마좌리 남서부, 죽병산, 신선봉 북동부에 소규모로 분포한다. 미시령 서쪽에서 경기편마암복합체 흑운모 편마암(PRbgn)위에 직접 부정합으로 놓이거나 백악기의 석영장석반암 내에 분포하며 위로는 응회암에 의해 덮인다.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회백색 기저역암대, 적갈색 이암 및 사암 호층(互層)대, 적갈색 사암 및 역암 호층대의 순으로 되어 있으며 적갈색 이암 및 사암 호층대가 훨씬 우세하게 나타난다. 적갈색 이암 및 사암 호층대는 적갈색 이암, 사암과 담적색 역암이 교호(交互)하면서 나타나는데 점이 층리 등의 퇴적구조를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이암은 대부분 층리를 보여주지 않는 괴상(塊狀)을 이루며 이암과 사암이 얇게 교호하는 곳에서 입도차이에 의해 희미한 층리를 보여준다. 용대리 동부에서 대체로 북동 40°~동서 주향에 남동 20°∼43°로 경사하고 황철봉 서쪽에서 대체로 남-북 주향에 동측으로 27° 내외로 경사하며, 신선봉 북동부에서 북동 40° 주향에 남동 15°내외로 경사한다. 본 도폭에서 본 층은 용대리 동부에서 최고 약 150m에 달한다.[19]
  • 응회암(Kt)은 용대리 동부와 황철봉 서부에서 작은감투봉층을 덮으며 작은감투봉층 분포지역 동쪽에서 남-북 방향으로 분포한다. 이 암층은 석영장석반암에 의해 단층관계로 관입된다. 응회암의 U-Pb 연대는 108.4±3.1~104.8±3.5 Ma (약 1억년 전)이다.[19]
  • 세존봉 응회암은 세존봉을 중심으로 동-서 방향으로 좁게 분포하는 응회암류이다. 세존봉 응회암의 U-Pb 연대는 88.8±0.7 Ma (약 8천만년 전)이다.[19]
  • 석영장석반암은 북면 용대리에 대략 남-북 방향의 두 개의 암체로 분포한다. 한 암체는 신평리 일원에서 남-북 방향으로 신선봉-죽병산까지 응회암과 접하며 길게 이어져 분포하고 또 다른 암체는 미시령길에서 진부령길로 갈라지는 용대동에서 북북동 방향으로 마산-선유실리 일대까지 관입 분포한다. 알칼리 장석과 석영이 반정(斑晶)으로 포함되어 붉은색을 띤다. 이 암체는 능선에서 급사면을 형성하며 험준한 지형을 이루고 있고 능선부에는 흔히 모진 큰 암괴들이 떨어져 나와 암괴원을 형성하고 사면에는 이들이 흘러내려 암괴류를 이루고 있다. 이 암석에는 북동 50°,북서 80° 방향의 절리가 발달해 있다.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정장석, 흑운모, 사장석 등이다. U-Pb 연대는 8400만 년 전이다.[19]
  • 설악산 화강암(Ksgr)은 서북능선의 남측부, 주전골, 백운동계곡, 공룡능선, 천불동계곡 등 설악산 각지에 분포한다.
  • 귀때기청화강암(Kggr)은 서북능선에 위치한 귀때기청봉 일대에 소규모로 분포하며, 가리봉 화강암과 설악산 화강암을 관입한다.[15]

신생대 하안단구 편집

인제군의 소양강을 따라 하안단구 퇴적층이 존재한다.[16]

설악산 지역 편집

설악산 지역은 대부분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쥐라기 인제 화강암(Jigr)과 백악기 설악산 화강암(Ksgr)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설악산 일대에는 다수의 단층들이 분포하고 있다.[17]

해안분지 편집

인제군 해안면해안분지고원생대 편마암류를 관입한 쥐라기 해안 화강암(Jhgr)이 주변 암석에 비해 풍화에 약해 더 빨리 침식되어 분지가 형성된 차별 침식의 결과로 생성되었다.[18]

단층 편집

 
강원도 지역의 지진(1978-2023)과 단층 분포도

인제군의 단층은 주로 북동부지역에 몰려 있으며 총 연장 100km 이상의 대규모 단층만 2개가 통과한다.

인제 단층 편집

인제 단층은 인제군을 통과하는 대규모 단층이다. 고성군 가진리에서 이어진 이 단층은 인제군 내에서 북면 용대리, 한계리, 원통리, 인제읍, 남면 신남리를 통과하며, 이후 홍천군을 지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이른다.[20][21] 그 선형은 원통리까지 국도 제44호선의 선형과 일치한다. 인제 단층은 경기육괴가 남향운동을 하는 과정 중에 형성된 역단층으로 해석된다.[19]

금왕 단층 편집

금왕 단층한반도 음성 분지에서 시작해 설악산 남부까지 연장되는 연장 170 km의 대규모 주향 이동 단층으로, 단층의 북동부 끝 부분이 인제군 상남면기린면, 설악산 지역을 지난다.[22] 단층암의 ESR 연대측정에 의하면 상남면에서 제 4기에 적어도 3번 금왕단층대가 재활동하였다. 특히 신생대 제4기인 약 17만년 전에는 상남면 전역(약 6 km)에서 금왕단층대가 재활동 한 것으로 추정된다.[23]

서화면의 단층들 편집

인제군 북동부 서화면에는 남-북 주향의 단층들이 존재한다.

북면의 단층들 편집

설악산 서부에 해당하는 북면에는 인제 단층 외에도 많은 단층이 지난다.

  • 진부령 단층은 고성통일전망대 인근 해안에서부터 진부령을 지나 북면 용대리까지 이어지는 남-북 주향의 연장 40km의 단층이다. 이 단층이 인제 단층을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보아, 경기육괴의 북부가 남동향 운동을 하면서 형성된 역단층성 인제 단층에 수반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19]
  • 간성 단층간성읍에서 미시령 인근까지 이어지는 연장 20km 이상, 남-북 주향의 주향 이동 단층이다.[19]
  • 고성재 단층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삼일포 호수와 해금강 사이에 위치한 홍송 북쪽 동해안에서부터 고성재를 지나 원통리 이북 서화 단층과 만날 때까지 60km 이상의 연장을 보이는 좌수향 주향 이동 단층이다.[19]
  • 미시령 단층은 인제군 북면 용대리에서 미시령을 지나 속초시로 이어지는 연장 19km의 동-서 방향 좌수향 주향 이동 단층이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5만 지질도에서 보여지는 지층(경기변성암복합체 흑운모화강암, 불국사화강암류 석영장석반암, 작은감투봉층)의 변위는 160m~200m 정도이다. 단층 운동은 8천 4백만년 전(중생대 백악기) 이후 2회 일어난 것으로 해석되며, 그 시기는 K-T 경계인 6천5백만년 전 부근과 5백만년 전으로 추정된다.[19][15]
  • 저항령 단층은 미시령 남쪽, 속초시 동해안의 물치항으로부터 신흥사 인근을 거쳐 저항령까지 약 18km의 연장성을 보인다.[19]
  • 한계령 단층은 인제군 북면 한계리에서 장수대와 한계령을 거쳐 양양군 서면 가라피리까지 이어지는 서북서-동남동 주향의 좌수향 주향 이동 단층이다. 변위량은 한계령 서부의 인제화강암(Jigr)과 설악산화강암(Ksgr) 기준 1.3km, 한계령 동부의 오색화강암(Jobtgr)과 설악산화강암(Ksgr) 기준 2.6km이다.
  • 가야동 단층한계령 단층 북쪽, 백담사 부근에서 오세암, 가야동, 희운각 등을 지나 양양군 서부로 이어진다. 변위량은 백담층군 기준 350m이다.[15][17]


행정 구역 편집

인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이며, 면적은 1646.33km2로 전국의 1.7%, 강원도의 9.9%이다. 전면적의 90% 이상이 임야로 구성되며, 해발 800m이상의 준령이 20여개 있다. 인구는 3만3천여명 (한때 60000명대도 기록)으로 면적에 비해 인구밀도가 낮으나 귀농 인구, 전원생활을 위한 도시인구 전입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전체 인구의 29.5%가 인제읍에 거주한다.[24] 성비는 119로, 고성군 (115)보다는 높고 화천군 (127)보다 낮으며, 강원도에서 두 번째로 성비가 높다.

읍면동 한자 인구 세대 면적 행정 지도
인제읍 麟蹄邑 9,297 4,066 315.24  
인제읍 귀둔출장소 547 240
남면 南面 3,867 1,720 243.24
북면 北面 8,274 3,675 349.06
기린면 麒麟面 5,162 2,214 275.09
서화면 瑞和面 3,371 1,607 265.37
상남면 上南面 1,649 781 197.54
인제군 麟蹄郡 33,352 15,608 1,645.54

문화·관광 편집

 
백담사 경내의 만해기념관

관광지 편집

  • 밀리터리파크
2009년 5월에 인제읍 초입에 생긴 밀리터리파크는 업그레이드된 서바이벌게임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에 설치된 "서든어택 얼라이브" 경기장에서는 실제 시가전과 같은 게임이 벌어진다.[25]
인제스피디움은 대한민국 최초의 자동차 테마 파크이자 용인스피드웨이(1994년), 태백레이싱파크(2003년),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2010년)에 이은 네번째 공인 자동차 경주장이다.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북리 632 일대에 위치하며, 총면적 139만 9000m2이다. 2011년 2월 착공을 시작해 2013년 5월 25일에 개장했으며, 공사비는 1526억원이다. 총 길이 3.908km의 서킷과 부대 시설을 포함한 자동차 경기장, 모터스포츠 체험시설, 호텔과 콘도 등 숙박시설을 갖추고 있다.
  • 원대리 자작나무숲
원대리 자작나무 숲은 ‘원대리 산 75-22번지’에 자리한다. 원대리 산림감시초소에서 시작하면 되며, 초소에서 방명록을 작성한 뒤 약 3.5km의 임도를 따라 올라간다.
1993년 6월 3일 강원도문화재자료 제117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인제군 남면 갑둔리 산 69, 598 및 상남면 상남리 945이다.
신라시대에 창건되었으며, 만해 한용운, 춘성 등이 수행하던 곳이고 제6공화국 성립 이후 전두환과 부인 이순자의 은둔 등으로 유명한 곳이다.
강원도 기념물 제50호이다. 인제군 북면 한계리 90-1~4번지에 위치하였으며 인제군 소유로 관리되고 있다. 한계사는 신라 제28대 진덕녀왕 원년(647)에 자장률사가 창건하였으나 수차에 걸쳐 큰 화재를 입어 북면 용대리 지금의 백담사로 자리를 옮겨가고 남은 터가 한계사지이다.
  • 내린천 계곡
내린천은 강원도의 깊숙한 골짜기를 가로지르는, 그 길이가 무려 70km에 이르는 긴 물줄기이다. 이런 지형적인 영향으로 인제에서 31번 국도를 따라 상남까지 이어지는 약 52km의 구간이 최근 들어 래프팅의 명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26]
점봉산(1424m) 정상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는 능선에 자리한 곰배령(1164m)은 ‘천상의 화원’이라 불리는 야생화 천국이다. 점봉산 전체가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생물권보존지역이라 입산이 금지되지만, 강선계곡부터 곰배령까지 약 5km에 생태 탐방 구간이 조성되어 귀하고 아름다운 야생화를 만날 수 있다.
사이다와 같은 탄산수 계열의 약수로 기린면 방동리에 위치해 있다. 탄산 이외에도 철, 망간, 불소가 들어 있어서 위장병에 특효가 있고 소화증진에도 좋다고 한다.[27]

축제 편집

  • 인제빙어축제(매년 1월 말)
  • 방태산 고로쇠 축제(매년 3월)
  • 인제황태축제(매년 5월)
  • 인제바퀴축제(매년 7월)
  • 합강문화제(매년 10월)
  • 용대리 마가목 축제(매년 10월)

산업 편집

농경지는 하천의 범람원·산록부·선상지·분지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밭이 많다. 잡곡·감자가 많이 나며 양봉은 전국 제1로서 밀원지대를 이루고 있다. 임야 면적이 넓고 임상이 좋아 용재와 신탄을 많이 산출하여 남한 제1의 임업지이다. 그 밖에 버섯과 산나물, 인삼·당귀·복령·사향·웅담 등 한약재도 많이 난다. 주민의 5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고랭지 채소인 배추와 무·쌀과 잡곡·감자·누에고치·소·꿀 등이다. 총임야면적 15만 9,452 중 대부분이 임목지이다.

특산물 편집

인진·치커리·빙어·황태·석공예·목공예 등이 유명하다.

교통 편집

도로에 의하여 홍천군·춘천시·양구군·간성읍·속초시·양양군 등지와 연결된다. 홍천~인제~양양 간 국도의 포장 공사가 1980년에 완공되고, 서울양양고속도로 인제 나들목이 개통되면서 고속도로를 이용해 서울특별시, 춘천시, 양양군과의 통행이 한층 더 가까워졌다. 동해안과는 진부령, 미시령, 한계령을 넘어 연결된다. 현재는 철도가 없으나, 항후 춘천-속초선이 개통되면 북면 원통리와 용대리에 역사가 들어설 예정이다.

교육 편집

  

출신 인물 편집

역대 군수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지역 & 국가 도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충청남도   천안시

각주 편집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소양강에 가로 막혀서 바로 갈수 없다. 이로 인해 이동할려면 양구군이나 홍천읍내를 경유해야 한다.
  3.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4.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5.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6.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년 10월 21일)
  7.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린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림시조치법 (1962년 11월 21일)
  8.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공포.
  9.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10.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11. 인제군조례 제2345호, 2017년 3월 22일 일부개정.
  12. 인제군 갑둔리 → 소치리 변경, 강원도민일보, 2017년 2월 27일 작성.
  13.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인제(211)”.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14. “순위값 - 구역별조회 인제(211)”.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15.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6. “인제도폭 지질조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9년 12월. 
  17. “설악산도폭 지질조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년 12월. 
  18. “만대리도폭 지질조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9년 12월. 
  19. “창암점도폭 지질조사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년 12월. 
  20. “인제단층의 중생대 이 후 재활동 연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년. 단층과 관련된 선상구조를 추적하면, 강원도 고성군 가진리에서부터 인제군 북면 및 남면, 홍천군, 양평군, 경기도 광주시, 용인시 처인구까지 이르는 단층이며, 용인시 고림동 부근에서 남북방향의 추가령 단층대에 의해 잘리거나 합류하게 된다 
  21.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446페이지 인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2. “충청북도 진천-음성군 일대에 발달한 금왕단층의 시간-공간적 활동형태”. 대한지질학회. 2014년 12월. 
  23.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일대에 발달하는 금왕단층대의 특성”. 대한지질학회. 2010년 12월. 
  24. 인제군 행정구역[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2월 14일 확인
  25. 김영주 기자 (2009년 6월 11일). “[레츠고, 레포츠] 아줌마들도 총을 들었다, 짜릿한 시가전의 매력”. 중앙일보사.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14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26. 관광명소 안내-내린천 계곡 Archived 2015년 6월 13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4월 14일 확인
  27. 인제관광-방동약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4월 14일 확인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