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축구전용경기장
인천축구전용경기장(仁川蹴球專用競技場, Incheon Football Stadium)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있는 축구 전용 경기장이다. 인천 유나이티드 FC가 2012년 시즌부터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2013년 9월 6일에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평가전인 아이티전이 개최되었던 곳이기도 한다. 원래는 '숭의아레나파크'[6]로 불렸으나 2012년 2월 23일 경기장 명칭이 '인천축구전용경기장'으로 결정되었다.[7] 경기장과 관중석과의 간격이 불과 1m 밖에 안되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는 경기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경기장으로 꼽힌다. 또한 선수단 벤치가 관중석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
전체 이름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
원어 이름 | Incheon Football Stadium |
별칭 | 숭의 아레나 |
소재지 | ![]() |
좌표 | 북위 37° 27′ 58″ 동경 126° 38′ 35″ / 북위 37.466131° 동경 126.643035° |
기공 | 2008년 5월 7일[1] |
건설 기간 | 3년 10개월 |
개장 | 2012년 3월 11일[2][3][4] |
소유 | 인천광역시청[2] |
운영 | 인천 유나이티드 프로축구단[2] |
설계 | 로세티[5] |
건설 비용 | 1,084억 원[2] |
표면 | 천연잔디 |
좌석 | 20,356석[2] |
수용 인원 | 20,356명[2] |
개최 대회 | 2014년 아시안 게임 2017년 FIFA U-20 월드컵 FA컵 WK리그 챔피언십 (2014년) K리그1 (2012년 ~ 현재) |
홈 경기장 | 인천 유나이티드 FC (2012년 ~ 현재)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WFC (2014년) |
![]() |
건설편집
2008년 6월 13일 철거된 숭의종합경기장 (구 인천공설운동장) 일대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인천시가 1120억원을 부담해 상업 시설 등과 함께 축구장과 야구장 자리에 신축하였다.[8] 2011년 9월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2011년 6월 홈플러스 입점 문제로 중단되었고[9] 11월 다시 공사가 재개되어 2012년 K리그 개막에 맞추어 완공을 목표로 공사를 완료했다.[10]
구조편집
수용인원은 약 20,300명이다. 지하 3층, 지상 5층 규모로 건립된다. 경기장 외에도 세 동의 주상복합건물, 동쪽의 스포츠몰 등이 연계되어 건설될 예정이다. 또한 경기장 밑으로는 지하 1층에서부터 3층까지 주차장이 들어선다. 총 2,000여대를 주차할 수 있는 지하주차장은 인천축구전용경기장만의 특징이다. 특이한 점은 선수단의 벤치가 일반좌석에 포함됐다는 점이다. W석(본부석) 1층에서 경기를 지켜보는 경우 그라운드에 놓인 벤치로 인해 시야에 방해를 받는 경우가 있지만 인천축구전용경기장은 벤치를 관중석으로 올려 이 단점을 보완했다. 또한 서포터석을 S석으로 배치하였으며, 응원소리가 경기장 전체에 울려퍼지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S석은 일어서서 응원하는 서포터들의 편의를 고려하여 단층으로 설계되었으며 경기장 내의 가장 핵심적인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또 경인선 도원역과 연계된 북측 2층 스탠드는 피크닉석을 두어 경기가 없을 경우 인천시민에게 공개, 다양한 이벤트 행사와 다목적 문화공간 등 시민들의 휴게 및 만남의 광장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경기장의 그라운드와 스탠드의 거리는 최소화하여 박진감 넘치는 경기 관람을 할 수 있게 했으며 관중수의 증가추세에 따라 증축도 가능하고 동측 스탠드는 가변무대로 전환 할 수 있어 문화공연장으로 활용하게 된다. 경기장 동측에는 연못, 분수대, 쉼터 등 시민 휴식공간과 남측에는 유소년 축구경기장, 체력단련 시설, 숲속 놀이터, 잔디마당, 산책로 등 체육공원도 조성한다. 특히 인천 유나이티드의 재정 안정을 고려, 경기장 주변 공간을 웨딩홀, 피트니스 클럽, 할인마트, 축구체험 및 전시관, 스포츠바 등 수익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기록편집
사진편집
각주편집
- ↑ 한상용 (2008년 5월 7일). “프로축구 인천, 전용구장 숭의아레나 기공식”. 연합뉴스.
- ↑ 가 나 다 라 마 바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17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9. 25쪽.
-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영준, 정운 (2012년 3월 12일). “인천서 축구의 숨결을 느낀다”. 경인일보.
- ↑ “INCHEON STADIUM AT SUNGUI ARENA PARK”. 로세티.
- ↑ 인천유나이티드의 새 안방 ′숭의아레나파크′, 《아시아투데이》, 2011년 6월 23일.
- ↑ “숭의구장 이름 '인천축구전용경기장'”. 인천일보. 2012년 2월 24일.
- ↑ “숭의축구장 최첨단 방송시설 구축”. 아시아경제. 2008년 8월 6일.
- ↑ 인천 숭의운동장 개발사업 공사 전면 중단 Archived 2013년 9월 21일 - 웨이백 머신, 《연합뉴스》, 2011년 6월 13일.
- ↑ 전성호 (2011년 12월 8일). “숭의구장, K리그에 유럽을 심다.”. 베스트일레븐.
참고 문헌편집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17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9.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인천 유나이티드 FC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네이버 지식백과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네이버 지도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카카오맵 - 인천축구전용경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