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밈
인터넷 밈(Internet meme)이란 대개 모방 형태로 인터넷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 사이 전파되는 어떤 생각, 스타일, 행동 따위를 말한다.[1] 즉, 패러디물 형태로 인터넷(커뮤니티 또는 SNS)에 퍼진 2차 창작물이다.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은 필수요소(必須要素), 짤방, 짤 등이 있다. 다만 동영상이나 사회 현상 등을 통틀어 일컫는 밈과 다르게 한국 짤방은 단순히 재미있는 사진이나 GIF 파일만을 통칭하며, 인터넷 밈과 일맥상통한 의미는 아니다. 대표적인 인터넷 밈 예로 시체놀이나 할렘 셰이크 춤을 추는 비디오 따위가 있다.[2]

인터넷 밈은 그림, 하이퍼링크, 동영상, 사진, 웹사이트, 해시태그, 몸짓 등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오탈자가 포함된 단어나 문장 따위의 간단한 것도 밈이 될 수 있다. 만들어진 밈은 소셜 네트워크, 블로그, 이메일, 뉴스 등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이에 퍼져나간다. 이것은 다양한 인터넷 문화나 하위문화와 관련이 있다. 4chan, 레딧 등의 웹사이트를 통해 생산되고 전파되며, 인터넷 초기에는 유즈넷 게시판을 비롯한 초기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장치가 이용되기도 했다. '밈'이란 단어는 리처드 도킨스가 1976년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문화정보의 확산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용어이다.[3] 인터넷 밈이란 이 밈의 하위 개념으로서, 인터넷 문화와 인터넷 환경에 특정된 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013년, 도킨스는 생물학적 진 및 다윈주의적 선택에 의해 무작위적으로 변화하고 복제되어 확산되는 인터넷 출현 이전의 밈과 구분하여, 인터넷 밈은 인간의 창조성에 의해 고의적으로 변형되는 밈이라고 그 특징을 규정하였다.[4]
각주 편집
- ↑ Schubert, Karen (2003년 7월 31일). “Bazaar goes bizarre”. USA Today. 2007년 7월 5일에 확인함.
- ↑ knowyourmeme.com
- ↑ Dawkins, Richard (1989). The Selfish Gene 2판. Oxford University Press. 192쪽. ISBN 0-19-286092-5.
We need a name for the new replicator, a noun that conveys the idea of a unit of cultural transmission, or a unit of imitation. 'Mimeme' comes from a suitable Greek root, but I want a monosyllable that sounds a bit like 'gene'. I hope my classicist friends will forgive me if I abbreviate mimeme to meme. If it is any consolation, it could alternatively be thought of as being related to 'memory', or to the French word même. It should be pronounced to rhyme with 'cream'.
- ↑ Solon, Olivia (2013년 6월 20일). “Richard Dawkins on the internet's hijacking of the word 'meme'”. 《Wired UK》. 2016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28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
이 글은 인터넷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