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중의원의원 총선거(일본어: 衆議院議員 總選挙 슈기인 기인 소센쿄[*])는 일본 중의원의 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일본의 선거다.
일본국 헌법하에서는 중의원이 해산하는 경우에는, 그 해산한 날로부터 40일 이내에 총선거를 실시해야 한다. 의원의 임기가 만료한 경우에는, 임기 만료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실시해야 한다. 의원의 임기 만료로 실시되는 총선거의 기간이 국회 개회 중이나 국회 폐회일로부터 23일 이내인 경우에는, 국회 폐회일로부터 24일이 경과한 이후의 30일 이내에 총선거를 실시해야 한다.
선거권과 피선거권편집
선거 방식과 정수편집
- 의원의 정수는 465명으로, 선거에는 소선거구와 비례대표 병립제를 채택하고 있다. 지역구는 정수 289명이며, 비례대표는 11개 지역에서 176명이 선출된다.(일본 공직선거법 제4조제1항)
소선거구편집
- 일본 중의원 선거구 목록을 참조.
비례대표구편집
- 홋카이도 지역(홋카이도) - 8명
- 도호쿠 지역(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 13명
- 기타칸토 지역(이바라기 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19명
- 미나미칸토 지역(지바현, 가나가와현, 야마나시현) - 22명
- 도쿄 지역(도쿄도) - 17명
- 호쿠리쿠신에쓰 지역(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나가노현) - 11명
- 도카이 지역(기후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 21명
- 긴키 지역(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28명
- 주고쿠 지역(돗토리현, 시마네현,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 - 11명
- 시코쿠 지역(도쿠시마현, 가가와현, 에히메현, 고치현) - 6명
- 규슈(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가고시마현, 오키나와현) - 20명
중의원의원 총선거의 목록편집
회수 | 투표일 | 투표율 | 정수 | 요일 | 비고 |
---|---|---|---|---|---|
제1회 총선거 | 1890년 7월 1일 | 93.91% | 300 | 화요일 | |
제2회 총선거 | 1892년 2월 15일 | 91.59% | 300 | 월요일 | |
제3회 총선거 | 1894년 3월 1일 | 88.76% | 300 | 금요일 | |
제4회 총선거 | 1894년 9월 1일 | 84.84% | 300 | 토요일 | |
제5회 총선거 | 1898년 3월 15일 | 87.50% | 300 | 화요일 | |
제6회 총선거 | 1898년 8월 10일 | 79.91% | 300 | 수요일 | |
제7회 총선거 | 1902년 8월 10일 | 88.39% | 369 | 일요일 | 임기만료로 인한 선거 |
제8회 총선거 | 1903년 3월 1일 | 86.17% | 376 | 일요일 | |
제9회 총선거 | 1904년 3월 1일 | 86.06% | 379 | 화요일 | |
제10회 총선거 | 1908년 5월 15일 | 85.29% | 379 | 금요일 | 임기만료로 인한 선거 |
제11회 총선거 | 1912년 5월 15일 | 89.58% | 381 | 수요일 | 임기만료로 인한 선거 |
제12회 총선거 | 1915년 3월 25일 | 92.13% | 381 | 목요일 | |
제13회 총선거 | 1917년 4월 20일 | 91.92% | 381 | 금요일 | |
제14회 총선거 | 1920년 5월 10일 | 86.73% | 464 | 월요일 | |
제15회 총선거 | 1924년 5월 10일 | 91.18% | 466 | 토요일 | |
제16회 총선거 | 1928년 2월 20일 | 80.36% | 466 | 금요일 | 남자보통선거가 시작 |
제17회 총선거 | 1930년 2월 20일 | 83.34% | 466 | 목요일 | |
제18회 총선거 | 1932년 2월 20일 | 81.68% | 466 | 토요일 | |
제19회 총선거 | 1936년 2월 20일 | 78.65% | 466 | 목요일 | |
제20회 총선거 | 1937년 4월 30일 | 73.31% | 466 | 금요일 | 법의 개정으로 임기가 5년이 됨 |
제21회 총선거 | 1942년 4월 30일 | 83.16% | 466 | 목요일 | 임기만료로 인한 선거 |
제22회 총선거 | 1946년 4월 10일 | 72.08% | 466 | 수요일 | 남녀보통선거가 시작 |
제23회 총선거 | 1947년 4월 25일 | 67.95% | 466 | 금요일 | 일본국 헌법의 시행에 따른 첫 선거 |
제24회 총선거 | 1949년 1월 23일 | 74.04% | 466 | 일요일 | |
제25회 총선거 | 1952년 10월 1일 | 76.43% | 466 | 수요일 | |
제26회 총선거 | 1953년 4월 19일 | 74.22% | 466 | 일요일 | |
제27회 총선거 | 1955년 2월 27일 | 75.84% | 467 | 일요일 | |
제28회 총선거 | 1958년 5월 22일 | 76.99% | 467 | 목요일 | |
제29회 총선거 | 1960년 11월 20일 | 73.51% | 467 | 월요일 | |
제30회 총선거 | 1963년 11월 21일 | 74.14% | 467 | 금요일 | |
제31회 총선거 | 1967년 1월 29일 | 73.99% | 486 | 일요일 | |
제32회 총선거 | 1969년 12월 27일 | 68.51% | 486 | 토요일 | |
제33회 총선거 | 1972년 12월 10일 | 71.76% | 491 | 일요일 | |
제34회 총선거 | 1976년 12월 5일 | 73.45% | 511 | 일요일 | 임기만료로 인한 선거 |
제35회 총선거 | 1979년 10월 7일 | 68.01% | 511 | 일요일 | |
제36회 총선거 | 1980년 6월 22일 | 74.57% | 511 | 일요일 | 참의원과 같은 날 |
제37회 총선거 | 1983년 12월 18일 | 67.94% | 511 | 일요일 | |
제38회 총선거 | 1986년 7월 6일 | 71.40% | 512 | 일요일 | 참의원과 같은 날 |
제39회 총선거 | 1990년 2월 18일 | 73.31% | 512 | 일요일 | |
제40회 총선거 | 1993년 7월 18일 | 67.26% | 511 | 일요일 | |
제41회 총선거 | 1996년 10월 20일 | 59.65% | 500 | 일요일 | 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 첫 시행 |
제42회 총선거 | 2000년 6월 25일 | 62.49% | 480 | 일요일 | |
제43회 총선거 | 2003년 11월 9일 | 59.86% | 480 | 일요일 | |
제44회 총선거 | 2005년 9월 11일 | 67.51% | 480 | 일요일 | |
제45회 총선거 | 2009년 8월 30일 | 69.28% | 480 | 일요일 | |
제46회 총선거 | 2012년 12월 16일 | 59.21% | 480 | 일요일 | |
제47회 총선거 | 2014년 12월 14일 | 52.66% | 475 | 일요일 | |
제48회 총선거 | 2017년 10월 22일 | 53.83% | 465 | 일요일 | |
제49회 총선거 | 2021년 10월 31일 | 55.93% | 465 | 일요일 |
기타 기록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日 '18세이상 선거권' 법안 참의원 통과 파이낸셜뉴스, 2015.6.17.
- ↑ "18세 깔보지 마라" 일본 투표 독려 광고포스터 눈길 Archived 2017년 2월 13일 - 웨이백 머신 JTBC, 201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