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호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1927–2012)
장민호(張民虎, 1927년 9월 29일 ~ 2012년 11월 2일)는[2] 대한민국의 배우, 성우이다.
장민호 | |
---|---|
출생 | 1927년 9월 29일[1] 황해도 |
사망 | 2012년 11월 2일 | (88세)
국적 | 대한민국 |
활동 기간 | 1947년 ~ 2012년 |
생애
편집황해도 신천 출신으로, 명신(明新)중학교(황해도 재령 명신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3] 1945년 해방 후 월남하여 조선배우학교를 연수하고, 1953년 국립극단의 전신인 극단 신협에 들어가 연기활동을 시작했다. ‘예술무대’의 첫 공연인 《모세》에 참여하였고, 드라마센터 첫 공연 《해믈리트》에서 햄릿의 삼촌 왕, 장충동 국립극장 첫 공연 《성웅 이순신》에서 이순신, 세종문화회관 첫 공연 《북벌》에서는 효종 역을 연기하였다.[4] 성우로서는 1947년에 중앙방송국 전속 성우로 입사, 1958년에는 제1회 방송문화연기상을 수상하였다.[5]
2012년 폐기흉으로 사망하였다[6].
한편, 역대 한국방송대상 남자탤런트 최고령 수상자(SBS <아까딴유>로 23회 남자 탤런트상) 기록을[7] 보유하고 있으며 23회 한국방송대상 여자 탤런트상[8] 수상자였던 나문희는 <아까딴유>에서 본인(장민호)의 며느리 역을 맡았고[9] 23회 한국방송대상 3관왕(대상 TV작가상 여자탤런트상)의 영예를 안은 《바람은 불어도》에서 큰며느리 역으로 나온 박성미가 <아까딴유>에서 본인(장민호)의 효녀 외동딸[10] 역으로 출연했다.
경력
편집대표 작품 및 평가
편집연극
편집연극에서는 수십편에 걸쳐 저력있는 연기를 과시, 한국연극의 과묵한 무대 연기자로 각광을 받았다.[5] 파우스트의 연기가 뛰어나 ‘파우스트 장’이라 불리기도 했다.[11]
- 1947년 《모세》
- 1955년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 《햄릿》
- 《오델로》
- 《학의 다리로 서다》
- 1997년 《파우스트》: 연기생활 50주년 기념공연
- 2006년 《우리읍내》
- 2009년 《맹진사댁 경사》: 명동예술극장 개관 기념공연
- 2011년 《삼월의 눈》: 백성희장민호극장 개관기념 공연
드라마
편집- 1973년 파도
- 1974년 꽃피는 팔도강산: 김희갑, 황정순, 최은희, 도금봉, 박노식, 김용림, 황해, 박근형, 태현실, 윤소정, 문오장, 전양자, 오지명, 한혜숙, 김자옥
- 1979년 대한국인: 이토 히로부미 역
- 1982년 밀봉
- 1983년 고교생 일기: 교장선생님 역
- 1996년 아까딴유 : 송 노인 역
- 2010년 로드 넘버원: 이장우 대위의 노년 역
영화
편집광고
편집수훈/수상
편집기타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호적 신고 과정에서 1924년생으로 잘못 기재되기도 했다.
- ↑ 김기철 (1997년 11월 10일). “張民虎(장민호)씨는 누구”. 조선일보. 2023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장민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브리태니커백과》
- ↑ 演劇에 산다 〈15〉 국립극단團長 張民虎, 《동아일보》, 1979.7.26
- ↑ 가 나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신극/신극의 배우/장민호, 《글로벌 세계 대백과》
- ↑ 박창욱 (2012년 11월 2일). “연극계 '살아있는 전설' 배우 장민호 별세”. 머니투데이. 2023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올방송대상 K1 '바람은 불어도'”. 헤럴드경제. 1996년 8월 12일. 2023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한국방송대상 수상자-수상작”. 조선일보. 1996년 4월 28일. 2023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전정희 (1996년 4월 28일). “[새 프로] 5월이라 더 심금울린 「아까딴유」”. 국민일보. 2023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전정희 (1996년 4월 28일). “[새 프로] 5월이라 더 심금울린 「아까딴유」”. 국민일보. 2023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무대50년 기념공연 장민호씨 영혼의 연기 50년'파우스트 張', 《경향신문》, 1997.10.4
- ↑ 굿바이 장민호, 연극계 전설 지다 보관됨 2012-11-08 - 웨이백 머신, 《뉴시스》, 201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