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배기역
서울지하철 7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장승배기역(Jangseungbaegi Station, 长丞拜基驛)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지하철역이다. 2031년 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개통되면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장승배기
| |
---|---|
![]() 역명판 |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지하188 |
좌표 | 북위 37° 30′ 17″ 동경 126° 56′ 21″ / 북위 37.50472° 동경 126.93917° |
개업일 | 2000년 8월 1일 |
역번 | 740 |
승강장 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장암 기점 34.8 km | |
|
역명 유래
편집장승배기는 "장승이 세워진 곳"을 뜻하는 용어이다. 조선의 제22대 국왕인 정조는 뒤주 속에 갇혀 죽은 자신의 아버지인 장조의 묘소인 융건릉을 참배하기 위해 언제나 숲이 우거진 이 곳을 행차했고 수행원들에게 이 곳에 장승을 세우라고 명령했다. 장승배기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된 이름이다. 명칭이 '장승백이'로 잘못 표기된 사례가 있는데, 이는, 한자의 한글식 표기에서 발생하였던 맞춤법 오류의 표기이다.
역사
편집역 구조
편집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구부러진 지하역이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돼 있다. 출구는 6개가 있다. 이 역은 반대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하다.
승강장
편집상도 ↑ |
하 | | 상 |
↓ 신대방삼거리 |
상행 | ● 서울 지하철 7호선 | 이수(총신대입구)·강남구청 · 상봉 · 도봉산 · 장암 방면 |
---|---|---|
하행 | 보라매(현대HT)·대림(구로구청)·온수(성공회대입구)·부천시청 · 석남 방면 |
역 주변
편집이용객 변동
편집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53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7호선 | 승차 | 8,122 | 9,930 | 10,562 | 11,350 | 11,745 | 11,585 | 11,633 | 11,443 | 11,624 | 11,285 | [1] |
하차 | 7,472 | 9,328 | 9,937 | 10,707 | 11,123 | 11,076 | 11,112 | 10,928 | 11,081 | 10,782 | ||
승하차 | 15,594 | 19,258 | 20,499 | 22,057 | 22,868 | 22,662 | 22,745 | 22,370 | 22,705 | 22,067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7호선 | 승차 | 10,830 | 10,754 | 10,488 | 10,931 | 11,052 | 10,851 | 10,871 | 11,184 | |||
하차 | 10,372 | 10,317 | 10,055 | 10,409 | 10,560 | 10,476 | 10,548 | 10,861 | ||||
승하차 | 21,202 | 21,072 | 20,543 | 21,342 | 21,612 | 21,327 | 21,419 | 22,045 |
사진
편집-
6번출구
인접한 역
편집서울 지하철 7호선 | ||
---|---|---|
739 상도 장암 방면 |
● 서울 지하철 7호선 | 741 신대방삼거리 석남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