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암역
서울지하철 7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장암역(Jangam station, 長岩驛)은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지하철역이다. 현재 7호선의 기점이자 7호선의 유일한 단선식 지하철역이며, 도봉차량사업소 구내에 있다. 하지만 역명의 대표성과 달리 장암동 행정복지센터는 의정부 경전철의 기점인 발곡역과 더 가깝다. 또한 이 역은 당초 건설 계획에 없었으나 7호선 건설 당시 도봉차량사업소가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건설되는 바람에 인근 주민들의 편의를 위하여 도봉차량사업소 구내에 단선으로 신설되었다. 과거에는 주변에 특별히 연계되는 시설들도 없었으며, 인근에 쓰레기 처리장까지 있는 등의 이유로 이 역을 이용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현재는 주변이 많이 깨끗해졌으며, 2009년 12월 10일에 환승 주차장이 건설되었으며[1], 이후에 시내버스 정류장까지 설치되었다. 도봉산역 종착 열차가 거의 대부분이며, 단선역이기 때문에 이 역으로는 들어오는 열차가 적다. 이 역에서 출발하는 온수행은 평일 38회와 주말 36회 운행하며, 석남행은 평일 40회와 주말 27회 운행한다. 이 역부터 도봉산역까지 지상 구간이다.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이 역부터 온수역까지 서울교통공사 구간이다.
장암
| |
---|---|
![]() 역사 (공사 전) |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경기도 의정부시 동일로 121 |
개업일 | 1996년 10월 11일 |
역 번호 | 709 |
승강장수 | 1면 1선(단선 승강장) |
거리표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장암 기점 0.0 km | |
| |
|
역 구조편집
승강장은 1면 1선의 단선을 가진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유사한 형태의 역으로는 6호선 신내역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녹동역이 있다. 도봉차량사업소 내에 있으며, 1개의 출입구는 육교로 연결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 하 |
↓ 도봉산 |
● 서울 지하철 7호선 | 당역종착 도봉산 · 노원 · 상봉 · 강남구청 · 온수 · 석남 방면 |
역사편집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7호선 | 승차 | 601 | 831 | 1,134 | 1,201 | 1,419 | 1,518 | 1,658 | 1,541 | 1,556 | 1,516 | [3] |
하차 | 456 | 531 | 605 | 660 | 736 | 786 | 807 | 711 | 693 | 714 | ||
승하차 | 1,057 | 1,362 | 1,739 | 1,862 | 2,155 | 2,304 | 2,464 | 2,251 | 2,249 | 2,230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7호선 | 승차 | 2,102 | 2,327 | 2,430 | 2,820 | 2,782 | 2,703 | 2,685 | 2,524 | |||
하차 | 860 | 915 | 965 | 1,060 | 1,078 | 1,082 | 1,086 | 1,031 | ||||
승하차 | 2,962 | 3,242 | 3,395 | 3,880 | 3,860 | 3,785 | 3,772 | 3,555 |
사진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7호선 | ||
---|---|---|
시·종착역 | ● 서울 지하철 7호선 |
710 도봉산 석남 방면 |
각주편집
- ↑ 의정부 장암역에 환승주차장 개장《연합뉴스》2009.12.10
-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출처: 경향신문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