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는 2002년 6월 13일 목요일, 대한민국 전국에서 실시된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뽑는 선거였다.
투표일 : 2002년 6월 13일
투표내용 :
광역단체장 : 16명
기초단체장 : 232명
광역의원 : 682명
기초의원 : 3,485명
광역단체장 편집
개표 결과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서울특별시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이명박
한나라당
1,819,057
52.3%
2
2
김민석
새천년민주당
1,496,754
43%
3
4
이문옥
민주노동당
87,965
2.5%
4
6
이경희
무소속
34,313
0.9%
5
3
임삼진
녹색평화당
28,034
0.8%
6
5
원용수
사회당
12,982
0.4%
투표율
45.8%
합계
3,479,105
유효율
무효
31,793
기권
4,154,445
99.1%
인천광역시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안상수
한나라당
393,932
56.2%
2
2
박상은
새천년민주당
225,210
32.1%
3
4
김창한
민주노동당
35,234
5%
4
3
신맹순
녹색평화당
29,473
4.2%
5
5
김영규
사회당
17,404
2.5%
투표율
39.3%
합계
701,086
유효율
무효
10,349
기권
1,098,305
98.55%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손학규
한나라당
1,744,291
58.4%
2
2
진념
새천년민주당
1,075,243
36%
3
3
김준기
민주노동당
168,357
5.6%
투표율
44.6%
합계
2,987,891
유효율
무효
36,953
기권
3,752,731
98.8%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김진선
한나라당
468,987
71.1%
2
2
남동우
새천년민주당
190,451
28.9%
투표율
59.4%
합계
659,438
유효율
무효
11,804
기권
458,617
98.2%
대전광역시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염홍철
한나라당
191,832
46.6%
2
2
홍선기
자유민주연합
165,426
40.2%
3
4
정하용
무소속
31,796
9.3%
4
3
김헌태
무소속
15,780
3.8%
투표율
42.3%
합계
411,483
유효율
무효
6,326
기권
569,371
98.5%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심대평
자유민주연합
508,796
67%
2
1
박태권
한나라당
251,005
33%
투표율
56.24%
합계
759,801
유효율
무효
25,941
기권
611,363
96.7%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이원종
한나라당
343,546
58.6%
2
2
구천서
자유민주연합
196,253
33.5%
3
3
장한량
무소속
46,459
7.9%
투표율
55.8%
합계
586,258
유효율
무효
14,292
기권
475,901
97.62%
광주광역시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박광태
새천년민주당
185,938
46.8%
2
5
정동년
무소속
107,415
27%
3
1
이환의
한나라당
43,695
11%
4
3
박종현
민주노동당
29,427
7.4%
5
6
정호선
무소속
20,796
5.2%
6
4
정구선
무소속
9,877
2.5%
투표율
42.3%
합계
397,148
유효율
무효
6,673
기권
550,660
98.35%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박태영
새천년민주당
563,545
57.8%
2
3
송재구
무소속
236,558
24.2%
3
4
송하성
무소속
89,487
9.2%
4
1
황수연
한나라당
51,504
5.3%
5
5
안수원
무소속
34,439
3.5%
투표율
65.63%
합계
975,533
유효율
무효
30,615
기권
526,911
96.96%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강현욱
새천년민주당
571,650
74.6%
2
3
손주항
무소속
131,320
17.1%
3
1
라경균
한나라당
63,661
8.3%
투표율
54.98%
합계
766,631
유효율
무효
20,504
기권
644,587
97.4%
부산광역시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안상영
한나라당
729,589
63.8%
2
2
한이헌
새천년민주당
221,938
19.4%
3
3
김석준
민주노동당
192,594
16.8%
투표율
41.77%
합계
1,144,121
유효율
무효
18,919
기권
1,621,681
98.4%
울산광역시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박맹우
한나라당
197,772
53.1%
2
2
송철호
민주노동당
162,546
43.6%
3
3
안승천
사회당
12,329
3.3%
투표율
52.31%
합계
372,647
유효율
무효
5,474
기권
344,685
98.6%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김혁규
한나라당
920,706
74.5%
2
2
김두관
새천년민주당
208,641
16.9%
3
3
임수태
민주노동당
106,367
8.6%
투표율
56.53%
합계
1,235,714
유효율
무효
23,428
기권
968,406
98.14%
대구광역시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조해녕
한나라당
452,943
61.2%
2
2
이재용
무소속
287,396
38.8%
투표율
41.45%
합계
740,339
유효율
무효
11,655
기권
1,062,284
98.45%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이의근
한나라당
1,028,080
85.5%
2
2
조영건
무소속
174,472
14.5%
투표율
60.37%
합계
1,202,552
유효율
무효
31,543
기권
810,120
97.44%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우근민
새천년민주당
135,283
51.4%
당선
2
1
신구범
한나라당
119,502
45.4%
3
3
신두완
민주국민당
8,373
3.2%
투표율
68.94%
합계
263,158
유효율
무효
4,321
기권
120,503
98.38%
기초단체장 편집
지역별
지역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자유민주연합
민주노동당
무소속
계
서울특별시
22
3
25
인천광역시
8
2
10
경기도
24
4
1
2
31
강원도
15
2
1
18
대전광역시
5
5
충청남도
4
2
7
2
15
충청북도
5
1
3
2
11
광주광역시
4
1
5
전라남도
16
6
22
전라북도
9
5
14
부산광역시
13
3
16
대구광역시
8
8
울산광역시
3
2
5
경상남도
16
4
20
경상북도
21
2
23
제주도
1
1
2
4
합계
140
44
16
2
30
232
각 의회별
지역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자유민주연합
한국미래연합
민주노동당
무소속
계
서울
87
14
1
102
인천
25
3
1
29
경기
90
10
1
3
104
강원
33
7
1
2
43
대전
9
1
9
19
충남
8
4
21
3
36
충북
21
1
3
2
27
광주
18
1
19
전남
1
47
1
2
51
전북
1
29
1
5
36
부산
42
1
1
44
대구
26
1
27
울산
15
3
1
19
경남
47
1
1
1
50
경북
51
1
1
4
57
제주
11
6
2
19
합계
467
143
33
2
11
26
682
각 의회별 정당득표율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자유민주연합
한국미래연합
노년권익보호당
녹색평화당
민주노동당
사회당
합 계
서울
1,786,587
1,277,362
85,137
61,409
209,042
28,530
}
인천
377,969
206,895
24,700
13,746
18,037
43,610
9,461
경기
1,626,024
952,023
114,351
63,722
172,111
27,965
강원
394,037
140,352
40,686
55,889
15,542
대전
174,796
51,349
142,701
30,752
8,163
충남
248,175
88,927
303,497
45,182
18,873
34,055
11,330
충북
296,503
93,351
128,186
42,332
17,087
광주
33,432
276,656
9,388
10,288
58,089
4,906
전남
71,489
647,760
66,424
144,124
31,470
전북
72,670
488,909
40,530
36,138
95,744
16,029
부산
814,272
159,570
24,083
121,072
16,214
울산
222,777
31,861
106,136
9,016
경남
906,750
131,285
40,721
108,999
29,201
대구
558,498
56,324
60,483
12,038
37,890
7,328
경북
889,594
93,208
52,378
64,850
11,110
53,395
23,046
제주
121,601
100,559
27,136
6,672
제3회 지방선거까지는 기초의원에 대해 정당공천제를 실시하지 않았다.
정당별 결과 편집
새천년민주당 은 임기말에 들어선 김대중 대통령의 레임덕으로 지지율 하락을 겪고 있었다.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에서 소위 '노풍'이라 불린 노무현 열풍과 함께 노무현 후보가 최종 후보로 확정되면서 반전을 꾀했으나, 김대중 대통령의 아들들이 연르된 최규선 게이트가 터지면서 새천년민주당 지지율은 다시 크게 하락한다. 설상가상 투표일인 6월 13일은 2002년 FIFA 월드컵 에서 포르투갈전이 있던 전날로, 새천년민주당 강세인 청년층 투표가 크게 줄어 역대 최저 투표율을 기록하였다.(이는 2019년까지도 최저투표율로 남아있다.) 결국 새천년민주당은 수도권 광역단체장을 모두 잃었고 한나라당은 역대급 표차로 승리를 거두게 된다. 광역의회에서도 새천년민주당은 호남에서만 승리했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하면 득표율로도 지역 당선자로도 한나라당 에 압도적으로 밀렸다.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당시 대선후보는 "영남권 광역단체장 당선자가 나오지 못하면 재신임을 묻겠다"던 공약에 따라 재신임을 받았으나, 이후 8월 재보선까지 참패하면서 11월까지 지속적으로 '후보단일화협의회' 등으로부터 사퇴 압박을 받게 된다. 반면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는 당 장악력을 강화하면서 대선까지 탄탄대로를 다지게 된다. 자민련은 역호서 지역의 지역주의 악화로 인해, 충청남도의 심대평 외 광역단체장 후보가 전원 낙선하고, 득표율로도 원외정당인 민주노동당 에 밀리는 등 참패를 당했고, 그 해 대선에서는 후보조차 내지 못하고 완전히 존재감을 잃게 된다.
한편, 원외정당이었던 민주노동당 은 괄목성대할 성과를 거뒀다. 득표율 8.1%로 자유민주연합 을 재친것으로도 모자라 전라남도 , 전라북도 , 광주광역시 , 울산광역시 에서는 전체 득표 2위를 차지했다. 경상남도 와 부산광역시 에서도 2위인 새천년민주당과 접전을 치렀다. 특히 송철호 울산광역시장 후보의 경우 선거전 내내 선두를 달리면서 영남지역 최초의 비한나라당계 광역단체장, 민주노동당 최초의 광역단체장 탄생에 대한 기대를 모았으나, 선거 막판 지역주의 정서와 보수 결집, 저조한 투표율로 인해 낙선하고 말았다. 그러나 해당 선거에서 송철호 후보의 득표율인 43.6%는 울산시장선거에서 비한나라당 후보가 받은 최고 득표율로,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에서 본인에 의해 갱신되기 전까지 최고기록으로 남았다.
박정희 대통령의 딸 박근혜 의원은 한나라당의 이회창 독주체제에 반발하며 한국미래연합 을 창당했으나 대구시의원 1명, 경북도의원 1명만을 당선시키며 참패하였고, 결국 대선 직전인 11월 미래연합은 한나라당에 흡수합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