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병 (장기)
졸·병(卒·兵)은 장기에 사용되는 기물 중 하나이다. 시작할 때 양측이 각각 5개의 기물을 가지고 시작하는데, 초(楚)는 졸을, 한(漢)은 병을 가지고 시작한다. 사(士)와 함께 소기물(小棋物)에 속한다.기물 점수는 2점이다
장기 기물 | ||
---|---|---|
궁(將) | ||
![]() |
궁(장) | ![]() |
대기물(大棋物) | ||
![]() |
차 | ![]() |
![]() |
포 | ![]() |
![]() |
마 | ![]() |
![]() |
상 | ![]() |
소기물(小棋物) | ||
![]() |
사 | ![]() |
![]() |
졸·병 | ![]() |
낱장기 유형 | ||
대삼능(大三能) | ||
소삼능(小三能) | ||
차삼능(車三能) | ||
차이능(車二能) |
초기 배치 편집
처음에 졸·병을 차릴 때 4번 가로선과 7번 가로선에 배치하게 된다.
이때 놓는 자리는 4번 가로선에는 41, 43, 45, 47, 49 에 놓게 되고, 7번 가로선에는 71, 73, 75, 77, 79에 놓게 된다.
배치를 할 때 각 졸·병의 위치에 따른 명칭은 다음과 같다.
- 41 & 71 의 병(졸) : 좌변병(졸)
- 43 & 73 의 병(졸) : 좌진병(졸)
- 45 & 75 의 병(졸) : 중앙병(졸)
- 47 & 77 의 병(졸) : 우진병(졸)
- 49 & 79 의 병(졸) : 우변병(졸)
기물의 이동 편집
기본적인 행마법 편집
졸(병)이 기본적으로 움직이는 방향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졸·병은 전진하거나 좌·우로 한칸씩 이동을 할 수 있으나, 후진은 할 수 없다.
예외 편집
만약 보기와 같이 졸(또는 병)이 상대의 궁성에 진입하게 되면 예외가 생기게 된다.
궁성에 진입을 하게 되면, 간선(間線)으로도 한칸 진격할 수 있게 되므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늘어나게 되나 마찬가지로 간선을 따라 후퇴할 수 없다.
졸·병의 가치 편집
점수제 방식의 대국에서는 각 기물의 점수적인 가치는 다음과 같다.
궁(장) | 차 | 포 | 마 | 상 | 사 | 졸·병 | |
기물의 점수 | ∞ | 13 | 7 | 5 | 3 | 3 | 2 |
점수를 보면 졸과 병이 가장 낮은 점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위의 점수적인 가치는 절대적이지 않으며, 특히 종반전에서 졸·병이 상대방의 궁성 쪽으로 진격할수록 졸·병의 위력이 더 세지게 되므로 실제의 가치가 점수적인 가치와 차이가 나게 될 수도 있다.
지역 룰 편집
본래 장기에는 없는 룰이지만, 대한장기협회 도쿄지부에서는 쇼기(일본식 장기)의 룰처럼 졸·병이 체스의 폰처럼 의무적으로 승격하는 규칙을 지역 룰로 규정하고 있다. 졸·병이 마지막 가로줄까지 진격하면 그 동시에 잡혀 있는 자신의 대기물(대기물) 차(車)·포(包)·마(馬)·상(象) 중 원하는 기물을 하나 골라 졸·병과 즉시 맞바꾼다.[1]
샹치와의 차이점 편집
- 한국식 장기에서는 졸·병이 처음부터 좌우 이동과 전진이 모두 가능하나 샹치에서는 강을 건너야 좌우 이동이 가능해진다.
- 한국식 장기에서는 졸·병이 상대방의 궁성에 진입하면 간선으로도 진격이 가능하나 샹치에서는 그렇지 않다.
관련 용어 편집
각주 편집
- ↑ “東京支部 新ローカルルール(既存公式ルールに追加)について”. 2012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장기용어 - 일반용어" Archived 2011년 11월 24일 - 웨이백 머신, 대한장기협회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