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득
증득(證得, 산스크리트어: adhigama 또는 abhisaṃbodha) · 증오(證悟) 또는 줄여서 증(證)은 수행으로 진리를 체득하는 것 또는 깨치는 것을 말한다.[1][2][3] 수행한 결과로 얻는 과보를 증과(證果)라고 하며, 최종의 증과는 성불(成佛: 부처가 됨)이다.[4]
무언가를 얻는 것 또는 성취하는 것을 뜻하는 불교 용어로는 심불상응행법 가운데 하나인 득(得: 획득과 성취)이 있고, 무언가가 없던 것이 새로 생겨난다는 뜻의 불교 용어로는 역시 심불상응행법 가운데 하나이자 유위4상(有爲四相) 가운데 하나인 생(生)이 있다.
증득 또는 증오는 득(得: 획득 및 성취)이 진리 즉 무위법에 대해 적용된 특수한 경우이다. 이에 비해, 생(生)은 인연화합에 의해 유위법이 생겨나는 것을 말하며, 따라서 열반과 같은 무위법에 대해서는 적용되는 용어가 아니다. 진리 즉 무위법은 비록 유위 무루의 수행력이 쌓여서 그것이 원인이 되어 획득 또는 성취[得]되는 결과이지는 하지만 진리 즉 무위법 자체는 유위법과는 달리 인연 조건에 제약되는 것이 아니다.[5][6]
말하자면, 증득 또는 증오는 유위 무루의 수행력 즉 8정도 · 37도품 · 6바라밀과 같은 바른 노력이 원인이 되어 유위의 현상 세계와 무위의 진리의 세계 사이의 심연을 뛰어넘어 진리의 세계 즉 열반 또는 깨달음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불교에서는 진리를 획득 또는 성취하는 것에 대해 특히 증득(證得) 또는 증오(證悟)라는 용어를 사용한다.[5][6]
《대승의장》 제10권에 따르면 증(證) 즉 증득(證得) 또는 증오(證悟)는 지득계회(知得契會) 즉 앎 · 획득 · 계합 · 깨침을 뜻하는데, 마음이 실성(實性)에 그윽히 잠겨서[冥] 분별을 잊고 실성에 계합하고 실성을 깨쳐서 실성과 평등한 상태 즉 하나가 된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7]
참고 문헌
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大乘義章)》. 대정신수대장경. T44, No. 1851, CBETA.
각주
편집- ↑ 星雲, "證得". 2022년 4월 26일에 확인
"證得: 梵語 adhigama 或 abhisaṃbodha,巴利語同。又作現證。為證悟體得之意。即由修道而證悟真理,並體達果位、智慧、解脫及功德等。瑜伽師地論卷六十四謂有四種證得:(1)諸有情業果證得,(2)聲聞乘證得,(3)獨覺乘證得,(4)大乘證得。其中,聲聞乘證得又分為地證得、智證得、淨證得、果證得、功德證得等五種;獨覺乘證得分為先已得順決擇分善根證得、先已得證得證得、先未得證得證得三種;大乘證得則有發心證得、大悲證得、波羅蜜多證得、攝事證得、地證得、於五無量隨至真如證得、不可思議威德信解證得、不共佛法證得等。〔大毘婆沙論卷四十二、瑜伽師地論卷八十二、十地經論卷一、成唯識論卷九、大乘法苑義林章卷一末〕p8382" - ↑ DDB, "증득(證得)". 2022년 4월 26일에 확인
"證得
Basic Meaning: to gain
Senses: *To realize, to perfect, consummate; to get, acquire; realization. To experience, realize or comprehend directly (Skt. prāpti-sākṣāt-kṛti; Tib. 'thob pa). To awaken, undergo enlightenment. [Charles Muller; source(s): Yokoi, Hirakawa, YBh-Ind] *To come to (Skt. adhigama). [Charles Muller] *(Skt. sākṣāt-kriyā, lābha, prāpta; adhigata, adhigantṛ, anugāmin, anuprāpta, abhidyotana, abhisaṃbuddha, abhisaṃbodha, abhisaṃbodhi, avâpti, āsādayati, gata, niṣṭhā-gata, pariniṣpanna, pratilambha, pratyakṣī-kāra, prāpti, prāpti-sākṣāt-karaṇa, prapnuyāt, prapya, buddhi, labhya, *viśeṣâdhigama, samudāgata, saṃprāpti, sākṣāt-karaṇa, sākṣāt-kṛta, sparśita, svābhisaṃbodhi-sthāna) [Charles Muller; source(s): Hirakawa." - ↑ 운허, "證果(증과)". 2022년 4월 26일에 확인
"證果(증과): 수행한 결과로 얻는 과보. 최종의 증과는 성불." - ↑ 가 나 권오민 2003, 90–94쪽.
- ↑ 가 나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주석 17). 2022년 4월 26일에 확인
"무위 택멸은 생겨난 과(果)가 아니기 때문에 동류인·등류과의 인과관계에 제약되지 않는다. 이는 다만 견·수소단의 대치도에 의해 증득된 결과[離繫果]로서 유위의 원인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아니며, 이 또한 유위의 결과를 낳는 것이 아니다.(이에 대해서는 본론 권제6, p.300을 참조할 것)" - ↑ 혜원 찬 & T.1851, 제10권. p. T44n1851_p0672a02 - T44n1851_p0672a21. 2022년 4월 26일에 확인. 증도(證道)·조도(助道)·불주도(不住道)
"同相三道義兩門分別(釋名一 辨體二)第一釋名。同相三道出地經論。名字是何。一是證道。二是助道。三不住道。言證道者。證是知得契會之義。心冥實性亡於分別契會平等。名之為證。言助道者。助是扶佐資順之義。諸度等行迭相扶佐資順菩提。故名助。言不住者。是離著之義。巧慧雙遊行無偏在。故曰不住。此三通論皆依法成。俱應名證。同能資果。並應名助。超凡異聖。齊名不住。為別三門。隱顯異名等別三門。隨顯受目。證據心體。心淨照明得法義顯。故偏名證。所證如中無果可資。故不名助。染淨相泯不住義隱。故不名不住。助是行修資順義強。故偏名助。見果可求證如義隱。故不名證。背有求出不。不住義微。故不名不住。不住巧慧離著義顯。故偏名不住。染淨俱遊證如義隱。故不名證。染淨雙隨不偏求出。非專向果。故不名助。此之三種諸地通有。名之為同。同行體狀目之為相。蓋是體相非標相也。同行虛通目之為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