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903호선
지방도 제903호선은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창천삼거리에서 김천시를 거쳐 성주군 금수강산면 영천리 중리삼거리를 잇는 경상북도의 지방도이다.
경상북도 지방도 | |
---|---|
903 ![]() | |
가천 ~ 금수선 | |
지방도 제903호선 | |
총연장 | 91.16km |
기점 |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
주요 경유지 |
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북도 성주군 |
종점 |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강산면 영천리 |
주요 교차도로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59호선 지방도 제514호선 지방도 제901호선 지방도 제1089호선 |
성주군 가천면에서 출발해 김천시 시내까지 북상하다가 다시 도로 성주군으로 남하하는 특이한 형태의 노선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기점에서 종점까지 직선거리는 전체 노선의 10%도 되지 않는 약 8km에 불과하다. 2013년 11월 20일에 부항댐이 완공되기 전 부항댐 일대 5.7km 구간 도로가 2012년 7월에 이설되었다. 이 때 부항대교도 개통되었다.[1]
연혁
편집- 2003년 2월 20일 : 종점을 김천시 대항면 향전리에서 성주군 금수면 냉천리로 32.3km 구간 연장. 이에 따라 '성주 ~ 대항선'에서 '성주 ~ 금수선'이 됨.[2]
- 2005년 3월 : 구성 ~ 부항간 도로(김천시 구성면 마산리) 760m 구간 확장 개통[3]
- 2013년 9월 23일 : 부항댐 건설로 김천시 지례면 도곡리 ~ 부항면 사등리 5.98km 구간 이설[4]
- 2018년 11월 15일 : 노선 변경으로 총 연장이 88.4km에서 111.7km로 연장.[5]
- 2021년 12월 6일 : 노선명을 '성주 ~ 금수선'에서 '가천 ~ 금수선'으로 변경, 총 연장을 114.3km에서 91.16km로 변경함.[6]
주요 경유지
편집- 김천시
- 증산면 (미개통 구간 : 진돌목재) - 장전리 - 장전1교 - 장전교 - 금곡리 - 백천교 - 옥동교 - 증산삼거리 - 증산면 행정복지센터 - 증산초등학교 - 대덕중학교 증산분교 - 금포교 - 동안리 - 부항리 - 부항치
- 지례면 부항치 - 여배리 - 속수교 - (속수) - 신평교 - 지례농공단지 - 신지례교 - 상부삼거리 - 도곡리 - 도곡 교차로
- 부항면 부항댐 - 버드내교 - (터널) (87m) - 유촌교 - 유촌 교차로 - 부항대교 - 한송정교 - 비룡교 - 지좌 교차로 - 부항터널 (207m) - 수달교 - 사등교 - 단산 교차로 - 사등리 - 부항면 행정복지센터 - 월곡교 - 월곡리 - 부항초등학교 - 월곡1교 - 하대삼거리 - 대야리 - 대천교 - 파천리 - (봄내) - 안간리
- 구성면 마산리 - (미개통 구간)
- 대항면 (미개통 구간 : 주례리) - 운수리 - 직지사입구 - 향천리 - 대항면 행정복지센터 - 복전교 동단 - 복전터널 - 복전리
- 봉산면 덕천네거리 - 단절
- 양금동 조마교 북단 - 조마교 - 양천동
- 조마면 신안리 - 장암리 - 장암교 - 강곡삼거리 - 강곡리 - 신곡교 - 신곡리 - 끌고재
- 지례면 끌고재 - 이전리 - 울곡교 - 울곡삼거리 - 울곡1교 - 울곡리
해제 구간
편집이 구간은 2013년부터 해제되었다.
중복 구간
편집도로명
편집각주
편집- ↑ 김천, 부항대교 9일 개통, 뉴시스, 2012년 7월 9일 작성.
- ↑ 경상북도공고 제2003-63호, 제2003-64호, 2003년 2월 20일.
- ↑ 경상북도공고 제2005-164호, 2005년 4월 11일.
- ↑ 경상북도 공고 제2013-1031호, 2013년 9월 16일.
- ↑ 경상북도고시 제2018-343호, 2018년 11월 15일.
- ↑ 경상북도고시 제2021-409호, 2021년 12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