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8월) |

지터(jitter)는 광디스크와 자기디스크등의 정보저장 매체의 재생신호의 중요한 품질 지수 중의 하나이다.
- 1) 특정한 신호에 대해서, 원하는 신호와 실제로 발생하는 신호간에 발생하는 "불안정한 신호의 차이들"이 지터이며,
- 2) 예를 들면 IP 통신에서는 패킷의 도달 시간이 지연이 일정한 1 milli sec이어야하는데 이런 지연값이 다양하게 달라질 때,
- 3) 이것은 packet delay variation 이라고 하며 이것을 Jitter 라고 표현할 수 있다.
- 즉 지터는, 처리 시간 및 결과물의 도달 시간의 변동폭등을 지터(jitter)라고 할 수 있다.
- 전자 공학적인 예를 들면, 신호 즉 시그널을 데이터로 보관하기 위하여 변조하여, 기록을 할 때 이것의 기록 방식과
- 기록된 신호의 재생을 통해서 원래 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데 이 때도, 원래 신호가 데이터로 보관 후 다시
- 복원할 때 원래 신호의 "왜곡" 이 발생하며 이것을 지터라고 표현할 수 있다.
- 구체적인 신호의 보관 및 복원에 대해서 예를 들면
- 1) 변조기록된 자료는 마크의 길이가 제한되면 그것을 연속 영 제한 (rll,run length limit)방식이라고 한다.
- 2) 잘알려진 변조법으로는 rll(1,7) rll(2,10)등이 있다. NRZI(NonReturntoZero Inverted) 방식은 변조자료가 0이 아닐 때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또는 반대로 천이한다.
- 3) 재생된 신호는 시스템의 응답이 이진신호와 특정 함수의 컨벌루션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재생신호는 천이간의 간격에 따라 진폭이 약 3배까지 차이를 보이며,
- 4) 천이 위치간의 간격을 측정하게 되면, 이상적인 신호가 손실 없이 복원되어야 하는 기준점이 되는 곳, 즉 "절대위치"에서의 편차를 구하되, 제곱평균제곱근 방식으로
- 해당 편차를 구한 값을 신호의 저장 및 재생에서 발생한 지터(Jitter)라고 한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책에 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