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골어류
조기어류에 속하는 3개의 하강 중 하나
진골어류(眞骨魚類,Teleostei)는 조기어류에 속하는 3개의 하강 중 하나이다. 이 어류는 트라이아스기[1]에 생겨났으며, 약 40여 목에 20,000여 종의 현존하는 종을 포함하고 있다. 현존하는 어류의 대부분은 진골어류에 속한다.[2] 나머지 2개의 하강은 전골어류(Holostei)와 측계통군으로 추측되는 연질어류(Chondrostei)이다.[3]
![]() | ||
---|---|---|
![]() 위에서 아래로: Retroculus lapidifer (농어목: 키클리과) Labrisomus nuchipinnis (농어목: 비늘베도라치과) Ogcocephalus notatus (아귀목: 부치과) Acanthurus coeruleus (농어목: 양쥐돔과)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
강: | 조기어강 | |
아강: | 신기어아강 | |
하강: | 진골어하강 (Teleostei) | |
상목 | ||
|
하위 분류 편집
- 진골어하강(Teleostei)
- 골설어상목(Osteoglossomorpha)
- 당멸치상목(Elopomorpha)
- 청어상목(Clupeomorpha)
- 청어목(Clupeiformes)
- 골표상목(Ostariophysi)
- 원극기상목(Protacanthopterygii)
- 협기상목(Sternopterygii)
- 원린상목(Cyclosquamata)
- 홍메치목(Aulopiformes)
- 스코펠로상목(Scopelomorpha)
- 샛비늘치목(Myctophiformes)
- 이악어상목(Lampridiomorpha)
- 이악어목(Lampridiformes)
- 폴리믹시아상목(Polymyxiomorpha)
- 턱수염금눈돔목(Polymixiiformes)
- 측극기상목(Paracanthopterygii)
- 극기상목(Acanthopterygii)
- 숭어목(Mugiliformes)
- 색줄멸목(Atheriniformes)
- 동갈치목(Beloniformes)
- 케토미무스목(Cetomimiformes)
- 열대송사리목(Cyprinodontiformes)
- 스테파노베리스목(Stephanoberyciformes)
- 금눈돔목(Beryciformes)
- 달고기목(Zeiformes)
- 학치목(Gobiesociformes)
- 큰가시고기목(Gasterosteiformes)
- 실고기목(Syngnathiformes)
- 드렁허리목(Synbranchiformes)
- 복어목(Tetraodontiformes)
- 가자미목(Pleuronectiformes)
- 쏨뱅이목(Scorpaeniformes)
- 농어목(Perciformes)
계통 분류 편집
2016년 현재,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
조기어류 |
| ||||||||||||||||||||||||||||||||||||||||||||||||||||||||||||||||||||||||||||||||||||||||||||||||||||||
각주 편집
- ↑ Palmer, Douglas (1999).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 Prehistoric animals》. Marshall Editions Developments Ltd. ISBN 3-8290-6747-X.
- ↑ Miller, Stephen, and John P. Harley. Zoology, Seventh Edition, pg 297. McGraw-Hill Higher Education. New York, 2007.
- ↑ Benton, Michael J. (1990). 《Vertebrate Paleontology》. Chapman & Hall. ISBN 0-412-54010-X.
- ↑ R. Betancur-R., E. Wiley, N. Bailly, A. Acero, M. Miya, G. Lecointre, G. Ortí: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