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무맹장류

(진무맹장목에서 넘어옴)

진무맹장류(眞無盲腸類, Eulipotyphla[1]) 또는 진정식충류는 분자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분류계통학 복원을 통해 제안된 포유류 목의 하나이다. 현재는 유효하지 않은 다계통군 무맹장목(Lipotyphla)의 로라시아상목 종을 포함하고 있지만 아프리카땃쥐목(Afrosoricida) 종(텐렉, 황금두더지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무맹장류(Lipotyphla)는 이전에 사용되고 폐기된 분류군 식충목(Insectivora)에서 여러 분류군을 차례로 제거함으로 파생된 분류군이다.

진무맹장류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진무맹장목
(Eulipotyphla)

진무맹장류는 고슴도치류털고슴도치류(이전 고슴도치목(Erinaceomorpha)에 속했던 고슴도치과), 솔레노돈(솔레노돈과), 데스만류, 두더지류, 땃쥐두더지류(두더지과), 땃쥐류(땃쥐과)를 포함하고 있다. 땃쥐류와 땃쥐두더지류, 솔레노돈류 등은 이전에 땃쥐목(Soricomorpha)으로 분류했지만 땃쥐목은 고슴도치류가 땃쥐류의 자매군이기 때문에 다계통군으로 밝혀졌다.[2][3]

하위 분류 편집

  • 진무맹장목 (Eulipotyphla)
    = 무맹장목(Lipotyphla) − 아프리카땃쥐목(Afrosoricida)
    = 고슴도치목(Erinaceomorpha) + 땃쥐목(Soricomorpha)
    • 고슴도치과 (Erinaceidae)
      • 고슴도치아과 (Erinaceinae) - 고슴도치류
      • 털고슴도치아과 (Galericinae)
    • 땃쥐과 (Soricidae)
      • 흰이땃쥐아과 (Crocidurinae) - 흰이땃쥐
      • 땃쥐아과 (Soricinae) - 붉은이땃쥐
      • 아프리카흰이땃쥐아과 (Myosoricinae) - 아프리카흰이땃쥐
    • 두더지과 (Talpidae)
      • 신세계두더지아과 (Scalopinae)
      • 두더지아과 (Talpinae) - 두더지류
      • 동아시아두더지아과 (Uropsilinae) - 땃쥐를 닮은 두더지류
    • 솔레노돈과 (Solenodontidae)
    • † Nesophontidae - 멸종된 서인도 제도 땃쥐류
    • † Amphilemuridae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포유류 계통 분류이다.[4]

포유강

단공목  

수아강

유대하강  

진수하강
대서양원류

아프로테리아상목    

빈치상목    

북방진수류
로라시아상목

진무맹장목  

음낭야수류

박쥐목  

야수진제류
광수류

유린목  

식육목   

진유제류

말목(기제류)   

경우제목(우제류)   

영장상목

설치동물   

영장동물   

다음은 진무맹장류의 계통 분류이다.[3][5][6]

진무맹장목

† Nesophontidae

솔레노돈과  

두더지과  

땃쥐과  

고슴도치과  

각주 편집

  1. "truly fat and blind"Hassan, Mo (2009년 10월 11일). “British Wildlife: N”. 《The Disillusioned Taxonomist blog. 2015년 11월 26일에 확인함. 
  2. Douady, C. J.; Chatelier, P. I.; Madsen, O.; de Jong, W. W.; Catzeflis, F.; Springer, M. S.; Stanhope, M. J. (October 2002). “Molecular phylogenetic evidence confirming the Eulipotyphla concept and in support of hedgehogs as the sister group to shrew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25 (1): 200–209. doi:10.1016/S1055-7903(02)00232-4. 
  3. Roca, A. L.; Bar-Gal, G. K.; Eizirik, E.; Helgen, K. M.; Maria, R.; Springer, M. S.; O'Brien, S. J.; Murphy, W. J. (2004년 6월 10일). “Mesozoic origin for West Indian insectivores”. 《Nature》 429 (6992): 649–651. Bibcode:2004Natur.429..649R. doi:10.1038/nature02597. PMID 15190349. 
  4. Nishihara, H.; Maruyama, S.; Okada, N. (2009). “Retroposon analysis and recent geological data suggest near-simultaneous divergence of the three superorders of mamma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 (13): 5235–5240. Bibcode:2009PNAS..106.5235N. doi:10.1073/pnas.0809297106. PMC 2655268. PMID 19286970. 
  5. Bininda-Emonds, O. R. P.; Cardillo, M.; Jones, K. E.; MacPhee, R. D. E.; Beck, R. M. D.; Grenyer, R.; Price, S. A.; Vos, R. A.; Gittleman, J. L.; Purvis, A. (2007년 3월 29일). “The delayed rise of present-day mammals”. 《Nature》 446 (7135): 507–512. Bibcode:2007Natur.446..507B. doi:10.1038/nature05634. PMID 17392779. 
  6. Brace, Selina; Thomas, Jessica A.; Dalén, Love; Burger, Joachim; MacPhee, Ross D.E.; Barnes, Ian & Turvey, Samuel T. (2016년 9월 13일). “Evolutionary history of the Nesophontidae, the last unplaced Recent mammal family”.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Epub ahead of print) 33: 3095–3103. doi:10.1093/molbev/msw186. PMID 27624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