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이씨(眞寶李氏)는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혹칭 진성 이씨(眞城李氏)라 한다.[1]

진보 이씨
眞寶李氏
이칭진성 이씨(眞城李氏)
나라한국
관향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시조이석(李碩)
집성촌경상북도 안동시·의성군·문경시·예천군
주요 인물이해, 이황, 이만손, 이만도, 이원기, 이육사, 이원조, 이병하, 이원경, 이가원, 이동명, 이삼걸, 이한성
인구(2015년)77,574명

역사

편집

시조 이석(李碩)은 고려 충렬왕 때 진보현(眞寶縣) 아전(衙前)을 지내고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였으며, 봉익대부(奉翊大夫) 밀직사(密直司)에 증직(贈職)되었다.[2]

《시조공 묘갈명》에 따르면 그의 맏아들 이자수가 1330년(충혜왕 즉위년) 문과에 급제하여 1362년(공민왕 11)에 통헌대부 판전의시사로 홍건적의 난을 평정하여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송안군(松安君)에 봉해지고 아버지 이석(李碩)은 봉익대부 밀직사에 증직되었다.고 하였다.

《임자보(壬子譜)》 유사(遺事)에 실려 있는 〈시조 증봉익대부 밀직사부군유적고증(始祖贈奉翊大夫密直司府君遺蹟考證)〉을 보면 시조 이석(李碩)의 아버지는 호장 이영찬(李英贊)이고, 할아버지는 호장 이송주(李松柱)임을 송안군의 정안(政案)에 의해 알 수 있으나 그 이상의 세계는 알 수 없다고 하였다.

시조 이석(李碩)의 장남 송안군 이자수(李子修)는 만년에 진보를 떠나 안동 주촌(周村)에 이거하여 살게 되었으며, 차남 이자방(李子芳)은 그대로 진보에 살게 되어 후손들은 후평파로 분파하였다. 송안군 이자수의 장남은 공조참의 이운구(李云具)이고, 차남은 군기시 부정 이운후(李云侯)이다.

이자수(李子修)의 손자 이정(李禎)은 선산 부사이며, 증손 이계양(李繼陽)[3]은 진사시에 합격한 뒤 예안현 온계리로 이거하여 아들을 가르치니 크게 현달하여 벌족을 이루고 크게 번성하였다. 장남 이식(李埴)은 진사이고, 차남 이우(李堣)는 형조참판을 지내고 강원도관찰사를 역임했다. 이식(李埴)의 7남 1녀 중 5남 이해(李瀣)는 예조참판을 역임하고, 7남 퇴계 이황(李滉)는 조선시대 문묘종묘에 동시에 배향된 재상이자 성리학자이다.

분파

편집
  • 송안군 이자수 후예
    • 참의공 이운구 후예
      • 동막파(東幕派) : 파조 5세 이희담(李希聃)
      • 은풍파(殷豊派) : 파조 5세 이여담(李如聃)
      • 병방파(並方派) : 파조 5세 이종담(李從聃)
    • 부정공 이운후 후예
      • 주촌파(周村派) : 파조 5세 이우양(李遇陽)[4]
      • 망천파(溫惠派) : 파조 5세 이흥양(李興陽)
      • 온혜파(溫惠派) : 파조 5세 이계양(李繼陽)
        • 온계파(溫溪派) : 파조 7세 이해(李瀣)
        • 상계파(上溪派) : 파조 7세 이황(李滉)
        • 송당파(松堂派) : 파조 6세 이우(李堣)
  • 진보 이자방 후예[5]
    • 후평파(後平派) : 파조 5세 이선호(李善浩)

인물

편집
  • 이정(李禎) : 평안도 영변의 판관(判官) 재임하며 산성을 쌓아 여진족의 침입을 막는 데 크게 기여, 한산 · 선산부사 역임, 사불천위
  • 이계양(李繼陽) : 호 노송정(老松亭), 사마시 합격, 단종 폐위에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은거, 아들 아들 이우(李堣)가 중종 반정에 공을 세워 이조참판 진성군에 추증된 학자
  • 이우(李堣) : 호 송재(松齋), 부승지로 입직 날 중종 반정이 일어나자 이에 가담하여 그 공로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청해군(靑海君)에 봉해졌다. 우부승지로 승진되고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을 겸하였다. 동지중추부사, 형조참판, 강원도관찰사 안동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 이해(李瀣) : 호 온계(溫溪), 조선 전기 대사헌, 대사간, 예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황(李滉)의 형, 예조판서 추증, 시호 정민(貞愍)
  • 이황(李滉) : 호 퇴계(退溪), 조선 전기 성균관대사성, 대제학, 우찬성, 지경연 등을 역임한 문신. 성리학을 집대성한 대학자, 문묘 배향
  • 이영도(李詠道) : 호 동암(東巖), 이황의 손자, 조선 후기 현풍 현감, 익산 군수, 원주 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 이명익(李溟翼) : 호 반초당(反招堂), 문과 급제, 조선 후기 대사간, 충청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 이동표(李東標) : 호 나은(懶隱), 조선 후기 성균관 전적, 홍문관 부수찬, 양양 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 이종수(李宗洙) : 호 후산(后山), 조선 후기 『근사록어류집록』, 『주자감흥시제가집해』,『퇴계시집차의』 등을 저술한 학자
  • 이육사 : 일제 강점기 의열단 등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청포도』 · 『광야』 등을 저술한 시인,
  • 이병하 : 판사, .제4·5대 국회의원, 제12대 법무부장관 등을 역임한 법조인 · 정치인

항렬자

편집
  • 주촌종파
15세 16세 17세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태(台)
효(孝)
정(廷)
도(道)
인(寅)
○서(瑞)
○백(白)
○춘(春)
○약(若)
○증(曾)
○호(好)
○빈(彬)
국(國)
현(顯)
종(宗)
민(民)
추(樞)
석(石)
중(重)
○주(周)
○강(綱)
○노(老)
○관(觀)
○장(章)
○항(恒)
형(亨)
시(時)
대(大)
곤(坤)
재(在)
○金(부수)
○의(宜)
○호(鎬)
○석(錫)
○원(元)
○진(鎭)
○헌(憲)
연(淵)
태(泰)
호(浩)
낙(洛)
승(承)
신(新)
○걸(杰)
○동(東)
○수(樹)
○상(相)
○식(植)
용(容)
희(熙)
현(炫)
섭(燮)
환(煥)
○재(載)
○기(基)
○면(冕)
○정(正)
○준(埈)
준(俊)
양(亮)
용(鏞)
문(文)
종(鍾)
원(元)
필(弼)
○영(永)
○순(淳)
○철(澈)
○구(求)
○택(澤)
근(根)
영(榮)
표(杓)
극(極)
환(桓)
○묵(默)
○찬(燦)
○혁(爀)
○엽(燁)
○훈(勳)

인구

편집
  • 1985년 14,428가구 58,877명
  • 2000년 20,890가구 66,407명
  • 2015년 77,574명

각주

편집
  1. 진성 이씨(眞城李氏)로 불리게 된 이유에 대해 여러 설이 있지만, 6세 이우(李堣)가 중종반정공신으로 청해군(靑海君)에 봉군되고, 그의 부친 5세 이계양(李繼陽)이 진성군(眞城君)에 추봉되면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2. 정복규 (2015년 1월 30일). “진보이씨(眞寶李氏)”. 새만금일보. 2015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23일에 확인함. 
  3. 이운후의 외동아들 선산부사 이정(李禎)의 3남
  4. 경북 안동시 와룡면 주하리
  5. 경북 청소면 진보면 후평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