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잠군(鎭岑郡)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진잠동서구 관저동, 가수원동 중심으로 대전광역시 서남부 일대에 있었던 옛 행정구역이다. 조선시대에는 충청도 공주목 유성현에 속하였고, 고종 32년(1895) 진잠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914년 대전군에 편입되었다.

고대 대전 대략도
1872년경 진잠현 부근의 길


개요

편집

진잠의 잠(岑)은 작지만 높이 솟은 산을 의미하는데, 구봉산의 바위 봉우리를 뜻한다.[1] 진잠군은 조선시대에는 회덕현, 유성현공주목에 속하여 있었으며, 고종 32년(1895) 지방행정 제도의 개편으로 진잠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현재 진잠초교 근처에 진잠현 관아터가 있었다고 추정된다.[2]

영역

편집


역사

편집
  • 원내동과 세동 일대에 선사시대 인류의 거주흔적이 발견되었다. 대정동에서는 청동기 시대의 유적이 확인되었다.

그 후로도 한동안 백제가 대외적으로 마한을 자칭하고 마한의 체제를 존속하여 백제의 지배하에서 소국체제가 계속되었다.

  • 백제시대에 진잠동은 진현현(鎭峴縣)이 설치되었다.
  • 660년 백제가 패망하여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백제부흥군은 계룡산의 동쪽에 자리잡은 진현성을 거점으로 저항하였지만, 당나라의 유인원, 유인궤에 의하여 복신등이 패함으로써 최후를 맞았다. 진현성은 동,서,북면이 두마천에 둘러쌓인 흑석동, 용촌동에 위치한 산성이다.
  • 757년 경덕왕 16년 행정체제 개편으로 진령현(鎭嶺縣)으로 개명하고 황산군(黃山郡)의 영현이 되었다.
  • 고려시대진잠현으로 개명되었다. 이시기부터 진잠(鎭岑)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계산동(鷄山洞)에 고려청자 도요지가 운영되었다.
  • 1895년 23부府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縣)제도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郡)으로 승격되어 공주부관할 진잠군이 되었다. 이듬해 충청도가 남북도로 분할된 채 부활하여 충청남도에 편입되었다.
  •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일제에 의한 행정폐합으로 대전군에 합병되어 진잠면과 기성면으로 분단되었다. 현재의 진잠동과 계룡시 신도안면은 진잠면이 되었다. 기성동, 가수원동, 관저동일대는 기성면이 되었다.
  • 1983년 진잠면 전역이 대전시 중구관할 유성 출장소에 편입되었다.
  • 1987년 대통령령 제12007호로 대덕군 진잠면 계산리 일원이 대전시 직할 유성출장소에 편입됨
  • 1988년 대통령령 제12367호(1987. 12. 31 공포)로 충청남도 대전시 서구가 신설되면서 유성 출장소의 관할 구가 서구로 변경되었다.
  • 1989년 논산군 두마면에 편입된 신도안리를 제외하고, 충청남도 대전시가 대전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유성구가 신설되자 이에 편입되었다.
  • 1989년 행정동이 진잠동과 원내동으로 분리되었다.
  • 1995년 동 명칭이 진잠 1,2동으로 변경되었다.

기록

편집

이중환의 택리지에 진잠현은 동서의 두 산이 남쪽에서 평야를 끼고 돌아 북쪽에 이르러서 합치었고, 또 높게 사방을 산으로 막아 가운데를 둘러쌌고, 평평한 언덕과 산은 길고 구불구불하고, 구봉산과 보문산이 남쪽에 높이 솟아 그 맑고 깨끗한 기상이 거의 한양의 동교보다 낫다고 기록되어 있다.[3]

유적

편집

대전과 연산을 잇는 길이 지나가는 성북동 산성과 진잠 향교가 현재 남아 있다. 그 외에도 성북 산성등 역사 유적지가 산재되어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이츠대전, 2011년 6월호 30쪽
  2. 대전광역시 향토사료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김재완, 진잠현 지도, 해동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