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궁 (미사일)

천궁(天弓, KM-SAM)은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한 대한민국의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이다. 개발 사업 명칭은 'KM-SAM'이었으며, 개발 중에는 철매-2로 불렸다. 1999년 사업이 시작되어 개발 초기에는 러시아의 S-400 지대공 미사일(9M96E)의 기술을 도입하였다. 2011년 12월 15일 개발이 완료됨을 발표되었다.
천궁 | |
---|---|
기본 정보 | |
종류 |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
기능 | 항공기 요격 |
제작자 | LIG넥스원 |
사용자 | ![]() |
개발 년도 | 국방과학연구소 |
생산 기간 | 2015년 ~ 2020년 |
첫 발사 | 2012년 |
도입 | 2015년 ~ 2020년 |
대당 가격 | 15억원 |
파생형 | 천궁-2 |
제원 | |
엔진 | 추력편향엔진, 고체 연료 로켓 |
추진 | 고체연료 |
발사 중량 | 약 400 kg |
길이 | 4.61 m |
직경 | 27.5 cm |
속력 | 마하 4 ~ 5 |
사거리 | 40 km |
비행고도 | 15 km |
탄두 | 고폭파편탄두 |
유도 | 초기 관성항법, 중간 지령유도, 종말 액티브 레이다 유도 |
신관 | 충격신관, 근접신관 |
발사대 | 전용 발사대 차량 |
기타 정보 | 대 전자전 능력 |
최고 36도 최저 영하 30도의 혹독한 환경과 악천후, 전자파 교란 상황에서도 발사가 가능하다. S-400의 기술 도입으로 수직 사출발사 방식인 '콜드런치'가 적용되었다.
역사편집
기존의 대한민국 공군의 주력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로 운용 중인 미사일은 미국 레이시온사 호크 미사일과 나이키 미사일이 1950년대에 개발된 미사일 뿐이었다.
육군의 방공무기로 K-31 천마와 K-30 비호같은 시스템이 이미 개발되어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모두 육군의 야전 방공체계이며, 공군의 방공체계와는 구분된다.
이에 대한민국 공군은 호크 미사일 체계 대체용으로 사거리 40km급 중거리/중고도 방공 미사일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프로젝트 명은 호크(철매)를 대체한다는 의미로 '철매2'라 정하였다. 이 철매2라는 명칭 때문에 철매1이 별도로 있는 것으로 종종 오해 받으나 시작 단계부터 프로젝트명 자체가 철매2였다. 단 철매2는 개발프로젝트 명이며 미사일 체계 자체의 이름은 2011년에 ‘천궁’(天弓)으로 명명되었다.
- 1992년 삼성물산이 러시아에서 S-300 수입계약 체결. 노태우 정부가 시작한 사업이다.
- 1998년 : 공군은 969억원을 투입해 프로젝트명 철매-II 사업의 개념연구와 탐색 개발을 시작했다.
- 2000년 10월 17일 : 군 일각에선 전장(戰場)이 좁은 한반도에선 북한 스커드 B/C 미사일의 비행시간이 6~8분에 불과해 요격이 매우 어렵고, 걸프전 당시 패트리어트 미사일의 요격률이 매우 낮았으며, 미사일 요격능력을 가진 국산 중거리 대공미사일(KM-SAM)을 자체 개발 중이기 때문에 막대한 돈을 들여 패트리어트를 구입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해 사업 타당성 문제를 놓고 논란을 빚었다.[1]
- 2001년 2월 23일 : 국방부는 2조원 규모의 차기 유도무기(SAM-X) 사업에 단독 참가한 미국 레이시온사가 향후 협상과정에서 합리적인 가격조건을 제시하지 않으면 사업 자체를 전면 재검토키로 했다. 국방부는 22일 이 사업이 무기연기될 경우 현재 개발중인 한국형 중거리 대공미사일(KM-SAM)로 기능을 대체, 전역미사일방어체제(TMD)를 구축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패트리어트 미사일 제조업체인 미국의 레이시온사는 지난 99년 그리스가 도입한 가격보다 20∼30% 높은 가격을 제시해 반발을 사왔다.[2]
- 2002년 11월 : 액체추진 과학로켓인 KSR-Ⅲ의 비행자세 제어부의 주요핵심 부품(우주조건에서의비행자세제어시스템인추력벡터구동장치)을 국내최초로 국산화해 성공적으로 발사한 바 있다.
- 2003년 : 98년부터 6년간의 노력끝에 탄두와 표적과의 상대속도, 교차거리, 표적의 형태등에 따라 탄두의 기폭과 방향을 최적화시키는 지능형 근접신관을 탑재는 기술개발을 완료하고 국방부로부터 '체계적용가' 판정을 획득하였다.
- 2004년 4월 : 가스사출·피스톤방식의 콜드런치·수직발사 체계를 러시아에 이어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발성공을 발표했다.
- 2005년 1월 6일 : 국방부는 대공방어망 구축에 필수적인 차기유도무기(SAM-X) 사업은 예산 확보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으로 반드시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 2005년 4월 20일 : 2004년 12월, 국방부의 차기유도무기(SAM-X)사업이 백지화되면서 현재 사거리 40km의 호크 미사일과 180km의 나이키 미사일을 함께 대체하는 방공미사일을 군이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 2005년 10월 6일 : 한·러 양국은 6일 모스크바에서 '중거리 지대공 유도 무기체계 상호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협정은 양국의 국내 승인 절차를 거쳐 2005년 안에 발효될 것으로 알려졌다.[3]
- 2005년 독일의 중고 PAC-2 매각 제의를 검토한후, 독일 현지에서 PAC-2를 확인하게 되고 이로 인해 SAM-X 사업이 재점화되게 되었다. PAC-3가 아닌 PAC-2라는 비난이 있었지만, 2007년 독일과 1조 500억 원에 도입계약이 채결되게 되면서 최대 2조 5천 억까지만 예산을 마련할 수 있었던 한국으로써는 4조에 가까운 신품 PAC-3에 비해 매우 헐값에 구매하게 되었다. 이 PAC-2는 또한 국내에 반입되기 전 7600억원을 들여 개량해 PAC-3 conf-2 능력을 갖춘 상태로 반입되게 된다. 이러한 사업진행의 결과 나이키 미사일의 대체는 패트리어트 미사일로 하고, 호크 미사일의 대체는 천궁으로 하는 투트랙 정책을 가지게 된다.
- 2006년 4월 : 철매-II 사업의 개념연구와 탐색개발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로서, 최첨단 다기능 레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항공 핵심부품인 소형위성발사체의 상단추력기 자세제어시스템 개발계약 체결을 발표했다.
2022년 1월 16일(현지시간) 방위사업청(방사청)은 UAE 두바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세이크 모함메드 빈 라쉬드 알 막툼 UAE의 부통령 겸 총리 임석 하에 UAE TTI사(社)가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한화디펜스와 각각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6]
배치편집
2013년 천궁 블록-I 포대를 배치할 것이라고 알려져 기존의 낡은 호크 미사일 포대를 대체할 것이다.
2016년 초 서북도서에 천궁 블록-I 포대가 실전배치되었다.
2017년 초에 천궁 지대공 미사일들이 최전방에 전력화가 완료되었다고 한다. 최전방의 10여개 포대이며 다른 호크 미사일들은 PIP와 같은 전력으로 보강할 것으로 보인다.[7]
2020년 천궁 블록-I 실전배치가 완료되었다.
2023년 천궁 블록-II 7개 포대의 배치가 완료될 것이다.
장비 구성편집
천궁의 1개 포대 구성은 목표수색과 미사일 유도를 담당하는 다기능 레이다(MFR)차량 1대와 포대를 지휘하는 교전통제소(ECS) 차량 1대, 8기의 발사관을 장착한 발사대 차량 4~6대로 구성된다. 1개 포대는 최대 32~48발을 실을 수 있다. 각 발사관에는 무게 400kg의 능동 레이다 유도미사일이 1발씩 들어간다.[8]
천궁의 발사대는 러시아의 기술협력을 통하여 수직발사 방식인 콜드런칭(영어: cold launching)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수직발사 방식은 표적을 향하여 미사일 발사대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기에 즉응성이 뛰어나며, 콜드 런칭 방식은 이러한 수직발사시 지면 및 주변 장비에 대한 화염 및 폭풍 피해 및 반사 걱정이 없이 미사일을 일단 발사대 내부의 장비를 이용하여 10m 이상 위로 튀어오르게 한 다음 로켓을 점화하는 방식이다. 하나의 발사대에는 하나의 미사일이 탑재되며, 발사대는 그 자체가 미사일의 보호용 수납실 역할을 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1대의 발사차량이 8기의 발사관을 탑재하고 다니게 된다.
천궁의 다기능 레이다는 러시아의 기술 협력을 통하여 개발되었으며 하나의 레이다로 표적 탐색, 추적, 피아식별 등을 모두 할 수 있는 3차원 위상배열 레이다다. 수색 모드에서는 분당 40회 회전하며 360도를 탐색하며, 표적을 추적할 때는 회전부가 고정되고 전자주사식으로 좌우 45도, 상하 -3~+80도 이내의 범위에 대하여 탐색/추적/유도/피아식별이 가능하다.
레이다는 6개의 표적을 동시에 요격할 수 있으며 탐지거리는 100km 이상, 탐지고도는 25km로 알려져왔는데[9], 한화 탈레스 김성태 전문연구원은 "철매레이다의 가장 큰 특징은 호크레이다에 비해 탐지거리가 4배 늘어났고,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표적 수는 40여 배가 늘어났다"며 "나눠져 있던 탐지ㆍ추적, 피아식별, 유도탄 유도기능까지 한 대에 탑재해 작전부대의 전개시간을 대폭 줄였다"고 설명했다.[10]
호크 레이다 AN/MPQ-64 센티넬의 탐지거리가 75km이지만, 천궁 레이다 탐지거리는 400km이다. 한국의 탄도탄 감시 레이더는 이스라엘 EL/M-2080 그린파인 조기경보레이다를 사용한다.
천궁 다기능 레이다편집
버전편집
- 천궁 블록 1
- 액티브 레이다 유도, 추력편향 엔진, 사거리 40km, 파편폭풍형 탄두
- 천궁 블록 2 PIP
- 액티브 레이다 유도, 추력편향 엔진, 사거리 40km, 직격탄두. 천궁-2 참조
- L-SAM
- 사거리 150km, 한국판 사드
요격대상편집
미국의 패트리어트 PAC-3는 초속 2.5km (마하 7.35)의 탄도 미사일까지만 요격이 가능하다. THAAD는 초속 4.76km (마하 14)까지 요격할 수 있다. 북한의 스커드 미사일은 초속 2km (마하 5.88)이지만, 노동 1호는 초속 3km (마하 8.82)이므로, 패트리어트는 스커드만 요격할 수 있고, 노동 1호는 요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천궁은 러시아 S-400의 미사일인 9M96과 유사한 미사일을 사용하는데, 초속 5km (마하 14.7)까지 요격이 가능하다. 따라서, 노동 1호까지 요격할 수 있다.
러시아는 SS-26 미사일에 패트리어트 회피 기능을 넣었는데, 초기비행과 중간비행은 초속 2km (마하 5.88)로 비행하다가, 종말비행은 초속 3.7km(마하 10.88)의 속도로 거의 수직낙하하도록 비행궤도를 설정했다. 미국의 패트리어트 등은 초속 3km (마하 8.82)를 넘어서면 요격이 불가능한 점을 이용했다.
미사일 제원편집
천궁 미사일은 길이 4.61m, 직경 27.5cm이며 4장의 조종용 꼬리날개를 가지고 있다. 자주 비교대상이 되는 PAC-3나 9M98과 달리 고정형 카나드나 날개 등은 없다. 제어 방식은 조종용 꼬리날개 이외에 미사일 전방부에 있는 여러개의 측추력기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측추력기술 자체는 러시아로부터 기술 협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실제 작동방식은 러시아의 9M98 방식(추진제는 1개이며 마개로 막혀있는 여러개의 노즐을 준비해 두었다가 발사 직후 추젠제를 점화하는 동시에 추력이 필요한 방향의 마개만 제거하는 방식)보다는 미국의 PAC-3 방식과 유사하다. 즉 여러개의 측추력기에는 각각 별개의 추진제가 들어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발사 직후 필요한 방향의 추진제를 순간적으로 점화시켜 측추력을 얻는다. 이는 수직발사/콜드런칭 방식 미사일의 경우 초기 표적방향을 향한 선회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이 방식은 발사 직후 1, 2초 동안 아직 미사일이 빠른속도로 가속되지 않았기에 조종날개만으로는 조종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측추력기로 일단 미사일을 표적 방향으로 돌려 놓은 다음 로켓을 점화한다. 이 측추력 방식은 수직으로 일단 발사된 후 가속하여 표적을 향해 선회하는 방식에 비하면 초기 선회를 저속에서 하므로 공기저항에 의한 운동에너지 손실이 없어 전체 비행 중 에너지 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다.
발사 직후 1회 사용 후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러시아의 9M98E와 달리 천궁은 종말 단계에서도 다시 한 번 측추력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최종 단계에서 더 빠른 급선회가 가능해 기동성능은 최대 50G이다.
구체적인 외형에 차이는 있겠지만, 단순히 발표된 직경과 길이를 통해 크기를 비교해 보아도, 9M96E2는 직경 24cm, 길이 5.65m이므로, 천궁의 직경 27.5cm, 길이 4.61m보다 부피가 작다.
- 9M96E: 길이 4.75 m, 직경 0.24 m, 사거리 40 km, 고도 20 km, 수명 15년, 탄두중량 24 kg, 무게 333 kg
- 9M96E2: 길이 5.65 m, 직경 0.24 m, 사거리 120 km, 고도 35 km, 수명 15년, 탄두중량 24 kg, 무게 420 kg, 속도 마하 3, 기동성능 60G, 액티브 레이다 유도
- 천궁: 길이 4.6 m, 직경 27.5 cm, 사거리 40 km, 고도 15 km, 무게 400 kg, 속도 마하 4 ~ 5, 기동성능 50G, 근접신관, 시험발사 2010년 7월 17일, 26개 포대 배치계획
- 천궁 블록 2(PIP): 길이 미확인, 직경 미확인, 사거리 40km, 고도 25 km, 무게 400kg, 속도 마하 5(추정), 직접충돌, 시험발사 2015년 6월 3일, 6개 포대 배치계획
수출편집
UAE편집
2022년 1월 16일, 방위사업청은 UAE 국방부가 한국의 천궁-Ⅱ 획득을 결정함에 따라 국내 방산업체인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한화디펜스와 UAE TTI사 간 각각 계약이 체결됐다고 밝혔다. 이는 2021년 11월 UAE 국방부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구매 의향'을 발표한 지 두 달여 만이다. 계약 규모는 35억 달러(약 4조1000억 원) 상당으로 알려졌다. 대한민국 방산 수출 역사상 역대 최대 규모다.
천궁-II MFR(다기능레이더)은 기존 천궁 MFR의 성능을 개량한 것이다. 항공기뿐만 아니라 탄도미사일까지 교전 기능 복합 임무를 단일 레이다로 수행할 수 있다. 한화시스템은 천궁-II MFR을 UAE의 환경에 맞춰 개량해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에 확보한 개량형 수출 모델을 바탕으로 향후 중동과 동남아 수출 시장까지 진출할 계획이다.
- 천궁 MFR 블록1, 공냉식, PESA
- 천궁 MFR 블록2, 공냉식, PESA
- 천궁 MFR 블록3, 수냉식, AESA, UAE 수출형
폴란드편집
폴란드는 도입을 확정한 3종 무기인 K2 전차 980대(현대로템), K9 자주포 670문(한화디펜스), FA-50 경공격기 48대(한국항공우주산업·KAI)외에도 레드백 장갑차와 천무 다연장로켓(MLRS), K808 차륜형 장갑차, 천궁 Ⅱ 요격미사일 등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같이 보기편집
- 미사일 방어
- MIM-104 패트리어트
- SAM-X : 한국의 미국산 패트리어트 지대공 미사일 체계 도입사업
- 03식 지대공 미사일 : 일본의 M-SAM
- MEADS : 미국, 독일, 이탈리아의 지대공 미사일 개발 사업
- S-300
- S-400
- HQ-9
- 해궁
- L-SAM
각주와 참고 자료편집
- ↑ 유용원 (2000년 10월 16일). “[차기 미사일] 단일후보로 "협상여지 좁혔다" 논란”. 조선일보. 2012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유용원 (2001년 2월 22일). “국방부, 대공미사일사업 연기 검토”. 조선일보. 2012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유철종 (2005년 10월 7일).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한·러 함께 만들기로”. 《중앙일보》. 2021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윤상호 (2011년 12월 16일). “軍,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天弓’ 국내개발 성공”. 동아닷컴. 2012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박병진 (2012년 4월 21일). “北미사일 요격체계 국산화… ‘천궁’ 개량 3년내 실전배치”. 세계일보. 2012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국산 ‘천궁-Ⅱ(중거리·중고도 지대공 요격무기체계)’ 4조 원대 UAE 수출계약”. 2022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서환한 (2016년 12월 31일). “[채널A단독]한국형 미사일 킬러 ‘천궁’ 전력화 완료”. 《채널A》.
- ↑ 김영수 (2015년 7월 31일). “올해 실전배치될 '천궁'의 위력은?”. 《YTN》.
- ↑ <양낙규기자의 Defence Movie>호크미사일 대체할 천궁, 아시아경제
- ↑ 양낙규 (2016년 9월 19일). “한화탈레스 브레인서 본 ‘천궁’”. 《아시아경제》.